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
-
MS의 Bing, 구글을 뛰어 넘을려면 강력한 마케팅이 필요하다...IT topics 2009. 6. 16. 19:11
MS가 이번에 내놓은 신형 검색엔진 빙(Bing)이 상당한 이슈를 몰고오며 구글의 아성에 강력하게 도전하고 있다. 한때 네이버에서는 빙이 검색어 순위 1등을 차지한 적도 있으며 해외에서도 빙의 이슈몰이에 관심을 드러내며 구글과의 한판 승부에 대한 기대를 높히고 있는 중이다. MS가 그동안 구글에 눌려있던 검색엔진 시장에서 나름대로의 자리를 잡기 위해 수없이 투자해온 검색엔진 투자의 역사를 보면 이번 빙의 이슈몰이는 어찌보면 MS 입장에서 나름 구글의 대항마로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해본다. MS는 MSN 검색 이후 라이브 검색을 내세우며 구글에 도전했지만 MS 직원들 마저 등돌리게 만든 라이브 검색의 퍼포먼스 한계로 인해 라이브 검색을 대체할만한 검색엔진 개발에..
-
구글, 트위터 전문 검색 서비스를 내놓는 것인가?IT topics 2009. 6. 16. 12:39
구글에서 조만간 트위터에 올라오는 글들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한다. 자세히 말하면 구글이 트위터 등의 마이크로블로그에 올라오는 글들을 검색하는 서비스를 조만간 내놓겠다고 외신들이 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블로그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트위터고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이니만큼 이번 구글이 내놓겠다는 마이크로블로그 검색 서비스는 결국 트위터 검색 서비스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물론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 Hi5, 베보 등의 다양한 SNS가 존재하고는 있지만 이들을 마이크로블로그라고 보기는 좀 어렵기 때문에 저렇게 불리는 듯 싶다. 구글이 마이크로블로그 검색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해서 구글이 직접 마이크로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결국 있는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들을..
-
MS의 새로운 검색엔진, Bing. 간단히 둘러본 결과는...?IT topics 2009. 6. 2. 12:41
최근 MS가 구글에 뒤쳐진 검색엔진 시장을 되찾기 위해 심혈을 기울여 만든 검색엔진을 드디어 공개했으니 Bing(빙)이라는 좀 특이한 이름의 검색엔진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MS가 라이브 검색을 대신할(라이브 검색의 차기 버전) 검색엔진으로 그동안 Kumo(쿠모)라는 검색엔진을 내부적으로 테스트하고 있었는데 공개될 때는 쿠모라는 이름 대신 빙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를 했다. 빙에 대한 속사정 이야기는 좀 나중에 하기로 하고 일단 간략히 돌아본 빙의 느낌을 살펴보도록 하자. 빙의 가장 큰 특징은 아마도 썰렁하기 그지없었던 라이브 검색 스타일에 화려한 배경 그림을 넣었다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검색엔진의 황제라 일컫는 구글도 썰렁하기 그지 없고 야후 역시 흰 바탕에 글씨만 쫘르르 있는 스타일인지라 식상할..
-
승승장구하던 구글, EU에 반독점법으로 철퇴맞을 위기에 놓였다는데...IT topics 2009. 5. 19. 11:47
구글의 행보를 보면 과거 MS가 하던 패턴을 많이 쫓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절대적인 점유율을 기반으로 여러 서비스들을 연계하고 수익모델을 만들어내는 것들은 예전에 MS가 했던 사업패턴과 흡사하다. 그런 이유에서일까? 반독점법에 심사받는 것도 MS의 전력을 그대로 쫓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구글은 구글맵스의 발전형 서비스인 스트리트뷰 서비스를 내놓는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곧 사생활 침해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카메라가 달린 자동자가 지나가면서 주변을 쭉 찍는 동안에 공개를 원치 않은 사람들의 생활들이 드러나기 때문이었다. 충분히 일리있는 이유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꽤나 구글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EU가 구글을 대상으로 반독점법 적용을 검토중이라고 알려지면서 잘나가던 구글의 앞..
-
과연 구글이 네이트, 파란, 야후를 제치고 국내 3위의 검색엔진이 될 수 있을까?IT topics 2009. 4. 24. 08:45
구글이 과연 한국에서 네이버, 다음에 이어 제 3의 검색엔진이 될 수 있을까? 22일에 구글코리아는 상반기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구글 사용자가 한국 내에서 급격하게 늘고 있다고 말하며 전년도 대비 47%(업계 평균은 16%)나 성장했다고 말했다. 또한 구글지도와 iGoogle의 사용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조만간 네이버, 다음에 이은 업계 3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현재 이 업계 3위를 네이트, 야후, 파란이 치열하게 다투고 있는데 이들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내용이다. 그만큼 구글의 한국 내에서의 위상이 많이 높아졌다는 얘기일 것이다. 이날 성과발표회에서는 유튜브 사건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고 구글코리아는 유튜브는 법 적용대상이 더이상 아니라는 것으로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마무리지을려고 ..
-
MS는 쿠모로 검색엔진 싸움에서 구글을 이길 수 있을까?IT topics 2009. 4. 23. 08:40
MS는 오래 전부터 검색엔진에 대한 투자를 해왔다. 그것도 천문학적인 금액을 퍼부어서 말이다. 하지만 MS의 블랙홀은 다름아닌 검색엔진이라고 한다. MS의 수익원인 윈도, 오피스 등의 데스크탑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MSN, 라이브 서비스 등의 인터넷 서비스들은 투자대비 효과를 많이 못거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중에서 향후 구글을 견제하기 위해 열심히 돈을 퍼부어대고 있는 라이브 검색은 그 결과가 참담할 정도다. MS 사내에서마저 구글 검색에 밀리고 있다고 하니 일반 사용자들은 어련하려나(-.-). MS는 라이브 검색의 차기 버전으로 쿠모라는 이름의 검색엔진을 준비하고 있다고 여러 언론을 통해서 밝혔다. 하지만 쿠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개되어있지 않다. 지난 3월에 내부 테스트를 시작했다는 소식이 ..
-
Digg.com의 새로운 검색엔진. 과연 구글, 야후와의 경쟁에서 살아남을까?IT topics 2009. 4. 13. 09:24
Digg.com은 국내 서비스로 와 비교하자면 올블로그나 블로그코리아, 믹시와 같은 메타블로그사이트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쉽다. 뭐 최근의 모습으로는 믹시와 다음블로거뉴스의 혼합형처럼 보이기도 하고 말이다. 국내에서는 위의 메타블로그사이트들을 많이 이용하지만 해외의 경우 Digg를 많이 이용한다. 나 역시 가끔 해외 블로그에 어떤 글들이 올라오는가 볼때는 Digg를 종종 이용하곤 한다. 미국의 통계회사인 comScore에 따르면 2009년 2월에 Digg.com은 1900만명의 방문자를 기록했으며 8500만회의 페이지뷰를 기록했다고 한다. 그런데 Digg.com 자체에도 검색엔진이 있는데 사용률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많은 방문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검색률은 많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
-
세상의 모든 동영상을 다 검색해 줄려고 노력하는 서비스, 엔써미IT topics 2009. 3. 25. 16:46
동영상들을 검색할 때 주로 어디를 많이 이용할까? 많은 네티즌들은 네이버를 통해서 검색할 듯 싶다. 네이버에도 통합검색에 동영상 파트가 있어서 동영상을 따로 보여주기 때문이다. 뭐 다음이나 야후 역시 마찬가지다. 혹은 요즘 YouTube를 사용하는 국내 네티즌들도 많아지다보니 바로 YouTube에 접속해서 검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YouTube의 경우 국내 동영상보다는 해외 동영상(내 경우에는 주로 기술적인 내용의 동영상)을 찾을 때 많이 이용하고 주로 국내 포탈사이트들을 이용할 듯 싶다. 여기 괜찮은 동영상 검색 서비스를 하나 소개할까 한다. 예전에 이 블로그에서 몇 번 소개한 적이 있는데 enswer me라는 검색 서비스가 그 주인공이다. 포탈서비스에서 못찾아주는 대부분의 동영상들을 검색할 수 ..
-
구글 애드센스, 구글 검색엔진으로 대체중?IT topics 2009. 3. 24. 09:42
오늘부터인가 어제 저녁부터인가 구글 애드센스에 약간의 변화가 있는 듯 싶다. 그동안 나왔던 공익광고나 혹은 구글 광고 대신에 애드센스 안의 검색광고가 들어간 듯 싶다. 검색광고라기 보다는 구글 검색이 애드센스 안으로 들어갔다. 애드센스 부분에 구글 검색엔진이 들어가버렸다(지금 확인해보니 공익광고나 구글광고 이외에 다른 광고에도 대신 구글 검색이 들어가있는거 같다). 지금도 이 블로그의 구글 애드센스에 구글 검색이 들어가있는데 어떤 변화를 줄려고 하는지 예상하기가 어렵다. 위와 같은 광고가 뜨는데 저건 광고가 아니라 구글 검색엔진이다. 실제로 저기에 검색어를 넣으면 구글 검색결과가 뜬다. 구글의 검색쿼리가 많이 떨어진건가? 왜 저런 짓을? -.-;
-
본격적으로 테스트를 시작한 MS의 새로운 검색 서비스 쿠모IT topics 2009. 3. 4. 11:14
MS의 검색엔진에 대한 투자는 눈물겹다고 해야 할까. 아직은 내부 테스트 프로젝트에 불과하지만 라이브 검색을 업데이트(라고는 하지만 업그레이드가 맞지 않을까?)하고 라이브 검색이라는 브랜드를 다시 리브랜딩(rebranding)하는 의미의 코드네임 ‘Kumo(쿠모)’ 검색서비스가 테스트를 시작했다고 한다. 일단 라이브 검색에 대한 평가는 매우 저렴(?)하다고 할 수 있다.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구글에 밀리는 것은 물론이요 야후에 밀려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MSN 검색이 3등이고 AOL에 밀린 5등을 차지하고 있다. MS가 검색엔진으로 뭔가를 하겠다고 해서 내놓은 라이브 검색은 냉정하게 말하면 실패작이며 그러한 분위기는 MS 내부적으로도 인식하고 있는 듯 싶다. 그래서일까? 라이브 검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