3G
-
유심(USIM)들을 모아두니 이것도 나름 재밌네..Mobile topics 2012. 10. 1. 08:00
그냥 가벼운 이야기. 전에도 얘기했지만 이 블로그에 무거운 주제만 쓸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그냥 끄적이는 글.. ^^; 처음 휴대폰이 나왔을 때에는 USIM이라는 것이 없었다. 단말기에 직접 통화관련 개인정보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지금도 LG U+의 CDMA 2.5 Rev.A 방식에는 USIM없이 바로 휴대폰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예전에 햅틱 아몰레드가 LG U+꺼였는데 따로 USIM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찌되었던 USIM은 3G 이후부터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편할 듯 싶다. 뭐 이런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위의 USIM들은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USIM들이다. 모두 3G USIM이며 KT(SHOW)와 SKT USIM이다. 이래저래 많이도 사..
-
한국에서 아이폰5는 오로지 LTE만 가능하다? 아이폰5의 3G 가입을 받지 않겠다고 하는 이통사들의 소비자 기만행위를 어떻게..Mobile topics 2012. 9. 20. 08:00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5를 발표하고 LTE 지원국에 한국의 SKT, KT가 포함되면서 SKT와 KT가 아이폰5는 LTE로만 신규가입을 받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예전에 뉴 아이패드의 LTE 국내 지원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3G로만 지원되던 것을 염두해두고 아이폰5의 3G 개통을 먼저 하겠다고 밝힌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말을 바꾼 것이다. 이로인해 SKT와 KT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이통사라는 욕을 단단히 먹고 있는 상황이다. 뭐 LTE 지원 대상에 끼어있지 못한 LG U+는 안습인 것은 어쩔 수 없지만서도.왜 SKT와 KT는 욕을 얻어먹으면서까지 아이폰5의 LTE 개통을 추진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손해보고 있는 3G 무제한 요금제를 점차적으로 없애고 이득이 많이 남는 LTE로 이용자층..
-
기술적인 우위보다는 마케팅적인 우위만을 앞세우려고 하고 있는 이통사의 VoLTE 전략?Mobile topics 2012. 8. 12. 00:15
요즘 이통사들의 가장 큰 화두라고 한다면 아마도 LTE망에 음성을 실어주는 VoLTE(Voice over LTE)가 아닐까 싶다. SKT와 LG U+가 경쟁적으로 상용화하겠다고 나서고 있고 아마도 4/4분기에는 KT도 VoLTE 서비스를 하겠다고 하고 있으니 말이다. 일반 3G망보다 더 효과적으로 서비스를 할 수 있는 VoLTE는 고객 입장에서는 다양한 서비스를 맛볼 수 있기 때문에 이통사 입장에서는 지금에서는 거의 필수로 해야 하는 서비스가 되어가는 듯 싶다.지금까지 LTE는 데이터망만을 지원했다. 음성이나 SMS, MMS는 3G망을 이용하고 데이터 통신 부분만을 LTE를 사용하는 그런 상태다. 그렇기 때문에 LTE 스마트폰을 쓰더라도 통화를 할 때에는 3G로 신호체계가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처음..
-
이번에 공개된 iOS6. 과연 뭐가 달라진 것일까?Mobile topics 2012. 6. 13. 14:25
현지시간으로 6월 11일 오전 10시, 한국 시간으로는 12일 새벽 2시에 미국 센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애플 개발자회의(WWDC) 2012의 키노트 시간. 모든 IT인들과 관심있는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었다. 바로 애플이 새로운 제품을 발표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애플의 CEO인 팀 쿡이 단상에 오르고 기조연설을 시작했다. 그리고는 각 제품의 담당자들이 나와서 새로운 제품에 대한 PT를 진행했다. 물론 과거 스티브 잡스의 화려한 PT에 비할바는 못되지만 그래도 애플의 PT는 뭔가 기대하는 것이 있고 색다른 맛이 있는 듯 싶다. 이미 언론에서 다 공개되었고 애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알려진대로 이번 WWDC 2012에서 애플이 공개한 것은 차세대 iOS인 iOS6과 차세대 데스크탑 OS인 마운틴 ..
-
다양한 갤럭시 S3 관련 루머들. 그만큼 갤럭시 S3에 대한 기대가 크다는 얘기인데...Mobile topics 2012. 4. 6. 12:00
어제, 오늘은 갤럭시 S3 출시 관련된 뉴스로 봇물을 이루는 듯 싶다. 일단 들려오는 이야기로는 갤럭시 S3가 5월 22일에 공개가 된다는 것과 3G 모델로 먼저 SKT에서 출시된다는 얘기 정도다. 그리고 갤럭시 S3의 스팩도 어느정도 공개가 되었는데 맞는지 틀린지는 잘 모르겠지만 어느정도 신빙성은 있어보인다. 간단하게 정리만 해보자. 일단 갤럭시 S3의 출시는 기정사실화 되어버린 듯 하다. 대충의 예상으로는 아이폰5(아마도 그렇게 나오지 않을까 싶다)이 나오기 한두달 전에 먼저 출시해서 선점효과를 얻는 전략을 취하지 않겠는가 싶기에 말이다. 애플이 보통 상반기에 아이패드 신모델을 출시하고 하반기에 아이폰 신모델을 출시하는 전략을 몇년동안 꾸준히 해왔기 때문에 아마도 7월쯤에 발표하고 8월쯤에 출시할 것..
-
LTE 스마트폰의 3G 요금제 적용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연한 권리. 단 완벽하게 구입한 LTE 스마트폰에 한해서만 허용한다는 것은 이통사의 당연한 권리.Mobile topics 2012. 1. 25. 08:30
최근에 SKT는 방통위의 권고사항을 받아들여 LTE 스마트폰에 3G USIM을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해주겠다는 발표를 했다. 즉, 국내에서 출시한 LTE 스마트폰(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옵티머스 LTE, 베가 LTE 등)과 LTE 태블릿(갤럭시 8.9 LTE)에서 3G USIM을 꽂아서 기존의 3G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사용자의 USIM 변경 이용 권한을 제한하는 것은 안된다는 방통위의 입장을 SKT가 받아들인 결과다. SKT는 3월 중순까지 내부 시스템 정비를 끝낸 다음에 3G USIM을 인식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를 했다. 하지만 3G USIM 허용에 제한을 또 같이 뒀다. LTE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신규가입이나 신규 기..
-
소니에릭슨에서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로 재탄생 후 첫 번째로 내놓는 스마트폰 Xperia NXT 시리즈인 Xperia S와 첫 번째 LTE폰인 Xperia ionMobile topics 2012. 1. 21. 10:45
최근 소니는 에릭슨과의 조인트 회사인 소니에릭슨의 에릭슨 주식을 100% 다 사들이고 소니에릭슨을 소니의 자회사로 만들었다. 그리고 소니에릭슨에서 에릭슨을 버리고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뭐 소니에릭슨이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이하 SMC)라고 이름만 바꾼 것과 별반 다를바가 없지만 뭐 내부적으로는 꽤나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번 CES 2012에서 SMC는 새로운 스마트폰을 선보이게 된다. SMC는 기존의 소니에릭슨 때 스마트폰 브랜드로 사용했던 Xperia를 그대로 가져갔다. 다만 똑같이 가져간 것은 아니고 NXT(아마도 Next의 약자가 아닐까 싶다 NXT는 Next Generation Smartphone의 약자란다. 너무 직설적인 네이밍이기..
-
HD 해상도에 어울리는 것은 역시 LTE, 하지만 망 안정화와 요금제라는 약점이 문제인데..Mobile topics 2011. 12. 21. 20:15
최근들어 이통사들이 열심히 밀고 있는 방식은 다름아닌 LTE다. 계속 4G, 4G를 외치고 있기는 한데 그 4G라는 것이 LTE며 SKT, LG U+는 이미 서비스를 시작했고 KT는 LTE 사업을 위해 2G 서비스를 욕을 먹어가면서까지 어떻게든 끝내려고 하고 있다. 그만큼 LTE는 이통사 입장에서 봤을 때에는 새로운 수익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듯 싶다. 이통사들 뿐만이 아니다. 삼성이나 LG, 펜택과 같은 제조사들도 LTE를 지원하는 LTE 스마트폰들을 대거 내놓기 시작했다. 갤럭시 S2 LTE, HD LTE를 비롯해서 옵티머스 LTE, 베가 LTE와 같은 스마트폰 계열의 LTE 제품들과 갤럭시 노트와 같은 태블릿폰 계열의 LTE 제품에 갤럭시 탭 8.9 LTE와 같은 태블릿에도 LTE 제품들이 나오고..
-
LTE! 확실히 빨라진 속도. 하지만 부족하면서도 불안정한 망 상태는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데.Mobile topics 2011. 12. 4. 09:00
TV CF를 통해서 SKT의 LTE와 LG U+의 LTE에 대한 CF들이 아주 불을 뿜고 있다. 게다가 곧 KT도 LTE 서비스를 실시하려고 하고 있으니 국내 이통3사 모두가 LTE에 목숨을 거는 진검승부를 하게 될 듯 싶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LTE에 대한 이통사들의 전쟁이 시작될 듯 싶다. 이통사들 뿐이겠는가? 삼성, LG, 팬택 등의 국내 제조사들은 물론이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들도 LTE 스마트폰에 대해서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LG의 옵티머스 LTE나 삼성의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8.9, 그리고 SKY의 베가 LTE 등 수많은 LTE 스마트폰들이 나와서 아주 장난 아니게 싸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통사와 제조사들..
-
[Motorola RAZR] 시원시원한 남성적인 디자인이 매력적인 모토롤라 제품들 중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RAZRReview 2011. 12. 2. 15:28
개인적으로 모토롤라 스마트폰을 계속 써왔다. 한국 최초로 출시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모토로이부터 시작해서 미국에서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드로이드의 국내버전인 모토쿼티(개인적으로 출시시기가 무척이나 아쉬웠던 녀석이다), 그리고 생활방수기능이 매력적이었던 디파이까지 쭉 사용해왔다. 모토롤라의 스마트폰들은 미국에서는 나름 인기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국내에서는 삼성이나 LG, 팬택과 같은 국내 제조사들, 그리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의 제품에 상대적으로 밀리는 감이 없잖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모토롤라의 명성에는 걸맞지 않게 말이다. 뭔가 2%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최근에 출시한 모토롤라의 최신 스마트폰인 레이져(RAZR)를 보게 되었다. 국내에는 모토롤라 레이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