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
가상화폐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는 카드사의 정책들. 정책적으로만 막으려하지 말고 보완할 부분을 찾는 것이...IT topics 2015. 8. 4. 16:44
요 몇달동안 회사에서 서비스 기획을 맡아서 하다보니 서비스의 다양한 정책들까지 다루게 되었다. 특히나 결제 관련 정책들을 다루면서 결제, 환불 방식에 대해 국내외 신용카드, 현금 결제 및 세금 납부 부분까지 전문가 수준은 아니더라도 몇달동안 고민하고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몇마디 떠드는 정도는 된 듯 싶다. 원래 서비스 기획보다는 시스템, 솔루션 기획, 설계를 메인으로 했던 터라 이번에 서비스 기획을 하면서 기획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나름 많이 성장한 것처럼 느껴지기는 한다(라지만 그것이 페이크. 전혀 성장하지 않았다는 생각도 든다 -.-). 어떤 서비스를 사용하든 무료 서비스는 큰 문제가 안되겠지만 돈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료 서비스의 경우 결제 및 환불 정책은 그 서비스의 존폐를 가늠할만큼 중요..
-
애플과 구글이라는 모바일 독점 기업의 존재와 거기에 종속되어져서 피해를 볼 수 밖에 없는 개발사들과 악세서리 업체들...Mobile topics 2012. 10. 10. 23:53
애플이든 구글이든 어떤 시장에서 어느정도의 영향력을 발휘하는 위치에 서게되면 그 위치, 지위를 이용해서 수익을 극대화하려는 모습을 보이기 마련이다. 특히 독점 시장의 경우 그 독점 기업의 정책에 따라서 그 기업의 제품을 활용하는 다양한 부가제품을 만드는 업체들의 명암이 갈리곤 한다. 심하면 회사가 망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한 것이 사실이다. 모바일 시장에서 애플과 구글이 지금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 정책을 바꿨다. 뭐 애플은 앱스토어 정책을 자주 바꾼다. 앱스토어 정책은 앱스토어를 통해서 판매되는 모든 iOS용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기 때문에 절대적인 권한과 영향력을 지니게 된다. 요 몇년동안 계속 문제시 되어왔던 것은 다름아닌 어플리케이션 안에서의 판매정책(In App..
-
애플, 구글로 인해 미래를 먹혀버린 한국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산업. 글로벌 업체로의 식민지화는 이미 시작이 되었는데..Mobile topics 2012. 2. 9. 08:30
전자신문에 읽어볼만한 기사 하나가 올라왔다. "[긴급진단] '생태계 식민지' 시작됐다 애플·구글 리스크 공화국"이라는 조금은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인데 내용을 보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에 국내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잠식당하고 애플과 구글의 횡포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내용이다. 즉, 대한민국의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시장이 구글과 애플에 의해서 좌지우지되고 있는 현실이 비판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글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직접 현업에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입장에서 보면 애매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휴대폰 내 결재방식을 채택한 앱들에 대한 심의를 강화했다. 즉, 신용카드 이외의 결재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불응할 때에..
-
애플에 비판적인 나, 하지만 그렇게 보이게는 너무 애플 제품을 많이 쓰고 있는 나를 보면서...IT topics 2012. 1. 31. 08:10
이 블로그에서 여러번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나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등을 소개했었다. 사용기를 쓰는 목적으로 사용했던 제품들도 있었고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도 있었다. 그 중에서 애플 제품들만 한번 모아봤다.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애플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뭐 이 포스트를 보는 분들 중에서 '갑부 인증 하려고 하는구먼'하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지도 모른다(대충 떠오르는 사람이 몇 있다 -.-). 그냥 심심해서 한번 모아서 찍어본 것이다. 갖고 있는 애플 제품들을 한 곳에 다 모아봤다. 가운데에는 2011년 하반기에 나온 27인치 아이맥이 자리잡고 있고 우측으로는 마찬가지로 2011년 하반기에 나온 11인치 맥북에어가 있다. 우측으로는 애플의..
-
애플의 정책에 대응해서 클라우드를 통해서 킨들 서비스의 다각화를 선택한 아마존Cloud service 2011. 8. 16. 11:50
아마존의 전자책 솔루션인 킨들이 킨들 클라우드 리더로 나왔다. 아마존의 킨들은 킨들 단말기와 함께 안드로이드, iOS(아이폰, 아이패드 등)용 앱으로 같이 제공되었는데 아마존의 킨들 스토어를 통해서 전자책을 구매해서 다운로드 받아서 볼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일단 아마존의 킨들 클라우드 리더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트랜드를 쫓아간다는 큰 명분이 뒤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재미난 것은 아마존이 왜 킨들의 클라우드 리더를 내놓았는가에 대한 이유다. 앞서 얘기했던 대로 일단 최근 전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트랜드에 맞춘다는 것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애플이 최근 컨텐츠(앱이나 전자책 등)의 구매방식을 모두 앱스토어를 통해서만 할 수 있도록 정책을 바꿈으로 인해 킨들 앱스토어가 상당한..
-
앱은 무조건 앱스토어에서만? 애플의 새로운 앱스토어 정책과 시행하려는 의도는?Mobile topics 2011. 7. 28. 14:03
이번에 애플의 새로운 앱스토어 정책에 대해서 이런저런 말들이 많은가보다. 애플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즉 iOS를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쓸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은 모두 앱스토어에서만 팔아야 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 시행된지는 대략 2달정도 되는 듯 싶은데 최근 애플이 각 개발사에게 앱스토어에서만 앱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앱에 표시된 각종 인터넷 링크를 삭제할 것을 요청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앱을 사려면 앱스토어만 이용하라는 얘기다. 문제는 애플이 얘기하는 앱이 어플리케이션에만 한정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 정책이 시행된 후 구글북스가 앱스토어에서 사라졌다가 최근에 복구되는 현상이 벌어졌는데 구글북스 내부에서 전자책을 판매하는 기능은 사라진 채 복구되었다고 한다. 즉, 앱 안에서 진행되는..
-
애플의 비지니스로 인해 플래시와 HTML5는 의미없는 싸움 중?Mobile topics 2010. 5. 24. 10:18
최근 애플의 정책들 중에서 플래시 배척정책에 대해서 많은 비판을 이 블로그를 통해서 했다. 솔직히 애플의 플래시 배척정책은 누누히 말했지만 기술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정책적인, 일종의 정치적인 이유 때문임은 이 블로그를 통해서 여러번 얘기했으며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적어도 나는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고 여러번 언급했다. 지금도 그런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정치적인 이유에 비지니스를 결합한 결과가 플래시 배척정책인 것이다. 애플의 비지니스이기 때문에 맘에 안들기는 하지만 그것때문에 애플을 욕해도 애플의 비지니스이기에 지들이 안바꾸면 어쩔 수 없다. 하지만 종종 헷갈리는 것들 중에 하나가 애플의 플래시 배척정책에 HTML5를 밀기 위함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부분이다. 즉, 애플은 향후 HTML5 vs 플래시 ..
-
앱스토어에서 벅스, 소리바다, 엠넷이 사라진 이유는 iTunes Store 방어때문?Mobile topics 2010. 5. 17. 08:40
저번에 애플 앱스토어에서 벅스, 소리바다, 그리고 엠넷 어플리케이션이 사라진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이통사 소액결제를 이용하는 이들 어플리케이션의 결제방식이 애플이 정하고 있는 결제방식(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앱스토어에서 삭제했다는 것이다. 이미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은 사라졌지만 형평성 논란이 일어날 수 있는 소지가 남아있는 것이 비슷한 소액결제를 채택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예스24나 메가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여전히 앱스토어에 남아있고 지금도 다운로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어제 글에서는 애플이 결제시스템을 신용카드만으로 이뤄지겠끔 통제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아마도 그 이유가 어플리케이션 안에서 이뤄지는 구매 및 결제를 통한 수익을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매시 일어나는 ..
-
KT의 승부수. 와이브로를 중심으로 3W 전략으로 스마트폰 시장에 바람을 일으킬까?Mobile topics 2009. 11. 27. 10:35
요즘 스마트폰이 대세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에서 아이폰이 일으킨 스마트폰 열풍은 MS로 하여금 윈도 모바일의 업그레이드를 끌어냈고 구글로 하여금 안드로이드를 내놓게 했으며 노키아가 심비안을 오픈소스로 돌리고 그것도 모잘라 마에모를 만들게 했으며 뿔뿔이 흩어져있던 임베디드 리눅스들을 한데 모아(?) 리모라는 모바일 리눅스 플랫폼을 탄생하게 했다. 물론 아이폰이 이 모든 것을 다 이끌고 왔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분명 태생의 씨앗이 된 것은 확실하다. 아이폰이 실패했다면 지금의 스마트폰 열풍은 처음부터 없었을테니까 말이다. 아마도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의 1% 정도밖에 안되는 비율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여하튼간에 아이폰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열풍..
-
다음, 네이트등을 묶은 오픈소셜의 구글, 네이버를 깨뜨릴 전쟁을 시작하다IT topics 2009. 6. 5. 08:35
아래의 글은 구글의 오픈소셜 국내 확산과 네이버의 오픈 정책에 대해 생각나는 대로 써본 글이다. 사실과 많이 다를 수가 있으니 읽는 데에 참고하길 바란다. 구글은 최근 다음에 이어 네이트와도 오픈소셜에 참가하도록 했다고 한다. 이미 야후가 오픈소셜에 참가한다고 했기 때문에 국내 포탈서비스들 중에서 네이버를 제외한 다음, 야후, 네이트가 구글의 오픈소셜에 참여한 것이다. 이를 두고 사람들은 구글을 중심으로 모이는 반네이버 연합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것은 구글과 네이버가 오픈소스 정책을 두고 국내에서 한판 겨루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겉으로는 다음, 야후, 네이트, 구글의 반네이버 연합과 네이버의 싸움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글이 국내 포탈서비스 시장 장악을 위해 No.1 포탈서비스인 네이버에 강력하게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