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
과연 구글은 한국에서 뿌리를 내릴 수 있을까?IT topics 2008. 7. 29. 18:54
ZDNet Korea에서 재미난 기사를 하나 봤다. 한국의 꽉 막힌 인터넷 환경을 정면돌파하겠다는 내용이다. 조금씩은 성장하고는 있지만 눈에 띌 정도는 아닌 것이 구글코리아의 현재 문제점이다. 전 세계적으로 No.1 검색엔진이라는 명성에 금이가는 성적표를 한국에서 거두고 있는 구글의 이러한 고민은 현재 한국의 인터넷 환경이 너무 폐쇄적이라는데 그 원인이 있다. 일단 구글은 최근 페이지뷰에서 1월의 3억 6천만건에서 5월에 4억 4천만건으로 대략 22%정도 성장했다고 한다. 또한 지난해보다 전체적으로 대략 25%정도 성장했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런 성장에는 촛불집회에 대한 포탈사이트의 규제로 인한 반사이익이 있을 것이나 구글측은 이를 인정하면서도 나름 현지화를 위해 노력했다고 얘기한다. 그리고 기존의 웹검..
-
인터넷 정보 통제, 네티즌 스스로의 판단에 맡겨야...IT topics 2008. 6. 20. 17:22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는 빈트 서프 구글 부사장이 OECD 장관회의에서 인터넷 검열을 기술적으로 막기는 어렵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내 생각도 이와 비슷하다. 예전에 이 블로그를 통해서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정보의 공유가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각 나라에서 그 정보의 흐름을 막는 것은 이제 거의 불가능해진다라는 내용의 포스팅을 올린 적이 있다. 같은 맥락에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컨턴츠의 종류에 따라서 그 사회에서 용납이 안되는 경우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통제할려고 하는 정보들, 혹은 사회적으로 집단의 암묵적인 합의에 의해서 거부당하는 정보들이 분명 존재한다는 얘기다. 솔직히 정부가 통제할려고 하는 정보들은 정부의 정보장악 및 사회 통제를 위한 정치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
언론사닷컴, 다시 살아나는가?IT topics 2008. 3. 6. 15:45
국내외 뉴스를 맡고있는 언론사닷컴들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에 뉴스공급CP로 전락한 시기는 꽤나 오래전 이야기다. 인터넷 사용자들이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조선닷컴, 한국아이닷컴, 조인스닷컴 등의 언론사닷컴에 발길이 줄었고 언론사닷컴들은 이러한 수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탈사이트에 뉴스를 제공해주고 일정금액을 받는 수익구조로 지금까지 정착해왔다. 물론 언론사닷컴 홈페이지는 존재하지만 일부 사용자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포탈사이트를 통해서 뉴스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약간의 단비와 같은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재작년까지 죽쑤고 있었던 언론사닷컴의 트래픽이 작년을 기점으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는 것이다. 랭킹닷컴에서 제공한 자료에 의하면 200..
-
네이버가 구글 애드센스와 같은 수익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IT topics 2008. 1. 14. 18:36
벤쳐에서 열심히 만든 웹2.0 솔루션이 대기업과 포탈사이트의 횡포(?)로 빛도 못보고 사장된다는 이야기를 이전의 포스트에서 다루었다. 이번 역시 제5회 난상토론회때 다뤘던 이야기중에 하나를 얘기해보고자 한다. 많은 블로그에 달려있는 광고가 있다. 이 블로그에도 달려있다. 다름아닌 구글 애드센스다. 구글에서 제공하는 문맥 매칭 광고 프로그램이다. 구글의 애드워즈 솔루션을 통해서 키워드를 구입하면 애드센스를 통해서 컨텐츠와 매칭되는 광고를 보여주는 그러한 프로그램이다. 클릭을 통해서 해당 사이트에 들어가게 되면 광고가 진행되었다고 판단하고 그 광고에 대한 광고료의 일부를 애드센스를 설치한 블로그에게 돌려주는 구조로 되어있다. 광고의 종류에 따라서 $0.01부터 시작하여 어떤 광고는 $10을 넘기도 한다고 한..
-
DataPortability 워크그룹, 다른 서비스의 컨텐츠 공유도 쉽게...IT topics 2008. 1. 11. 14:25
TechCrunch를 보는데 미국의 유명한 SNS인 LinkedIn이 Data Portability 워크그룹에 참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LinkedIn Joins The DataPortability Work Group (TechCrunch) 이미 구글과 플락소, 페이스북 등이 참가했고 플리커와 식스어파트, 트위터 역시 참가했다고 한다. 링크드린까지 합치면 대략 7개 서비스가 DataPortability 워크그룹에 참가한 셈이다. 이미 참가한 야후나 BBC, 다우존스까지 합치면 꽤 많은 서비스 업체들이 참가한 셈이 된다. 그렇다면 DataPortability 워크그룹에서는 무얼 하는가? 수많은 소셜네트워크 사이트에서 네티즌들이 생산하는 콘텐츠를 서로 다른 플랫폼에서 쉽게 공유하는 방법을 연구한다고 한다...
-
포탈사이트, 네이버만을 고집할 이유가 있을까?IT topics 2007. 12. 27. 15:34
수많은 네티즌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포탈사이트는 어디일까? 아직까지도 No.1 포탈사이트는 네이버라고 할 수 있다. 다음이 많이 쫒아오기는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사람들은 네이버를 많이 사용한다. 그럼 네이버는 다른 포탈사이트와 뭐가 다른가? 농담삼아 얘기하면 초기화면이 다르다(ㅋㅋ). 일단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검색결과가 네이버와 다음, 엠파스, 야후, 구글등이 모두 다 다르게 나올 것이다. 서로의 검색 알고리즘이 틀리기 때문이다. 검색 기준 역시 틀리기 때문에 다를 수 있다. 구글의 경우 통합검색이 아니기 때문에 그냥 검색결과가 쭉 나오지만 네이버, 다음, 엠파스, 야후 등의 포탈사이트들은 검색결과가 통합검색으로 이쁘게(?) 나온다. 그런데 네이버를 제외한 나머지 포탈사이트의 검색결과는..
-
구글 애드센스를 설치했다고 영리사이트라 할 수 있을까?Blog 2007. 12. 26. 21:37
영리사이트와 비영리사이트를 구분지을 수 있는 기준은 과연 무엇일까? 메신져로 블로그를 통해서 알게된 분과 대화를 하는데 그분께서 이런 질문을 해오셨다. 좋은 글이 있어서 자기 사이트에 펌하고 싶은데 Creative Commons(CC) 라이센스가 붙어있는 비영리로만 사용할 수 있는 글이어서 자신의 사이트에 구글 애드센스가 있기 때문에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다고. 구글 애드센스가 달려있는 사이트는 영리사이트인가 하는 질문이었다. 헷갈릴 수 있고 난감할 수 있는 질문이다. 현재 수많은 블로그에 구글 애드센스와 다음 애드클릭스, 올블로그의 올블릿이 장착되어 있다. 그런 블로그들은 모두 영리사이트 범주에 들어가는가? 내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법적인 근거를 찾기에는 좀 힘들어서 내 개인적인 판단을..
-
국내 DMB 기술, 세계 표준이 되다.Mobile topics 2007. 12. 17. 15:40
정치뉴스에 밀려 기념해야 할 소식을 놓친 감이 없잖아 있지만 우리나라 지상파 디지탈멀티미디어방송(DMB)기술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국제표준으로 선정되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예전에 무선인터넷기술인 WiBro에 이어 IT에서의 쾌거다. 지상파 DMB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선정됨에 따라서 관련 기술들의 로열티를 통한 국제적인 수익이 가능하게 되었다. WiBro에 이어 무선통신에 관련된 기술은 국내 기술이 세계적인 수준임을 알려주는 계기라 할 수 있겠다. 아마도 지상파 DMB 상용화에 따른 기술적인 결함을 지속적으로 패치해나감으로 인해 얻은 결실이 아닐까 싶다. 지하철에서나 버스 안에서 DMB가 내장된 휴대폰이나 PMP, MP3P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를 들고 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이동중에 심심할 때 볼..
-
포탈사이트로서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 1위의 의미는IT topics 2007. 12. 3. 16:03
최근 IT 관련 이슈들 중에서 검색시장 점유율에 대한 이야기들이 블로고스피어를 뜨겁게 달구었던 적이 있었다. 내용인즉 여전히 네이버가 압도적으로 국내 검색시장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는 이야기였다. [검색] 네이버의 압도적 우위 (Read & Lead) ‘숫자 덩어리’는 이렇게 분석-이해해야 정확하다 (서명덕기자의 人터넷세상) 검색시장 점유율 계산 방법 이대로 좋은가? (김윤수의 이상계를 꿈꾸며) 내용을 보면 아직까지는 국내에서 네이버를 이길만한 검색엔진이 없다는 뜻이다. 다만 네이버의 검색시장 점유율을 단순히 검색시장으로 한정하느냐 포탈사이트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서 어떻게 이해하는가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사이트는 검색창을 제공한다. 그 이야기인즉 포탈사이트는 검색엔진을..
-
IT 강국의 그림자, 인터넷 위험속의 아이들Current topics 2007. 8. 22. 11:25
보통 우리나라를 IT 강국이라고 말한다. 인터넷 인프라는 거의 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으며 네이버와 같은 포탈 사이트에는 볼꺼리들이 많다. 그리고 온라인 게임의 강국이라 불릴만큼 다양한 온라인 게임들이 있으며 퀄리티 역시 패키지 게임 못지않고 오히려 더 뛰어난 경우도 많다. 이렇다보니 인터넷에 많이 노출되는 사회며 그만큼 PC 사용율도 점점 높아져가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그것이 성인들에 한해서라면 큰 문제는 안되겠지만 인터넷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져서 이제는 4~5살 아이들에게까지 미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PC중독 어린이, 보안「주사」맞을 시간 (ZDNet Korea) 나같은 30대들이 어렸을 때 놀았던 놀이문화와 지금 아이들의 놀이문화는 그 개념부터가 완전히 바뀌어버렸다. 우리네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