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
-
MS, 유럽에서 검색엔진 점유율을 높혀보겠다고 나서..IT topics 2008. 10. 6. 16:58
MS가 유럽에서 검색엔진 영향력을 더 키우겠다는 뉴스가 나왔다. 미국에서 구글에 밀려 고전하고 있으나 MS는 여전히 라이브 검색으로 계속 검색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울려고 노력하고 있다(그러나 점점 구글에 밀려 점유율을 깎아먹고 있는 상태다). 그런 상황인데 이번에는 유럽에서 검색시장 점유율을 높여보겠다고 발벗고 나선것이다. 뉴스의 내용을 비춰볼 때 MS는 유럽의 3개 도시(파리, 런던, 뮌헨)에 유럽 검색 기술 센터(STC)를 세우고 현지의 다른 검색엔진 연구시설과 제휴하여 유럽의 각 지역에 맞는 검색결과 및 검색광고를 내보내겠다는 계획인듯 싶다. 연구시설과의 제휴는 현지의 뛰어난 검색엔진 기술자의 기술을 흡수하겠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또한 4월에 인수한 노르웨이의 Fast Search & Tra..
-
MS, 구글을 구글의 영역에서 밀어낼 것이다...IT topics 2008. 10. 2. 16:13
MS가 구글이 현재 독점하다시피 하는 사업분야에 본격적으로 칼로 쑤실려고 하는거 같다. ZDNet Korea에서 본 기사들 중에서 MS에 관련된 기사 2개를 봤는데 모두 구글과 관련된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구글, 5년 뒤에 밀어내겠다 빌게이츠에 이어 MS를 이끌고 있는 스티브 발머는 5년 뒤에 검색엔진 시장에서 구글을 몰아낼 것이라고 처칠클럽 강연에서 밝혔다고 한다. 현재 인터넷 검색엔진 시장과 검색광고 시장에서 구글에 처절하게 밀리고 있는 MS는 야후를 인수해서 구글에 대항할려고 했지만 야후 인수 실패로 검색엔진 점유율에서 전보다 더 구글에 밀려있는 상태다. 스티브 발머의 이러한 발언은 어떤 자신감을 근거로 말하는지 모르겠지만 일단 무언가를 준비하고 있는거 같기는 하다. 윈도라는 플랫폼과 IE라는 웹브..
-
한국에서는 죽쓰지만 미국에서는 여전히 독보적인 검색엔진 구글!IT topics 2008. 9. 19. 16:02
구글의 미국에서의 검색엔진 점유율은 역시나 가히 독주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comScore에서 제공한 올해 8월까지의 검색 쿼리 데이터 통계를 보면 구글은 올해 매월 평균 60%의 쿼리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게다가 8월 통계를 보면 전체 쿼리수 중에서 무려 63%나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데이터를 보면 구글과 ASK, AOL은 소폭 상승했고 야후와 MS는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 구글의 63%에 비해 야후가 그나마 20%에 근접하는 19.6%로 선전할 뿐 MS의 8.3%나 ASK의 4.8%, AOL의 4.3%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그만큼 미국에서의 구글의 힘은 가히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1월의 58.5%에 비해서 점점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으니 야후와 ..
-
엠파스가 사라진다.IT topics 2008. 9. 17. 15:39
한때 포탈사이트 No.1을 차지했던 SK컴즈의 엠파스가 네이트닷컴에 통합된다. SK컴즈는 12월에 엠파스를 네이트닷컴에 통합시키기로 하고 지금 작업중에 있다고 한다. 엠파스가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는 것이다. 네이버가 지금과 같이 포탈사이트를 천하통일하기 이전 2000년대초에 그당시 No.1 포탈이었던 야후를 제치고 잠시나마 지금의 네이버와 같은 No.1 포탈사이트의 위치를 차지하기도 했었다. 그때 자연어 검색이라는 단어가 아닌 문장검색 서비스를 내놓으면서 신선한 바람을 불러 일으켰고 '야후에서 못찾으면 엠파스'라는 광고를 내놓으면서 급성장했었다. 또한 열린검색을 내놓음으로 전체 포탈사이트의 데이터를 다 아우르려고 했었으나 네이버가 DB의 인덱스를 모두 바꾸는 방해공작(?)으로 인해 제대로 빛을 보지 못..
-
구글, 모바일 검색시장마저 휩쓸고 다니고 있다..Mobile topics 2008. 9. 16. 17:36
모바일 검색시장에서 구글의 독주가 쭉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comScore는 구글의 모바일 검색이 미국에 이어 영국에서까지 타 검색서비스를 제치고 독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모바일 검색시장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무려 60%고 미국에서는 63%, 영국에서는 무려 74%나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야후는 미국에서 34.6%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가히 구글의 독주나 다름없다고 봐야 할 듯 싶다. 이전 포스트에서 MS가 RIM의 블랙베리에 기본검색엔진을 라이브검색으로 하도록 계약을 맺었다는 소식을 전한 적이 있다. 모바일 시장에서, 특히나 모바일 인터넷 시장에서 모바일 검색엔진이 차지하는 비중은 유선 인터넷 시장에서 인터넷 검색엔진이 차지하는 비중 못지않게 중요하다고 본다. 구글이 지금까지 성장..
-
블랙베리를 잡은 MS, 구글과 모바일 검색엔진 전쟁 본격화!Mobile topics 2008. 9. 12. 14:55
모바일 시장에서도 구글와 MS의 각축전이 매우 심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오늘 TechCrunch에서 재미난 뉴스를 하나 봤는데 캐나다의 블랙베리로 유명한 RIM이 자사의 스마트폰에 기본 검색엔진을 MS의 라이브 서치로 하겠다고 하는 뉴스다. 기사에 따르면 올해말부터 라이브 서치를 기본 검색엔진으로 하는 블랙베리 시리즈들이 출시된다고 한다. 그동안 모바일 시장에서도 여전히 구글의 강세가 돋보였다. 구글 검색엔진을 비롯한 구글웨어들(Gmail, 구글독스, 구글맵스, 구글어스 등) 등 구글 서비스들은 대체적으로 모바일 환경에서도 상당한 강세를 보여주고 있었다. 거기에 구글의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에는 기본적으로 구글 검색엔진이 기본 검색엔진으로 탑재되고 있으며 이번에 한참 주가를 올리고 있는 웹브라우저 크..
-
검색엔진에서는 작은 문제라도 치명적인 상처를 남길 수도 있다.IT topics 2008. 9. 11. 13:26
보통 우리는 검색엔진을 통해서 얻은 정보를 얼마나 신뢰하고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무언가에 대해서 궁금할 때 인터넷을 통해서 찾아보라고 말을 많이 한다. 국내에서는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사이트릍 통해서 검색을 하고 해외의 경우에는 구글을 통해서 검색을 하곤 한다. 그리고 우리는 대부분 검색결과에서 얻은 정보를 100% 다 믿곤 한다. 그리고 인터넷에서 얻은 정보를 다른 사람들에게 얘기하면서 인터넷 검색결과 이렇게 나왔더라 하면서 말한다. 그 말은 곧 여러 사람들에게 바이러스가 전파되듯 엄청난 속도로 퍼지게 된다. 일단 우리는 검색을 통해서 나온 결과를 거의 100% 신뢰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심정적으로는 100% 다 신뢰해서는 안된다고 알고는 있지만 따로 검증할 방법이 많지 않기 때문에 대부..
-
구글, 검색시장의 성장률을 이끌고 있다...IT topics 2008. 8. 20. 11:57
해마다 검색엔진 시장은 조금씩 성장해가고 있다. 올해도 작년에 비해 3%의 성장을 이뤘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검색엔진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은 다름아닌 구글이라는 점이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렇다. 이미 구글은 검색엔진 시장 전체의 성장률을 넘었다. 전체 검색엔진 성장은 3%이지만 구글의 경우 16%나 성장했다. 야후가 11%, MSN이 10%, AOL이 9%나 까먹고 있는 와중에도 말이다. 구글이 미국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에서 60%나 차지하기 때문에 17%의 야후나 12%의 MSN이 암만 까먹어도 충분히 매꿀 수 있는 규모라고 할 수 있다. AT&T 월드넷 검색이 210%라는 경이적인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점유율이 0.4%밖에 안되어 그닥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도 순전히 구글 때문이다..
-
MS, 구글은 무섭고 애플은 짜증나고....IT topics 2008. 8. 5. 16:55
MS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제출한 보고서가 화제가 되고 있다. MS는 지금 구글과 애플, 오픈소스가 겁난다는 얘기다. ZDNet Korea 기사의 내용을 바탕으로 나름 정리해봤다. 구글, 무서워... 먼저 MS는 구글의 기세가 무섭다고 말하고 있다. 인터넷 검색엔진 시장에서 완전히 구글에게 발려버린 MS는 최근 야후를 인수할려고 시도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아직 MS는 야후 인수에 미련을 못버린듯 하고 조만간 다른 방법으로 재시도를 하지 않을까 싶다. MS가 야후를 인수한다면 적어도 검색엔진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구글과 어느정도 상대할 만 하다고 한다. 하기사 예전 자료기는 하지만 MS와 야후의 점유율을 산술적으로 합하면 대략 30%정도로 구글의 절반정도(혹은 그 이하)밖에 안되지만 그래도 규..
-
구글 검색엔진, 개인 최적화로 차별성을 두기 시작하다..IT topics 2008. 7. 31. 13:45
구글 검색엔진에 약간의 최적화 작업이 들어간 듯 보인다. 구글 검색결과에 그 검색자의 현재 위치에 따라서 커스터마이징되어 보이는 지역 최적화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즉, 어떤 검색어로 검색을 하면 현재 검색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지리에 관련된 정보나 기타 지역에 관계된 정보들이 현재 위치와 관련이 있는 결과로 나오도록 검색결과를 보여준다. 예를 들면 이런것이다. 내가 '소갈비'라는 검색어를 입력했을 때 소갈비에 대한 유래나 기타 정보들이 쭉쭉 나오겠지만 그 소갈비를 파는 가게 홈페이지는 현재 검색자의 주변을 중심으로 보여준다는 얘기다. 물론 이 기능은 사용자가 맘대로 설정하고 지울 수 있다고 한다. 그렇다면 구글은 어떻게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을까? CNet에 따르면 구글에 접속할 때 그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