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
[iPhone 5] 아이폰5에 대한 디자인에 대한 가벼운 생각 (아이폰5 구매 기념?)Review 2013. 1. 8. 14:01
최근 이런저런 말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아이폰5를 구매를 했다(어떤 방식으로 구매했는지는 밝히지 않을 생각이다 ^^). 예전에도 아이폰 3Gs와 아이폰4를 사용했었고 아이패드 1을 사용했고 지금도 뉴 아이패드도 사용하고 있으며 아이맥과 맥북 프로, 맥북 에어, 유니바디 맥북(현재 단종)까지 다 사용했던 사람이기 때문에 iOS UI에 대해서는 불편함이나 거부감이 없다는 점도 구입에 한몫 한 듯 싶다(뭐 그런 이유보다는 쭉 갤럭시 시리즈 등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만 사용했는데 다시 아이폰을 사용해보는 것도 나쁘지는 않겠다 하는 생각이 컸다). 그래서 오늘은 가볍게 아이폰5 외관만 살펴볼까 한다. 이미 알려진대로 아이폰5는 기존 아이폰4S에 비해서 0.5인치 더 커진 4인치 화면을 지닌다. 그런데 4:3 비율을..
-
스마트한 일정관리와 달력보기. 스마트폰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캘린더 앱을 살펴보자.Review 2013. 1. 4. 08:00
해가 바뀔 때면 회사에서 지급하기도 하고, 지인으로부터 선물받기도 하면서 달력이나 다이어리가 생기곤 한다. 생각해보니 다이어리나 달력을 내 돈주고 사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는 않은 듯 싶다. 꼭 쓰고 싶은 다이어리나 달력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말이다. 어찌되었던 내년을 위해서 다이어리나 달력을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그런 달력이나 일정관리를 스마트폰으로 하면 어떨까? 개인적으로 휴대폰에 있는 일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무척이나 애용하는 편이다. 늘 들고 다니는 휴대폰이기에 언제든지 일정관리 어플을 통해서 개인비서 역할을 충분히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으로 넘어오면서는 더욱 편리해졌다. PC에서 입력해서 스마트폰으로 동기화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말이다. 오늘은 그런 스마트폰용 달력 어플리..
-
2012년 스마트폰, 태블릿 PC 시장의 특징을 살펴본다면...Mobile topics 2012. 12. 11. 10:06
올해는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시장이 상당히 발전했던 한해라는 생각이 든다. 스마트 모바일 단말기 시장은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라는 2개의 카테고리를 묶는다는 생각을 할 때 양쪽 모두 다 작년에 비해 많은 발전이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태블릿 PC 시장이 성장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이 많이 축소될 것이라고 했지만 태블릿 PC 시장이 성장하는 만큼 스마트폰 시장도 만만찮게 성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물론 올해는 작년에 비해 태블릿 PC 시장의 성장속도가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속도를 넘어선 것이 사실이지만 아직까지 사람들의 손에는 태블릿 PC보다는 스마트폰이 더 많이 들리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태블릿 PC 시장은 이제 성장하기 시작하는 단계라 보여지며 스마트폰 시장은 성장단계를 넘어서서 슬슬 성숙기에 들어서는 것..
-
과연 2012년도 모바일 시장을 이끈 IT 업체들의 성적표는 어떨까?Mobile topics 2012. 12. 6. 08:00
2012년은 모바일 시대가 빅뱅과 함께 내부의 세대교체를 슬슬 시작하려고 하는 모습이 보인 시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마트폰 시장은 빅뱅의 시기를 지나 성숙기에 들어섰다는 평가를 받았고 태블릿 PC 시장은 본격적으로 활개를 치려고 웅크리고 있던 몸을 쭉 펴기 시작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직 2012년도가 다 끝나지는 않았지만 올해의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보다 태블릿 PC 시장의 성장이 좀 더 크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이 든다. 이번에는 모바일 시장을 이끈 업체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스마트폰 시장에서의 성과와 태블릿 PC 시장에서의 성과를 돌아보면서 2012년도에 어떤 한 해를 보냈는가를 살펴보려고 한다. 일단 국내에서 좀 활약했던 업체들을 중심으로 보고 그 다음에 해외로 눈을 돌릴까 한다. 삼성전자 ..
-
[갤럭시 노트 2] 학주니가 사용하는 갤럭시 노트 2의 사용법Review 2012. 11. 28. 15:25
그동안 갤럭시 노트 2에 대한 다양한 사용법에 대해서 이 블로그에서 다뤄봤다. S펜을 활용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했고 S노트 및 페이퍼아트 등 다양한 갤럭시 노트 2의 앱들을 활용해서 재밌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이 블로그의 쥔장인 학주니가 사용하는 갤럭시 노트 2의 활용법은 어떨까? 오늘은 그것을 간단히 언급하려고 한다. 개인적으로 아이폰도 맘에 들고 윈도 폰도 맘에 들지만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 많은 편의성을 느끼고 있는데 안드로이드 플랫폼 자체가 기본적으로 갖고 있는 바탕화면의 위젯 기능이 무척이나 유용하기 때문이다. 거기에다 갤럭시 노트 2는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화면이 크기 때문에 터치 키패드에 오타를 입력할 확률이 다른 스마트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어지간히 손가락이 ..
-
태블릿 PC의 현재의 소비성 도구로서의 제한적인 활용성 및 생산성 도구로서의 확장Mobile topics 2012. 11. 27. 08:30
스마트폰 시장에 이어 태블릿 PC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다. 이제는 성장단계에 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마트폰 시장에 비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던 전문가들의 예측이 보기 좋게 빗나가고 있다. 하지만 사용 패턴은 기존 스마트폰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게 현실이다. 이것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태블릿 PC 시장 2010년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아이패드는 태블릿 PC 시장의 본격적인 시작과 동시에 폭발적인 성장의 불씨를 지핀 결과를 가져왔다. 아이패드가 나온 뒤에 삼성의 갤럭시 탭 시리즈들이 줄줄이 나오기 시작했고 와콤 센서를 탑재한 펜을 지닌 갤럭시 노트 10.1이라는 녀석까지 나오게 되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경우 기존 휴대폰 메이커들이 휴대폰을 만들던 ..
-
모바일 시장의 역사와 스마트폰의 소비성 도구로서의 제한적인 활용성Mobile topics 2012. 11. 19. 08:22
요즘은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들고 다닌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태블릿PC도 같이 들고 다닌다. 최근 들어 이런 스마트 기기를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라고 할만하다. 그리고 이것들을 나름 잘 활용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사용패턴들이 단조롭고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도 그렇고 태블릿PC도 그렇고, 혹은 노트북도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그 사용도 그렇고, 지금의 패턴 그 이상으로 활용이 가능한데 그렇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들을 어떻게 더 활용할 수 있을까? 대한민국 모바일 시장의 역사와 그 흐름 1990년대에 휴대폰 전성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까지는 이른바 피쳐폰이라 불리는 휴대폰의 전성시대가 진행되었다. 어떻게 보면 대한민국의 모바일 시대 ..
-
스트레스가 만땅 쌓이는 삶 속에서 스마트폰이 제공해주는 명상에 빠져 스트레스를 어느정도 해소해 본다면 어떨까?Mobile topics 2012. 10. 4. 08:30
요즘들어 직장인들 뿐만이 아니라 학생들도 스마트폰을 많이 들고 다닌다. 주로 어떤 용도로 사용하는 것일까? 지하철이나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DMB로 TV 시청을 하거나 카카오톡으로 친구와 채팅을 하거나, 아니면 모바일 웹서비스를 이용한 뉴스 읽기를 하던지, 웹툰을 보던지... 이런 작업들이 대다수인 듯 싶다. 주변에서 그동안 봐왔을 때는 그렇다는 얘기다. 요즘은 스트레스의 시대라고들 한다. 사방팔방에서 수많은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직장인들은 일로 인한 스트레스, 사람관계에서의 스트레스, 결혼한 후에는 가정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할 것이다. 입시를 앞둔 학생들에게는 더더욱 이런 스트레스는 심할 것이라 생각이 든다. 보통 이런 스트레스를 푸는 방법..
-
유심(USIM)들을 모아두니 이것도 나름 재밌네..Mobile topics 2012. 10. 1. 08:00
그냥 가벼운 이야기. 전에도 얘기했지만 이 블로그에 무거운 주제만 쓸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그냥 끄적이는 글.. ^^; 처음 휴대폰이 나왔을 때에는 USIM이라는 것이 없었다. 단말기에 직접 통화관련 개인정보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지금도 LG U+의 CDMA 2.5 Rev.A 방식에는 USIM없이 바로 휴대폰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예전에 햅틱 아몰레드가 LG U+꺼였는데 따로 USIM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찌되었던 USIM은 3G 이후부터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편할 듯 싶다. 뭐 이런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위의 USIM들은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USIM들이다. 모두 3G USIM이며 KT(SHOW)와 SKT USIM이다. 이래저래 많이도 사..
-
고가의 스마트폰 출시와 이통사들의 보조금 전쟁. 국내 통신환경의 발전을 위해서는 보급형 스마트폰 출시와 함께 서비스 개선에 투자해야 할텐데..Mobile topics 2012. 9. 27. 12:00
갤럭시 노트 2가 발표되었다. 지금까지 나온 스마트폰들 중에서 일단은 가장 최고 사양이다. LG의 괴물폰, 회장님폰이라고 불리고 있는 옵티머스 G보다도 일단은 세부적인 스팩으로는 좀 더 앞선다(단 옵티머스 G는 스마트폰 계열이고 갤럭시 노트 2는 일단 스마트폰이지만 삼성에서는 다른 카테고리로 취급해달라고 하는 듯 싶어서 ^^). 팬텍의 베가 R3보다도 일단은 스팩상으로는 우위에 있다고 본다. 여하튼간에 현재로서는 사양만큼은 최고다. 사양 만큼이나 출고가 역시 최고다. 베가 R3가 90만원대 후반로 출고가가 결정되었고 옵티머스 G 역시 999,900원으로 100만원에 100원 모자른 가격으로 출고가가 결정되었는데 갤럭시 노트 2는 1,089,000원(32GB), 1,155,000원(64GB)으로 100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