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
-
SKT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이 구글처럼 되어진다..Mobile topics 2008. 7. 30. 23:12
SKT 서비스를 이용하는 휴대폰의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이 구글과 같은 주소검색창만 나오도록 방통위에서 의결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예전에는 SKT의 무선인터넷 서비스에 들어가면 네이트 화면이 나오고 이래저래 화려한(무선인터넷치고는) 화면이 보였는데 다음달부터 나올 SKT 단말기들은 무선인터넷 초기화면은 구글과 같은 쌈팍한 스타일을 맛볼 수 있을 듯 싶다. 솔직히 휴대폰으로 무선인터넷에 접속할려면 초기 검색창 밑에 이통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링크들이 주렁주렁 매달려 있었다. 물론 그 링크들이 유용할때도 많았지만 좀 난잡해보이는 느낌을 받았다. 그런데 그런 링크들을 다 없애고 깔끔한 검색창만 보인다면 속도면에서도 꽤 괜찮을 것이라 보여진다. 물론 이러한 결정은 SKT가 하나로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인것이지만 ..
-
악성코드 유포 매체로 악용되고 있는 구글과 네이버...IT topics 2008. 7. 30. 16:34
포탈사이트 및 검색엔진이 악성코드의 온상지가 되고 있다는 얘기는 여러해 전부터 나왔던 이야기다. 해커들이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만들어 포탈사이트나 검색엔진에 등록하고 사용자들이 검색어를 통해서 자기들의 사이트에 들어왔을 때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방식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많이 즐겨사용하고 있는 해킹방식이다. 아무리 포탈사이트나 검색엔진에서 이런 악성코드를 퍼트리는 웹사이트, 블로그를 차단할려고 해도 워낙 방대한 양에 다양한 스타일로 존재하기 때문에 제대로 퇴치(?)가 안되는 것이 현실이다. Email을 통해서 퍼트리는 악성코드 배포 스타일과는 다른 이런 검색어를 통한 악성코드 배포 시도에서 현재 포탈사이트와 검색엔진은 거의 꼼짝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일단 이런 악성코드 배포에 이용되는 것은 바로 포탈서비스..
-
과연 구글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을까?IT topics 2008. 7. 29. 18:54
ZDNet Korea에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한국의 꽉 막힌 인터넷 환경을 정면돌파하겠다는 내용이다. 조금씩은 성장하고는 있지만 눈에 띌 정도는 아닌 것이 구글코리아의 현재 문제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No.1 검색엔진이라는 명성에 금이가는 성적표를 한국에서 거두고 있는 구글의 이러한 고민은 현재 한국의 인터넷 환경이 너무 폐쇄적이라는데 그 원인이 있다. 일단 구글은 최근 페이지뷰에서 1월의 3억 6천만건에서 5월에 4억 4천만건으로 대략 22%정도 성장했다고 한다. 또한 지난해보다 전체적으로 대략 25%정도 성장했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런 성장에는 촛불집회에 대한 포탈사이트의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이 있을 것이나 구글측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나름 현지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얘기한다. 그리고 기존의 웹검..
-
새로운 형식의 검색엔진 쿨, 구글에 도전장을 내밀다..IT topics 2008. 7. 29. 09:30
구글에 대항하는 새로운 검색엔진이 나와서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한다. 전직 구글러들이 만든 검색엔진인 쿨(Cuil)이 그 주인공이다. 구글처럼 회사명과 검색엔진 이름이 서로 같은 이 쌈팍한 검색엔진은 구글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글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찾아서 내놓는다고 한다. 일단 쿨의 창업자들은 대부분 검색엔진에 일가견이 있는 인물들로 모였다고 한다. 앤나 패터슨, 러셀 파워는 구글의 검색서버인 테라구글 개발자로 참여했으며, 톰 코스텔로는 IBM의 검색엔진인 웹파운틴을 개발에 참여한 바 있다(via 조선일보). 즉, 이전에 구글 검색엔진 제작에 참여했던 사람들과 다른 검색엔진을 만들었던 사람들이 자신들의 경험과 실력을 살려서 구글을 이길 수 있는 검색엔진을 만든거 같다. ..
-
집단지성을 도입하는 검색엔진, 과연 이게 미래의 검색엔진?IT topics 2008. 7. 23. 14:43
TechCrunch에서 재미난 동영상이 올라와서 소개해본다. 일전에 Digg 스타일의 추천방식을 적용한 구글 검색엔진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 그리고 오늘은 구글이 Digg를 인수할려고 준비중이지 않을까 하는 이야기도 써봤다. 즉, 구글은 향후에 검색엔진이 어떤 기계적인 분류 및 순위를 매기는 것과 동시에 집단지성을 이용하여 기계적인 알고리즘으로는 부족한 부분을 채울려고 하려는것 같다. 아무리 정교한 알고리즘을 적용한다고 해도 분명 구멍은 있기 마련이니 그 부분을 집단지성으로 보충하자는 의미다. 동영상의 내용은 예전에 소개했던 구글의 새로운 인터페이스다. 구글 검색엔진을 통해서 뭔가를 검색했을 때 그 결과에 Digg 스타일의 추천버튼 및 삭제버튼을 두고 또 댓글을 달게 해서 그 사이트에 대한 반응을 보고 ..
-
구글, 디그(Digg)까지 접수할려고 하나...IT topics 2008. 7. 23. 11:10
TechCrunch에서 재미난 뉴스를 봤다. 구글과 Digg가 수주동안 협상을 했는데 큰 틀에서 어느정도 합의를 봤다는 내용이다. 일단 TechCrunch를 통해서 알려진 사실은 Digg를 구글뉴스 아래 포함시킨다는 내용이다. 현재 이 부분은 거의 거래가 성사되었다고 한다. 거래 가격은 대략 2억달러 안에서 형성이 될 것이라 한다. 구글과 Digg는 일단 큰 틀 안에서 어느정도 합의가 이뤄졌고 최종적인 협상에 들어갔다고 한다. 아마 세부적인 내용을 협상하기 위해 적어도 수주동안은 더 협상이 이뤄져야 할 듯 보인다. 그리고 구글과 Digg의 협상 이전에 이 협상에 상당히 관심을 보였던 MS는 이 협상이 물거품이 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다는 내용도 재밌는 대목 중 하나다. MS는 현재 Digg와 3년간..
-
MS, Cashback 이후 검색점유율 15% 상승IT topics 2008. 7. 19. 23:13
MS가 Live CashBack을 서비스한 이후에 검색쿼리수가 서비스 이전보다 약 15%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Live CashBack 서비스는 MS가 Live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물건을 구매할 때 그 금액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프로그램으로 구글의 애드센스나 야후의 오버추어와 같은 광고공유 수익프로그램은 아니다. 하지만 MS의 Live Search를 통해 물건에 대한 정보를 찾고 또 좋은 물건을 찾았을 때 구매를 한다면 그 금액의 일부를 사용자에게 돌려주는 지금 SK에서 진행하고 있는 OK 캐시백과 비슷한 컨셉이라 생각하면 좋을 것이다. 컴스코어에서 조사한 검색엔진 점유율을 보면 MS Sites의 약진이 눈에 보일 것이다. 구글의 경우 5월에 비해 6월의 점유율이 0.3% 소폭 하락했고 야..
-
구글, 디그 스타일의 추천방식을 도입할려고 하나?IT topics 2008. 7. 16. 16:52
구글이 뭔가 또 재미난 실험을 하는거 같다. 구글의 검색결과에 디그 스타일(Digg-Style : 미국의 메타블로그사이트인 디그에서 제공하는 추천방식)의 버튼이 같이 보이는 것이다. 위, 아래로 되어있는 화살표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마도 해당 검색결과의 가중치가 높아지는 구조로 되어있는거 같다. 일단 테스트이며 무작위로 테스트 사용자를 뽑아서 테스트중인거 같다(즉, 난 아직 이런 검색결과는 못봤고 아무래도 구글 코리아와는 관련이 없어보인다). TechCrunch의 구독자 중 하나인 Adrine Pick가 Mac OS X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스냇샷으로 TechCrunch에 보내줘서 알게 되었는데 생각해보니 구글은 작년말부터 검색결과에 순위와 검색결과에서 내용을 없애버리는 등의 검색결과에 대한 테스트를 디그스..
-
검색을 도와주는 어시스턴트, Surf CanyouIT topics 2008. 7. 15. 16:44
국내에서는 검색엔진에 대한 어떤 빈도수나 중요성에 대해서 크게 부각되고 있지는 않지만 해외의 경우, 특히 미국의 경우 구글 검색이 인터넷 활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면서 어떻게 하면 검색을 더 깔끔하게 잘 할 수 있을까 하는 분야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비단 구글 검색만이 아니더라도 야후 검색이나 MSN의 Live 검색 등 여러 검색엔진을 어떻게 잘 활용하여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가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은 확실한 듯 싶다. 여기 재미난 검색엔진 어시스턴트를 하나 소개해볼까 한다. Surf Canyou라는 검색엔진을 보조해주는 애드온 프로그램이다. 파이어폭스(FF)나 인터넷 익스플로러(IE)에 애드온으로 설치되어 검색어를 넣고 검색엔진에서 검색할 때 그 결과에 대해 추천 ..
-
구글이 다음에 내놓을 서비스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IT topics 2008. 7. 14. 13:46
최근 구글은 세컨드라이프와 같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인 라이블리(Lively) 서비스를 내놓았다. 아직 개인적으로 세컨드라이프도 안해본 상황에서 라이블리를 해봤을리 만무하지만 그래도 점점 구글이 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나가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글은 라이블리를 통해서 세컨드라이프를 이길 생각을 하고 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기는 했지만 구글이 라이블리를 내놓은 이유는 아마도 모바일 환경과 3D 가상환경을 접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3D 가상현실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초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구글의 모바일 인터넷 환경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는 가운데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활용한 구글어스 및 구글맵스와 YouTube 등의 구글웨어와 라이블리를 접목한 온오프라인 생활을 모두 주름잡을 거대 기반을 마련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