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G
-
버라이즌용 아이폰4 CDMA 버전 출시? 이것이 과연 국내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Mobile topics 2010. 8. 12. 13:56
iPhone 4의 CDMA 방식 테스트가 들어갔다는 얘기가 들린다. 실제 망테스트는 아니고 엔지니어들이 타당성 테스트를 한다는 얘기다. engineering verification test(EVT)라고 하는데 여기서 어느정도 타당성이 입증되면 경영진에서 출시할 것인지 결정하고 결정되면 그때부터 직접 망사업자와 협의에 들어가고 출시일자를 얘기한다고 한다. 어찌되었던간에 EVT가 들어갔다는 얘기는 애플 내부적으로도 CDMA 방식의 아이폰을 생각하고 있다는 얘기며 AT&T 이외에 버라이즌도 아이폰을 쓸 수 있게 된다는 얘기가 된다. EVT에는 아이폰4 프로토타입이 테스트로 참여했다고 한다. 버라이즌에 조만간 아이폰4가 출시될 것이라는 루머는 들렸는데 거의 기정사실화 되어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AT&T와 버..
-
커피와 함께 하는 여유를 주는 달콤한 전자책, 인터파크 비스킷Mobile topics 2010. 4. 2. 08:40
비스킷하면 어떤 느낌이 떠오를까? 내 경우 '과자'의 영어단어라는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고 그로 인해 연상되는 것이 달콤함과 고소함이다. 제대로 즐길 줄 아는 사람들은 커피에 곁들여서 마시기도 한다. 일반적으로는 그렇다. 이번에 소개하는 비스킷 역시 어찌보면 이런 달콤함과 여유가 있는 과자같은 아이템이다. 인터파크는 이번에 비스킷이라는 전자책 리더를 내놓았다. 마치 아이팟 터치 2세대를 연상시키는 디자인과 전자잉크(e-Ink)를 활용한 UX를 제공하는 비스킷은 여러가지 면에서 아마존의 킨들을 많이 떠오르게 만든다. 아마도 전자책 리더에 있어서 킨들은 거의 바이블 수준이 아닐까 싶다. 저번주 금요일에는 인터파크에서 비스킷 출시기념 블로거 간담회가 있었다. 여기서 인터파크가 비스킷을 통해서 어떤 사업을 하려..
-
휴대폰을 이용해 무선 인터넷을 맘껏 제공하는 단비와 같은 존재, 단비Mobile topics 2010. 3. 31. 11:50
요즘들어 스마트폰을 비롯해서 넷북 등 다양한 MID(Mobile Internet Device)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인정을 받아 점점 성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재작년부터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넷북부터 시작하여 작년말에 국내에 출시한 아이폰의 등장으로 점점 국내에서도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까지 다양한 인터넷을 활용하는 MID들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MID들은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얼마든지 재미를 취할 수 있고 또 때에 따라서는 유용하게 쓰일 수도 있는 기기들이다. 다만 언제나 인터넷에 붙어있어야 제 활약을 할 수 있다는 것이 단점이기도 하다. 한국은 그나마 무선인터넷을 잘 사용할 수 있는 나라라고 생각한다. 일단 스타벅스나 탐엔탐스와 같은 커피전문점에만 가도 무..
-
격동하는 무선통신시장. 변화하려는 기업에게는 칭찬을 해주자!Mobile topics 2010. 1. 8. 15:00
한국의 무선인터넷 시장이 요동을 치고 있다. 물건너 온 애플의 아이폰의 등장으로 무선통신시장이 격동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국내 이통사 및 제조사들의 반격이 거세지면서 전통적으로 지속되어온 고비용의 무선인터넷 시장이 점점 그 장벽이 낮아지기 시작하고 있다. 부담스러운 가격으로 기억되고 있는 무선인터넷 요금이 점점 현실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 무선인터넷을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점점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아이폰 때문에 이뤄진 것은 아니지만 아이폰이 씨앗역할을 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아이폰의 등장, 극과 극으로 대립되는 국내 이용자들 아이폰의 등장으로 좀 재미난 현상이 생겼다. 아이폰과 옴니아가 경쟁이 붙었다는 것이다. 분명 언론에서 부추킨 부분이 있기에 좀 과장된 부분도 있지만 옴니아로 ..
-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09. 12. 24. 12:32
구글 넥서스 원 시리즈. 1.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 스마트폰? 국내 출시는? 2.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 3. 글이 만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국내 출시는 어렵지 않을까? 구글이 이번에 발표한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인 넥서스 원. 일단 외부에 알려지기로는 스마트폰으로 알려졌다. 여러 언론들이 그렇게 얘기하고 있으니까. 하지만 스마트폰이라고 불리기는 좀 애매한 부분들이 있다. 왜 그럴까? 먼저 스마트폰에 대한 기준을 나름 정의하고 들어가야 할 듯 싶다. 여기서 말하는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 기능을 갖추고 있는, 즉 전화 기능이 있는 휴대폰 위에 오픈 플랫폼을 얹어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만드는 휴대폰을 의..
-
소문 속의 구글에서 만든 구글 폰, 넥서스 원! 내년 1월에 출시? (조만간 출시임박)Mobile topics 2009. 12. 14. 19:15
정말로 구글 폰이 나오는 것일까? 테크크런치를 비롯한 여러 IT 언론들이 일제히 구글 폰에 대한 이슈들을 쏟아내고 있다. 구글 폰이라고 알려진 디바이스의 유출된 사진들이 공개되면서 구글의 자체 브랜드를 지닌 안드로이드 탑재 구글 폰에 대한 공식적인 사실 확인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The Unlockr를 통해서 유출된 구글 폰의 사진을 보면 마치 hTC의 HD2를 보는 듯한 느낌을 갖는다. 그도 그럴것이 일단 구글 자체 브랜드 폰이 될 구글 폰의 하드웨어는 hTC에서 맡아서 제작하고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자체 구글 폰의 이름은 "넥서스 원(Nexus One)"이라고 알려졌다. 이름 때문인지 이 폰을 사게 되면 프로브가 한 4마리정도 같이 딸려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고 브루스님이 ..
-
KT의 승부수. 와이브로를 중심으로 3W 전략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바람을 일으킬까?Mobile topics 2009. 11. 27. 10:35
요즘 스마트폰이 대세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에서 아이폰이 일으킨 스마트폰 열풍은 MS로 하여금 윈도 모바일의 업그레이드를 끌어냈고 구글로 하여금 안드로이드를 내놓게 했으며 노키아가 심비안을 오픈소스로 돌리고 그것도 모잘라 마에모를 만들게 했으며 뿔뿔이 흩어져있던 임베디드 리눅스들을 한데 모아(?) 리모라는 모바일 리눅스 플랫폼을 탄생하게 했다. 물론 아이폰이 이 모든 것을 다 이끌고 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분명 태생의 씨앗이 된 것은 확실하다. 아이폰이 실패했다면 지금의 스마트폰 열풍은 처음부터 없었을테니까 말이다. 아마도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의 1% 정도밖에 안되는 비율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여하튼간에 아이폰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
-
SKT의 해외 진출은 계속 진행 중.. 이번에는 카자흐스탄..IT topics 2009. 7. 22. 13:00
SKT의 해외진출의 꿈은 계속 지속되는가 보다. 미국, 몽골, 베트남, 중국 등에 진출해서 이미 쓰디쓴 실패를 맛봤던 SKT는 이번에는 카자흐스탄으로 눈을 돌려서 다시 한번 해외진출을 노리고 있다는 뉴스가 들어왔다. 다름아닌 SKT가 2주전 카자흐스탄의 제3 이통통신사업자인 모바일텔레콤서비스 인수를 위한 의향서를 제출했다는 뉴스다. SKT측은 단지 인수 대상기업의 실사를 위한 인수의향서만 제출했을 뿐, 실질적으로 입찰할지 여부는 아직 정해진바 없다고 말하고 있지만 지분의 51%을 확보해서 경영권을 인수하려는 점으로 봤을 때 모바일텔레콤서비스를 중심으로 카자흐스탄에 SKT 서비스를 내놓으려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가능하다. SKT는 미국에 힐리오(Helio) 프로젝트를 통해 본격적으로 해외진출을 시도했었지..
-
3G 통신망을 이용해서 게임을 다운받아서 실행하는 게임 콘솔, ZeeboIT topics 2009. 3. 26. 08:24
게임 콘솔이 통신을 한다면? 아니… 게임 콘솔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접목할 수 있다면? 우리가 PC나 휴대폰 등에서 응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과는 좀 다른 접근 방식이겠지만 충분히 통신을 이용한 방법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게임 콘솔이 존재한다. 전혀 색다른 방법으로 게임을 할 수 있는 이 콘솔의 정체는 뭘까? Zeebo라 불리는 이 콘솔에서 사용되는 칩셋은 MSM7200 칩셋이다. 이 칩셋은 528MHz ARM 프로세서슬 사용하며 소니에릭슨 Xperia X1에서 사용하고 있는 칩셋과 같은 것이다. 이 게임 콘솔에는 디스크나 카트리지가 없다. 모든 게임은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한다. 어디서? 바로 온라인 스토어에서 3G망을 이용하여 다운받아서 게임을 한다. Zeebo가 퀄컴의 MSM7200을 ..
-
[햅틱2] 이제는 나도 3G 번호 이용자. 햅틱2를 본격적으로 이용해보자~Review 2008. 11. 3. 10:39
이번에 휴대폰 전화번호를 2G에서 3G로 이동했다. 덕분에 근 10년넘게 써오던 019도 010으로 바뀌게 되었다. 그나마 다행은 이전에 쓰던 전화번호에서 앞에 5만 더 추가되었다는 것이다. 즉, 예전에는 019-xxx-xxxx였는데 지금은 010-5xxx-xxxx라는 것이다(x는 이전과 지금이 같다). 여하튼 나도 이제는 010 번호를 쓰게 되었다는데 의미가 있다. 2G에서 3G로 이동하게 된 계기는 다름아닌 햅틱2 때문이다. TNM을 통해서 삼성전자의 햅틱2 리뷰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다른 사람들은 그저 SIM카드만 바꾸면 기존에 쓰던 휴대폰에서 햅틱2로 바꿀 수 있었지만 내 경우에는 2G이기 때문에 3G로 바꾸지 않는 이상에는 어려웠다. 그래서 대략 2주동안은 휴대폰 따로, 햅틱2 따로 갖고다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