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
-
이제 한국에서도 구글 폰과 안드로이드 마켓에 대한 준비가 필요한 시기가 아닐까...Mobile topics 2010. 1. 27. 11:39
구글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내놓고 각 제조사마다 다양한 안드로이드 탑재 구글 폰들을 내놓으면서 구글 폰도 아이폰 못지않은 세력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작년 12월에 미국에서는 구글 폰의 판매율이 급상승해 아이폰 못지않게 성장했다는 뉴스도 들렸다. 바야흐로 구글 폰의 전성기가 조금씩 다가오는 듯 보인다. 애플의 아이폰이 스마트폰의 개화기를 열었다면 구글 폰은 그 전성기를 이끌어가는 선장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인다. 한국도 이제는 이런 바람을 탈 때가 온듯 싶다. 작년말에 오랜 숙원끝에 도입된 아이폰은 한국에 스마트폰 열풍을 가져왔다. 도입때만큼은 아니지만 지금도 하루 평균 2~3000개씩 개통이 되는 아이폰으로 인해 한국의 개발자, 사용자 모두 스마트폰 열풍속에 살고 있는 중이다. 이런 와중에 드디어 구글 ..
-
KT의 승부수. 와이브로를 중심으로 3W 전략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바람을 일으킬까?Mobile topics 2009. 11. 27. 10:35
요즘 스마트폰이 대세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에서 아이폰이 일으킨 스마트폰 열풍은 MS로 하여금 윈도 모바일의 업그레이드를 끌어냈고 구글로 하여금 안드로이드를 내놓게 했으며 노키아가 심비안을 오픈소스로 돌리고 그것도 모잘라 마에모를 만들게 했으며 뿔뿔이 흩어져있던 임베디드 리눅스들을 한데 모아(?) 리모라는 모바일 리눅스 플랫폼을 탄생하게 했다. 물론 아이폰이 이 모든 것을 다 이끌고 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분명 태생의 씨앗이 된 것은 확실하다. 아이폰이 실패했다면 지금의 스마트폰 열풍은 처음부터 없었을테니까 말이다. 아마도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의 1% 정도밖에 안되는 비율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여하튼간에 아이폰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
-
KT의 아이폰 무선랜 제어 요청 뉴스, 진실게임의 승자는?Mobile topics 2009. 10. 27. 10:46
어떤 것이 진실일까? KT의 아이폰 무선랜 제어에 대한 기사로 인해 트위터와 블로고스피어가 뜨거워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KT가 애플에 아이폰의 무선랜 제어를 요청했다는 내용의 기사가 전자신문을 통해서 나왔는데 이 내용으로 인해 KT도 SKT와 똑같다느니, 심지어는 더럽다는 얘기까지 돌고 있는 상황이다. KT, 애플에 "아이폰 무선랜 제어…안되겠니?" (전자신문) 이에 대해서 KT는 그런일 없다고 발끈(?)하고 있는 상황이다. KT의 공식(?) 트위터인 @ollehkt는 트위터에 연속해서 공지를 올리며 기사의 내용은 사실이 아니니 잘못된 정보에 현혹되지 말라고 말하고 있다. ollehkt : [공지1] 전자신문 27일자 기사관련해 아래와 같이 사실확인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KT는 애플측에 무선랜 접속 ..
-
작은 스마트폰 시장, 시장 전체를 키울 것인가? 아니면 자기만 살아남을 것인가?IT topics 2009. 9. 17. 15:46
먹이를 하나두고 열심히 경쟁(?)중인.. -.-; 서로 경쟁하는 플랫폼들끼리 서로가 서로를 광고해준다면 어떤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 일반적으로 경쟁사들끼리는 상대의 제품에 대해서 깎아내리기 바쁘지 광고해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는 것이 업계의 불편한 진실(?)이 아닐까 싶다. 적어도 국내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풍경이다. 아무리 좁디좁은 시장이라도 경쟁관계에 있다면 상대가 죽어야 내가 산다는 어찌보면 단순한 1차원적인 생각으로 인해 독점을 노리려고 한다. 국내 웹 포털시장을 보면 얼추 이해가 되지 않는가? 그런데 해외에서는 그렇지 않은가보다. 경쟁관계에 있다고 하더라도 먼저 생각해야 할 부분이 바로 시장 자체를 키우는 일이다. 시장이 크면 그만큼 얻어가는 것도 많다. 작은 시장에서 장사하는 것보다는 ..
-
삼성의 전략폰, 제트가 국내에 출시 안 되는 이유를 보면서...Mobile topics 2009. 6. 23. 08:06
이번에 발표된 삼성의 전략폰인 제트(Jet, S8000)가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을 것이라는 뉴스가 나왔다. 제트가 GSM 기반의 2G 모델이기에 CDMA, 그리고 WCDMA가 기반인 국내 상황하고는 맞지 않는다는 판단에서 출시를 하지 않는다고 삼성 관계자가 말하고 있다고 한다. 대신 제트와 비슷한 레벨의 다른 모델을 국내에 런칭할 계획이라고 한다. 일단 외적으로 보이는 제트의 국내 런칭 불발의 이유는 이렇다. 하지만 국내 모바일 업계의 사정을 아는 사람이라면 삼성 관계자의 말이 그냥 변명이라는 것을 안다. 변명이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이 둘러대는 말일 뿐이다. 국내 출시를 위해서는 이통사와 협의를 해야 하는데 그 가운데서 이통사의 요구사항을 수용해서 수많은 변화(라고 쓰고 스팩 다운이라고 해석한다 –.-..
-
블로그의 규모를 키우고 싶다면 소규모 블로그 네트워크를 시도해보자.Blog 2009. 2. 20. 14:15
요즘 프로 블로거라는 책을 읽고 있다. 데런 로즈가 만들고 블칵의 주성치님이 번역한 책인데 주성치님 블로그의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책을 받았다. 평소에 읽고 싶었던 책인데 딱 좋은 타이밍에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즐겁게 읽을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 프로 블로거라는 책은 ProBlogger.net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프로 블로거인 데런 로즈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통해서 어떻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최근 블로그마케팅이나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때에 흥미있는 내용들이 많은 책이라 생각이 든다. 뭐 수익을 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겠지만 일단 블로그를 통해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트래픽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이다. 물론 쓸..
-
글꼴 크기의 변화가 생긴 구글 애드센스. 과연 수익에는 변화가?IT topics 2008. 12. 15. 11:01
구글 애드센스에 변화가 좀 일어나는거 같다. 예전에 애드센스 정책의 변화로 인해 수익이 보통은 절반, 심하게는 10분의 1로 떨어진 상황에서 그나마 이번 변화는 수익에 있어서 약간의 보상은 될 듯 싶다. 일단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에 포스팅된 내용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변화가 생겼다고 한다. 딱 보면 알겠지만 글자크기가 좀 커졌다. 그에 따라서 클릭을 할 수 있는 영역도 기존에 비해서 좀 더 커졌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예전처럼 블럭단위로 클릭이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기존에 비해서 클릭할 수 있는 영역이 커졌다고 생각할 수 있고 그만큼 수익에도 좀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또한 애드센스 블로그에 따르면 이러한 크기변화로 광고에 대한 몰입도(?)가 예전보다 소폭 상승했다는 얘기도 하는 것을..
-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 포스팅 이벤트 개최IT topics 2008. 11. 17. 16:34
구글에서 애드센스에 대한 포스팅 이벤트를 한단다. 애드센스에 대한 팁이나 그동안의 사용기를 적어서 구글에 보내면 좋은 포스트를 뽑아서 애드센스 블로그에 포스팅할 수 있는 기회와 동시에 소정의 상품을 준다고 한다. 응모기간은 오늘(11월 17일)부터 11월말(11월 30일)까지라고 하며 대상은 에드센스를 설치한 모든 블로그라고 하며 응모방법은 자신의 블로그에 애드센스에 대한 팁이나 경험을 쓴 다음 그 블로그 포스트 URL을 구글에 보내면 된다고 하는데 자세한 것은 [여기]를 클릭하면 구글 애드센스 블로그로 넘어가니 거기를 참고하시면 된다. 블로그에 가보면 응모할 수 있는 폼이 있는데 거기에 정보와 함께 해당 블로그 포스트 URL을 적어서 보내면 된다. 선정된 포스트에 대해서는 구글측에서 수정할 수 있는 권..
-
휴대폰에서는 지원하지 못하는 DRM Free라..Mobile topics 2008. 7. 30. 17:08
좀 웃기는 상황이 연출되고야 말았다. 30일부터 DRM Free 음원을 내놓겠다고 하던 멜론과 도시락의 DRM Free가 휴대폰에서는 적용되지 않을 듯 싶다. 음악저작권업체들이 휴대폰의 DRM Free 정책에 반대하기 때문이다. 만약 MP3P나 PMP등의 멀티미디어 기기에는 DRM Free가 적용되고 휴대폰에는 그대로 DRM 정책이 적용된다면 DRM Free 정책은 말 그대로 반쪽짜리 정책밖에 안될 것이다. 음악저작권업체들은 휴대폰에서 음악을 들을 때 DRM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MP3 파일을 바로 들을 수 없도록 하는 지금의 방식을 계속 유지하기를 바라고 있다고 한다. SKT 서비스를 사용하는 휴대폰은 멜론 DRM이 적용된 파일만을 들을 수 있고 KTF 서비스를 사용하는 휴대폰은 도시락 DRM이 적용된..
-
이젠 DRM Free가 대세다!IT topics 2008. 7. 29. 22:42
SKT의 멜론과 KTF의 도시락이 DRM Free 음원을 시장에 내놓기로 했다고 한다. 그동안 공정위에 소송까지 걸면서 DRM 음원을 고수했던 SKT는 결국 대세(?)를 못이겨 DRM Free로 발길을 옮긴 것이다. 멜론은 내일(30일)부터 월 5천원에 40곡을, 아니면 월 9천원에 150곡을 DRM이 없는 음악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내놓는다. 도시락 역시 비슷한 수준에서 DRM Free 상품을 내놓는다고 한다. 이통사들이 그동안 주수익원이나 다름없던 DRM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뭘까? 문광부가 최근에 내놓은 개정된 음악저작권 징수규정이 그 이유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더 찾아봐야 하겠지만 저 규정으로 인해 DRM Free도 가격 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일단 DRM Free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