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
-
MS의 검색엔진 빙, 미국에서 10%까지 고속성장하고 있는데...IT topics 2009. 11. 18. 10:43
MS의 검색엔진인 빙(Bing)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작년에 런칭된 이후 꾸준하게 성장하면서 점유율을 상승시키고 있다. MS가 Live 검색에서 본 실패를 빙을 통해서 회복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렇다. 빙은 지금도 그렇지만 초반부터 멀티미디어 검색(사진, 동영상 등의 검색)으로 구글과 차별포인트를 뒀다. 지금도 멀티미디어 검색은 구글보다 더 좋다는 평가가 여러 블로그들이나 전문가들, 혹은 주변 지인들 사이에서 들리고 있다. 거기에 MS는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즉, SNS 실시간 검색을 도입한 것이다. 최근 MS는 트위터 검색을 위한 빙트위터 서비스를 내놓고 실시간 검색에도 피치를 올리고 있는 상황이다. 구글도 트위터와는 협약을 맺었지만 페이스북..
-
검색 결과에 집단지성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한 구글IT topics 2009. 11. 9. 08:40
구글 검색에 본격적인 집단지성이 도입되기 시작한 듯 싶다. 예전에 베타테스트식으로 진행되었던 구글 검색 결과의 집단지성 도입은 이제는 본격적으로 다 도입되는 듯 싶다. 한동안 몰랐는데 어느 순간부터 정식으로 지원되기 시작한 듯 싶다. 언제부터인지는 나 역시 잘 모르겠다. 구글 검색 결과를 한번 보자. 위에서 체크된 부분이 집단지성을 통해서 구글 검색 결과를 더 확실하게 신뢰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어주는 도구들이다. 일단 핵심은 오른쪽의 저 3개의 아이콘이다. 말풍선과 위로 올리기, 그리고 삭제 버튼이 있다. 조금 자세히 봐야하는게 희미한 색으로 되어있어서 잘 안보인다. 아마도 일단 나온 결과에 먼저 집중하고 필요에 따라 자신의 의견을 반영하도록 하게 하는 의도로 보인다. 일단 커멘트 아이콘을 누르면 위..
-
조금씩, 야금야금 성장하고 있는 MS의 검색엔진, 빙!IT topics 2009. 8. 26. 11:50
MS는 과연 빙(Bing)의 효과를 좀 봤을까? 구글을 따라잡겠다고 야심차게 내놓은 MS의 검색엔진 빙. 5월 31일에 공개된 이후로 MS는 과연 얼마나 검색시장에서 선전을 하고 있을까? 미국의 통계조사회사인 컴스코어와 J.P. 모건에서 조사한 내용에 따르면 미국내에서의 MS의 빙은 만족할만큼의 성장은 아니지만 그래도 떨어지고 있는 점유율을 다시 회복시켜주는 효과를 가져왔다고 한다. 2009년에 MS는 빙을 공개하기 이전에는 8.5%에서 8%까지 0.5%나 점유율이 감소하고 있었다. 즉, 내리막 길을 계속 걷고 있었다는 얘기다. 상대적으로 구글은 63%에서 65%로 2%나 치솟았고 말이다. 야후 역시 21%에서 20%로 1%의 감소가 있었다. 하지만 빙을 발표한 이후 MS는 8%에서 7월에 8.9%로 무..
-
구글 도서검색을 둘러싼 아마존과 MS, 야후의 딴지. 과연 승자는?IT topics 2009. 8. 21. 18:30
재미난 뉴스를 하나 보게 되었다. 구글의 도서검색 서비스에 대해서 아마존과 MS, 야후가 반대를 한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는 것이다. 이들은 구글의 도서검색 서비스에 반대하여 소송을 건 비영리 단체연합에 가입하여 구글의 도서검색 서비스에 대해 반대를 천명(?)했다. 현재 구글의 도서검색 서비스는 구글과 최근 저작권업체 및 출판업체와 협상을 타결했지만 그 부분에 대해 미 법무부가 반독점법 위반여부를 현재 심사하고 있는 중이다. 거기에 디지탈 아케이브를 중심으로 모인 아마존, MS, 야후의 삼각편대의 공격까지 받게 되어서 제대로 도서검색 서비스가 진행될지 미지수가 되었다. 그렇다면 아마존과 MS, 야후는 왜 구글의 도서검색 서비스에 딴지를 걸까? 아마존은 현재 킨들을 중심으로 전자책 시장에서 영향력을 점점 넓..
-
MS와 야후의 제휴. 구글과의 경쟁구도에서 어떤 파괴력을 보여줄 것인가...?IT topics 2009. 8. 6. 11:50
야후와 MS가 검색엔진 부분에서 제휴를 했다고 한다. 뭐 저번주 이야기니만큼 그닥 새롭게 느껴지지도 않을 것이라 보여진다. MS는 그렇게 야후의 검색분야를 먹고싶어하더니 완전히 다 먹지는 못하고 제휴라는 방법으로 야후의 검색엔진을 가져와버린 듯 싶다. 물론 제휴 기간이 무려 10년이다. 10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하지만 IT업계에서의 10년은 거의 3~40년의 기술격차를 가져온다고 봤을 때 완전 종속이라고 봐도 좋을 듯 싶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MS와 야후의 검색 서비스 제휴에 대해서 MS의 이익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나 역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 중에 하나니까 말이다. 하지만 야후의 핵심은 검색엔진이지만 야후를 그동안 지탱했던 것은 검색엔진 보다는 다른 서비스들이었다는 것을 안다면 야후가 일방적..
-
MS의 검색엔진 빙과 트위터의 만남. BingTweetsIT topics 2009. 7. 18. 09:00
MS의 검색엔진 빙(Bing)과 트위터 검색이 만나면 어떨까? 재미난 검색엔진 서비스가 나와서 눈길을 끌고 있어서 소개해볼까 한다. 예전에 보면 구글과 네이버 검색을 합친 검색엔진이라던지, 구글과 빙을 합한 검색엔진이라던지 이런 2개의 서비스를 하나로 묶어서 서비스하는 커스텀 검색엔진들이 있는데 이 역시 비슷한 커스텀 검색엔진이라고 보면 된다. 이른바 BingTweets(빙트윗스)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 이름에서 보면 알 수 있듯 MS의 검색엔진인 빙과 트위터가 만났다고 보면 된다. 어떤 검색어로 검색하면 트위터 검색엔진을 통해서도 검색하고 빙을 통해서도 검색을 한다. 즉, 아이폰이라는 단어로 검색을 하면 검색결과가 트위터에서 찾은 것과 웹페이지 검색을 통해서 찾은 내용이 둘 다 화면에 보인다. ..
-
구글의 한국에서의 행보. 좀 바꿔야 할 필요가 있기는 하다...IT topics 2009. 7. 2. 10:25
구글 코리아는 한국에서 독자생존을 하려고 하는 것일까? 구글과의 결별 이야기가 아니다. 국내 인터넷 산업과의 독자노선을 뜻하는 것이다. ZDNet Korea의 김태정 기자가 쓴 기자수첩에 구글의 한국판 홀로서기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와서 흥미 있게 읽었다. 구글 코리아가 국내의 여러 인터넷 관련 업체와의 협력이 약하고 여러 모임에서도 거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지 않기에 어떤 이유로 이런 행보를 보이고 있나 하는 내용의 글이었다. 해당 글에 따르면 구글 코리아는 6월 26일에 김형오 국회의장과 인터넷 업계 수장들이 가진 간담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고 한다. 간담회 주제가 인터넷 규제와 구글 등의 해외 사례라고 하는데 그 사례가 된 구글 코리아(미국 구글을 사례로 들었겠지만 최근 구글 코리아가 보여준 모습과..
-
구글 웹엘레멘트와 메타블로그사이트 위젯으로 블로그에 변화를...Blog 2009. 6. 24. 21:32
뭐 여러가지로 실험도 하고 이것저것 갖다놓기도 하는 블로그지만 TNM 파트너가 된 이후 1단 사이드에서 2단 사이드로 바뀐것을 제외하고는 변화를 거의 주지를 못했다. 과거에는 스킨도 뻔질나게 바꾸기도 하고 그랬지만 고정 스킨이 된 이후로는 변화없이 그냥 쭉 지냈다. 조만간 좀 새로운 스킨으로 바꿀까 고려중이기는 한데 디자인에 소질이 없는 나로서는 외부의 디자이너의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 그래서 그냥 스킨은 놔둔채 안의 내용물만 좀 바꿨다. 애드센스 위치 변화 및 몇몇 구글 관련 위젯과 메타블로그사이트 관련 위젯을 추가함으로 과거보다는 조금이나마 풍성한 블로그로 만들려고 시도를 해봤다. 일단 블로그 상단의 변화를 먼저 살펴보자. 원래는 제목과 포스트 사이에 구글 애드센스 큰 것이 2개가 빵빵하고..
-
MS의 Bing.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모습은 어떨까?Mobile topics 2009. 6. 24. 09:00
모바일용 라이브 서치 엔진은 모바일 검색엔진 중에서도 꽤나 멋드러진(Cool한) 검색엔진에 속한다. 비록 구글이 모바일 검색엔진 시장에서도 거의 독보적인 존재로 자리잡고 있지만 음성 검색엔진이나 지역 기반의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 등은 여전히 라이브 검색만의 멋드러진(독창적은 아닌 듯) 기능 중에 하나다. 이러한 모바일 라이브 서치 엔진에 조만간 새바람이 불어올 듯 싶으니 다름아닌 최근 MS가 런칭한 빙(Bing)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곧 런칭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istartedsomething에 따르면 곧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빙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이번에 런칭될 빙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버전은 기존의 윈도 모바일과 블랙베리 뿐만 아니라 BREW를 지원하는 휴대폰에도 탑재할 수 있게 된다는..
-
빠른 트래픽 회전으로 서로 윈-윈을 꾀하고 있는 해외에 비해서 국내는...IT topics 2009. 6. 21. 10:00
포탈서비스의 원래의 목적은 검색결과를 통해서 다른 웹서비스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게 통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포탈서비스의 원형이라 불릴만 했던 초기의 야후가 그러했고 알타비스나, 라이코스, 인포시크 등의 과거에 인터넷을 주름잡았던 검색서비스들이 대부분 그런 목적으로 만들어진 사이트들이었다. 그리고 현재는 구글이 그러한 검색포탈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잘 지키면서 전세계 No.1 검색엔진으로서의 위용을 보이고 있다. 최근 아이뉴스24에서 “검색업계, ‘빨리 내보내기’ 경쟁 본격화”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게 되었는데 내용도 읽을 만 하고 생각해볼 꺼리도 있는 듯 싶다. 최근 검색엔진이나 포탈사이트의 경우 과거와 같이 오랫동안 사용자들을 묶어두고 광고를 노출시키거나 하는 전략에서 사용자들로 하여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