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
MS의 앱스토어, 윈도 마켓플레이스를 조금 맛볼 수 있다면?Mobile topics 2009. 4. 2. 08:57
MS가 MWC 2009에서 윈도 모바일(이하 WinMo) 6.5를 공개하고 함께 윈도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Windows Marketplace for mobile, 이하 윈도 마켓플레이스)의 컨셉도 같이 공개함으로서 MS의 앱스토어인 윈도 마켓플레이스에 대한 관심이 이래저래 뜨거워지는 듯 보인다. 국내에서도 MS가 SKT, KT 등 국내 업체들과 손잡고 마켓플레이스를 런칭하고 연계할려고 하는 움직임도 있고 MS 뿐만 아니라 이미 런칭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RIM의 블랙베리 어플리케이션 센터 등의 다른 마켓플레이스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들이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래저래 오픈마켓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될려고 몸부림치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미국 라스베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TIA Wirel..
-
윈도 마켓플레이스의 업데이트 가격 정책에 변화(지불 폐지)가 생겼다...Mobile topics 2009. 3. 31. 10:11
예전에 MS가 윈도 마켓플레이스(Windows Marketplace for Mobile)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한 이후 같은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할 때 99달러를 지불하도록 하는 정책을 적용할려고 한다는 얘기를 CNet 기사릍 통해서 전했는데 오늘 뉴스를 보니까 이 업그레이드 정책을 적용하지 않겠다고 한다. 아마도 해당 기사가 나간 후 개발자들의 원성을 좀 많이 산 듯 싶다. 뭐 MS 관계자에 의하면 공식 발표된 내용도 아니었다고 하니 한편의 해프닝으로 끝나버린 사건처럼 보인다. 일단 새로 적용될 정책은 업그레이드(혹은 업데이트)시 지불되는 비용은 없다고 한다. 애플의 앱스토어가 이런 정책을 적용하는데 비슷하게 적용시킬 듯 보인다. 하지만 1년 사용료 99달러와 어플리케이션 하나 등록 시 99달러 ..
-
구글맵스, 드디어 한국지도를 제공하기 시작하다.IT topics 2008. 11. 7. 14:50
구글에는 여러 서비스들이 있다. 메일 서비스인 Gmail이나 일정관리 서비스인 구글 캘린더, 구글오피스라 불리는 구글독스에 위성지도서비스인 구글어스, 메신져인 Gtalk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구글 서비스들이 있으며 대부분의 구글 서비스들은 상당히 효율적이고 쓸만하다. 그 구글 서비스들 중에서 구글맵스가 있다. 구글어스와는 다른 지도서비스인데 네이버지도를 생각하면 된다. 해외에서는 구글맵스를 이용해서 다양한 매시업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이런게 그동안 불가능했다. 구글맵스의 한국버전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 며칠사이에 구글맵스에 한국지도가 업데이트되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구글맵스를 통해서 한국의 각지역을 찾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에 구글이 한국에서 지도서비스를 할 수 없었..
-
애플과 구글, 그 미묘한 철학의 차이.IT topics 2008. 10. 24. 19:00
애플과 구글의 철학이 고스란히 녹아져있는 것이 모바일 플랫폼 정책이라는 얘기가 있다. 애플의 아이폰과 구글의 안드로이드 폰에 적용되고 있는 정책에 이 두 회사의 철학이 그대로 담겨져있다는 얘기다. 최근에 구글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공개했다. 그리고 구글 개발자가 아닌 외부 개발자에 의해 수정된 5개의 패치가 고스란히 적용되었다고 한다. 플랫폼 소스를 공개함으로 리눅스와 같이 버그를 전세계 개발자들을 통해서 디버깅하겠다는 의미며 그 첫번째 수확이 5개의 패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애플과 구글은 앱스토어와 안드로이드 마켓이라는 어플리케이션 유통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이 애플의 앱스토어의 아이디어를 가져와서 만들었다는 것은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접근 방식..
-
위피 정책 폐지, 그것만이 답일까?Mobile topics 2008. 8. 28. 18:13
위피를 폐지하면 휴대폰 요금이 내려갈까? 요즘 한참 이슈가 되고있는 애플의 iPhone 3G가 국내에 못들어오는 이유로 첫 번째로 꼽는게 바로 위피 탑재때문이라고 한다. 애플뿐만 아니라 노키아나 림 등 해외 제조업체에서 만든 우수한 성능의 스마트폰이 국내에 못들어오는 이유도 바로 위피때문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얘기를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위피가 뭔데 그런가? 왜 국내에서는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폰(스마트폰 포함)에서는 의무적으로 위피를 탑재하도록 하고 있는가? 다음에서 검색을 해봤다.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약자. 한국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Korea Wireless Internet Standardization Forum/KWISF)..
-
애플의 iPhone, 과연 우리의 기대를 충족시켜줄 것인가..Mobile topics 2008. 8. 25. 14:21
애플의 전성시대를 열고있는 차세대 스마트폰의 선두주자인 iPhone 3G에 대한 불만이 조금씩 표출하고 있다는 뉴스가 들어온다. 어떤 기계이든 완벽한 것은 없다고는 하지만 TV 광고에서, 혹은 각 매체 등을 통해서 마케팅으로 보여준 성능에 비해 실제 성능은 너무 형편없다는 평가가 곳곳에서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너무 판매에 열을 올리다보니 보여지는 부분에만 치중하고 실제 성능을 속였다는 소비자들의 분노가 점점 올라오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에서 점점 iPhone 3G에 대한 불만이 쌓여 알래스카주의 어떤 여성의 의뢰를 받아 법률사무소에서 애플을 고소한 사건이 일어났다. iPhone 3G가 알려진 대로의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네트워크에도 제대로 접속이 잘 안이뤄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는 애플 뿐..
-
인터넷을 통제의 대상으로 보는 정부와 여권..Current topics 2008. 8. 21. 11:23
정부의 인터넷 통제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보고했는데 여기에 논란의 소지가 될 2가지 조항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포털 등 서비스 제공자(OSP)에 불법 정보 유통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의무화와 OSP가 문제 댓글을 임시조치하지 않을 경우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규정이 바로 그것이다. 논란의 소지가 될 글이나 댓글은 가차없이 임시조치를 내려 인터넷을 정화하겠다는 것이 방통위의 생각인듯 보인다. 여기서 말하는 임시조치는 DB에는 남아있되 보이지 않게 블라인드 처리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화면에는 보이지 않기 때문에 삭제된 것이나 다름없다. 그동안 포탈사이트들은 문제가 되는 글이나 댓글에 대한 신고가 들어오면 자..
-
더욱 일방적인 구글 애드센스 정책?IT topics 2008. 2. 27. 10:56
구글 애드센스에 오늘의 수입이 어떠나 싶어서 접속을 했더니 다음의 내용들이 뜨더라. 약관이 바뀌었는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라고 하는데 다른 내용들은 모르겠는데 다음의 내용들이 좀 걸린다. 4. 계약당사자의 책임 . 귀하만이 자산에 대한 책임을 부담하는데 , 여기에는 모든 컨텐츠와 자료 , 자산 유지보수와 운영 , 구글 상세요건의 적절한 이행 , 그리고 프로그램 정책 준수를 포함한 본 계약 조항 준수가 포함됩니다 . 구글은 재량에 따라 본 계약 위반 관련 모든 행위 ( 광고 , 링크 , 검색결과 , 추천버튼에 접근하거나 또는 추천이벤트를 완료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응용프로그램 (software application) 의 사용 , 또는 본 계약에서 금지하는 일체 활동에 대한 개입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
-
이명박 정부, 재벌을 위한 정부가 아닌 국민을 위한 정부가 되기를...Current topics 2008. 2. 25. 11:14
오늘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을 하고 5년동안 대한민국을 이끌게 된다. 이른바 이명박 대통령의 실용정부시대가 온 것이다. 작년 12월 19일에 대통령 선거를 통해서 당선된 이명박 당선자가 이제는 당선자 신분에서 본격적으로 대통령으로서 실질적인 이 나라의 수장을 맡아서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 것이다. 오늘부터 시작이니 어떻게 진행될지 사뭇 궁금하다. 노무현 대통령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실망스러운 이야기들이 많이 들린다. 주로 경제파국으로 이끈 대통령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대표적인 실책으로 부동산 정책 실패를 꼽는다. 임기 5년동안 부동산 가격을 엄청나게 올렸다는 이야기다. 그래서 부동산을 주로 재산으로 삼았던 강남권 부자들의 지갑을 여는데 실패하여 국내 경기를 제대로 부양시키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실패한 경..
-
설익은 아마추어 정부를 만들려는 인수위Current topics 2008. 1. 29. 10:04
정치권 이야기는 그다지 하고싶지는 않지만 요즘 차기정부 관계자들이나 인수위가 내놓는 정책들이나 하는 행동들을 보면 참으로 어이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서 그냥 한마디 적어볼려고 한다. 대충 인수위가 내놓은 차기정부의 정책들을 보면 몇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듯 싶다. 1. 한반도 대운하 건설(이것은 이명박 당선자의 공약이다) 2. 영어공교육활성화방안(영어수업을 모두 영어로만 수업) 3. 정부부처통폐합(정통부, 통일부 폐지) 첫 번째는 경기가 워낙 안좋으니까 경기부양책으로 내놓은 방안이다. 이명박 당선자의 최대 공약이기도 하다. 물류를 원활하게 운반하기 위해 한반도 한가운데 운하를 파서 배로 운송하자는 얘기다. 이 정책이 시행되면 아마 건설업은 엄청나게 활성화될 것이다. 덤으로 조선업도 활성화될 수 있을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