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
한국적인 블로그와 해외 블로그의 차이?Blog 2007. 6. 4. 14:07
블로그는 1인 미디어 시스템이다. 블로거가 스스로 기자가 되고 작가가 되면서 동시에 편집장의 역할까지 다 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툴이 바로 블로그다. 이런 부분이 2000년대 초에 유행했던 개인 홈페이지와의 차이점이 아닐까 싶다. 가장 최근의 올린 글이 가장 먼저 나타나는 형식인데다가 디자인에 구애받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편리성까지 갖춘 CMS(Contents Management System)로서 최고의 기능을 갖춘 것이 블로그가 아닐까 싶다. 거기에 RSS를 이용한 컨텐츠 배급력까지 갖춰서 아마도 최고의 개인 컨텐츠 관리 시스템(PCMS : Personal Contents Management System)이 아닐까 싶다. 해외(미국, 유럽 등 서구권)에서 블로그는 전문성을 인정받는 미디어 시스템으..
-
인터넷 콘텐츠, 이대로 둘 것인가IT topics 2007. 5. 23. 14:48
역시나 ZDNet Korea을 둘러보면서 괜찮은 칼럼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인터넷 콘텐츠, 이대로 둘 것인가 (ZDNet Korea) : 번역문 Taming the Wild West of content (CNet News.com) : 원문 밑에 있는 것이 CNet에 포스팅된 원문이고 위에 것이 ZDNet Korea에서 번역한 번역문이다. 원문을 읽다가 이해가 안가면 원문을 읽어보는 것도 괜찮다고 보여진다. 이 글에서 현재 인터넷 컨텐츠 경제는 급격하게 커가고 있지만 성공적인 경제체제가 갖춰야 할 속성인 투명성과 책임성이 결여되어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맞는 말이다. 현재 인터넷 여러 사이트들이나 블로그들을 돌아다니다보면 남이 정성껏 힘들여 써놓은 양질의 컨텐츠(여기서는 글, 그림, 사진, 동영상 등 ..
-
UCC란 뭘까?IT topics 2007. 3. 9. 11:23
요즘 인터넷 인프라의 화두는 다름아닌 웹2.0, 그리고 UCC다. 아니, 웹2.0이라는 단어보다 UCC라는 단어가 더 많이 대중에게 알려진거 같다. 그만큼 주목받고 있는 단어다. UCC는 User Created Contents의 약자다. 말 그대로 사용자가 제작한 컨텐츠라는 얘기다. 그렇다면 컨텐츠란 무엇인가? 대중매체 등을 통해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정보(내용)가 바로 컨텐츠다. 그렇다면 우리네들은 UCC의 의미를 제대로 알고 쓰는 것일까? 한국에서 유행하고 있는 UCC는 도대체 뭔가? 위에서 정의한 것처럼 UCC는 사용자가 만든 컨텐츠며 그 컨텐츠는 전달되는 정보고 그 정보의 종류는 여러가지일 수 있다. 신문기사도 컨텐츠고 TV뉴스도 컨텐츠며 가수가 부르는 노래도 컨텐츠고 사진작가가 찍은 사진 역시 ..
-
Web 2.0에 대한 내 생각..IT topics 2007. 1. 9. 13:35
요즘들어 IT업계의 최신 트렌드는 뭘까 하는 생각과 내가 앞으로 지켜봐야 할 부분이 어떤건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있는터에 여러 인터넷 기사 및 IT정보 기사들을 종합하여 본 결과 "Web 2.0"이라는 것이 요즘의 추세라는 결론을 맺었다. Web 2.0 이라. 웹에 버젼이 있다? 흥미로운 일이다.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웹은 급속도로 발전하였다. 예전에는 기업의 홍보를 위한 웹페이지, 인터넷 신문 등과 같은 컨텐츠 제공업체로부터의 일방적인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수단으로 웹을 사용하였다. 아마도 그것이 Web 1.0 시대일것이다. 인터넷 사용자는 각 업체의 홍보용 홈페이지(앞으로 웹페이지를 홈페이지로 표현하겠다)와 인터넷 신문을 보면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Email을 통하여 상호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