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
혁신에 대한 프리미엄도 잃고 소송전으로 인해 이미지 타격도 입고.. 독점 우선주의가 가져온 애플의 악수(惡手)의 끝은?Mobile topics 2012. 9. 24. 09:20
지겨운 싸움이 또 시작된 듯 싶다. 애플이 삼성에 대해서 전방위적으로 다시 특허 소송 공격을 시작한 것이다. 뭐 이미 알려진대로 갤럭시 S3까지 소송의 범위를 넓혔는데 과연 이게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가 궁금하면서도 이제는 애플의 소송전이 지겨워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물론 삼성도 결국 아이폰5까지 소송전의 대상으로 넣었지만 말이다. 그리고 미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삼성이 애플에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말이다. 결국 애플은 미국 안에서의 삼성 영향력을 어떻게든 줄여보겠다고 세계 시장을 포기하는 듯한 인상을 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애플의 이미지는 점점 안좋아지면서 말이다. 애플의 소송전이 비단 삼성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데 더 큰 문제가 있는 듯 싶다. 아이폰5가 나왔기 ..
-
디지탈 시대에 비춰봤을 때 구시대의 산물처럼 보이는 특허와 저작권. 과연 없애기만 하는 것이 능사일까?IT topics 2012. 7. 5. 12:00
요즘들어 IT계의 이슈는 삼성과 애플의 특허싸움이라는 생각이 든다. 특히 삼성의 갤럭시 탭 10.1이 미국에서 판매금지를 당하고 오리지날 삼성제품이라고 말하기는 뭐하지만 구글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스마트폰인 갤럭시 넥서스까지 판금(판매금지)을 당한 상태에서 구글 플러스에서 펼쳐지는 구글 팬보이의 애플 불매운동과 국내 언론에서의 각종 뉴스들까지 아주 난리도 아니다. 그만큼 애플과 삼성을 선두로 하는 구글 진영(이라고 해봤자 삼성과 구글 뿐이구나)의 특허 싸움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많은 사람들, 특히 인터넷에 손쉽게 접하는 세대들은 특허, 그리고 저작권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조금 지닌 듯 싶다. 특허와 저작권으로 인해 창작의 욕구를 떨어뜨리고 각종 폐해가 일어난다는 이유 때문이다. 뭐 아주 틀린..
-
온라인 지적재산권 보호법안 반대와 재정 연기를 보면서. 인터넷에서 지켜야 할 자유와 그 자유에 대한 책임은 어디까지? 또 무책임한 자유를 제지할 방법은?Security 2012. 1. 22. 14:29
미국 의회가 이른바 PIPA(Protect IP Act)라 불리는 온라인 지적재산권보호법안의 제정 추진을 네티즌들의 여론에 밀려 연기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PIPA 재정에 반대하기 위해 위키피디아나 구글 등 미국의 온라인 서비스들이 항의성 페이지를 만든다던지 서비스 일시 다운을 한다던지 하는 행동을 했고 네티즌들도 이 법안에 대해서 강경하게 반대했기 때문에 곧 선거를 해야하는 미국 의회 입장에서는 선거에 위협이 되는 이 법안 제정을 미룬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 의회는 PIPA와 함께 온라인 해적행위 방지법(SOPA.Stop Onlie Piracy Act)도 같이 재정하려고 했지만 일단 PIPA 법안 제정만 미뤘고 SOPA에 대한 얘기는 없는데 아마도 같이 묶음으로 제정이 미뤄진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
[세미나 안내] 젖과 꿀이 흐르는 저작권 컨퍼런스...Security 2010. 10. 14. 09:08
창작과 늘 대치되는 지점에 있는 것이 다름아닌 저작권이다. 원래는 창작과 저작권은 같은 선상에서 서로 함께 나가야 하는 것인데 이상하게 창작의 가장 큰 장애물로 저작권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잘못된 인식임은 분명하지만 제대로 된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없는 상황에서는 계속 이런 논란이 계속될 듯 싶다. 이런 가운데 인터넷 주인찾기 두번째 컨퍼런스가 진행된다. 저작권은 창작의 무덤이라는 좀 과격한 주제를 다룬다. 지인이 진행(?)하는 행사이기에 소개해볼까 한다. 시간만 맞으면 나도 가보고는 싶으나 저번 시즌 1과 마찬가지로 내가 움직일 수 없는 시간대인지라 관심있는 분들이 있을 듯 싶어서 소개한다. 참고로 본인이 지금 다니는 회사가 문서 및 컨텐츠 보안 솔루션(DRM)을 다루는 회사며 본인 역시 이..
-
앱스토어에서 벅스, 소리바다, 엠넷이 사라진 이유는 iTunes Store 방어때문?Mobile topics 2010. 5. 17. 08:40
저번에 애플 앱스토어에서 벅스, 소리바다, 그리고 엠넷 어플리케이션이 사라진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이통사 소액결제를 이용하는 이들 어플리케이션의 결제방식이 애플이 정하고 있는 결제방식(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앱스토어에서 삭제했다는 것이다. 이미 이들 어플리케이션들은 사라졌지만 형평성 논란이 일어날 수 있는 소지가 남아있는 것이 비슷한 소액결제를 채택하고 있는 다른 어플리케이션들, 예스24나 메가박스 어플리케이션은 여전히 앱스토어에 남아있고 지금도 다운로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어제 글에서는 애플이 결제시스템을 신용카드만으로 이뤄지겠끔 통제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아마도 그 이유가 어플리케이션 안에서 이뤄지는 구매 및 결제를 통한 수익을 앱스토어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매시 일어나는 ..
-
RSS 전문 공개를 활용하는 부분에 대한 학주니닷컴의 소견...?Blog 2009. 5. 12. 11:00
전체공개가 되어있는 RSS 피드는 아무렇게나 누구든지 맘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일까? 컨텐츠 유통을 좀 더 편리하게 하고자 만들어진 RSS에 대한 사용 및 활용(같은 의미지만 강조하는 뜻에서 -.-)에 있어서 약간의 혼란이 좀 있는 듯 싶다. 2주 전에 어떤 블로거가 RSS 전문공개를 잘못 활용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문제가 있다고 제기했었다. IDG에서 운영하고 있는 블로그 시스템에 RSS를 등록해서 발행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 여차하면 저작권에 문제가 되고 불펌의 소지가 높다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여기에 어떤 다른 블로거가 반박 성격의 글을 발행하면서 약간의 논쟁이 있었다. 반박의 글을 발행한 블로거는 이미 전문공개를 했다는 것은 모든 것을 다 공개했다는 것인데 어디서 사용하든 크게 관여할 것이 못..
-
한국형 시맨틱 검색엔진 큐로보 블로거 간담회 후기IT topics 2008. 11. 17. 11:34
저번주 금요일 저녁에 국산 전자동 검색엔진 큐로보 블로거 간담회에 참석하게 되었다. 강남 토즈에서 있었던 블로거 간담회에 대략 7~8명정도의 블로거들이 참석해서 큐로보가 어떤 검색엔진인지 담당자에게 들을 수 있었다. 큐로보의 가장 큰 특징은 시맨틱 검색이라는 것이다. 의미 기반의 검색이라고 하는데 기존의 검색엔진은 키워드 기반 검색인지라 키워드에 해당하는 검색결과를 쭈르르 나열해서 그 양도 많고 매칭되는 검색결과도 상대적으로 적은데 비해 시맨틱 검색은 키워드의 의미로 검색하기 때문에 그 매칭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이미 전세계적으로 이 검색방식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진행되어가고 있는데 국내에서는 큐로보가 그 가운데 있다는 얘기가 될 것이다. 까칠한 블로거들이 모인 관계로 이런저런 이야기들이 많이 오가게..
-
이젠 DRM Free가 대세다!IT topics 2008. 7. 29. 22:42
SKT의 멜론과 KTF의 도시락이 DRM Free 음원을 시장에 내놓기로 했다고 한다. 그동안 공정위에 소송까지 걸면서 DRM 음원을 고수했던 SKT는 결국 대세(?)를 못이겨 DRM Free로 발길을 옮긴 것이다. 멜론은 내일(30일)부터 월 5천원에 40곡을, 아니면 월 9천원에 150곡을 DRM이 없는 음악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내놓는다. 도시락 역시 비슷한 수준에서 DRM Free 상품을 내놓는다고 한다. 이통사들이 그동안 주수익원이나 다름없던 DRM을 포기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뭘까? 문광부가 최근에 내놓은 개정된 음악저작권 징수규정이 그 이유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더 찾아봐야 하겠지만 저 규정으로 인해 DRM Free도 가격 경쟁력을 지닐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일단 DRM Free가..
-
논란이 많은 아프리카 서비스의 나우콤 대표이사 구속 사건Current topics 2008. 6. 17. 12:01
인터넷 TV 사이트(라고 하기에는 애매하고 인터넷 동영상 중계 사이트라 해야 옳을 듯)인 아프리카를 운영하고 있는 나우콤의 대표이사인 문용식 사장에게 구속영장이 신청되어 구속되었다는 뉴스를 오늘 아침에 들을 수 있었다. 원래는 어제 저녁에 집행된 일이라 한다(16일 영장신청, 17일 구속). 아프리카는 최근 촛불문화제 중계로 급성장한 인터넷 동영상 포탈 사이트다. 촛불문화제에 참가한 많은 네티즌들이 실시간으로 디지탈 캠코더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전송하면 아프리카라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든지 촛불문화제의 현장을 지켜볼 수 있었다. 촛불문화제가 한달동안 이렇게 엄청난 효과를 가져오는데에는 다음 아고라와 함께 아프리카가 함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검찰은 나우콤..
-
YouTomb, 왜 내가 올린 동영상이 죽었는가?IT topics 2008. 5. 21. 11:06
웹2.0 시대에 도래하면서 가장 크게 확산된 서비스가 아마도 동영상 공유 서비스가 아닌가 싶다. 해외에서는 YouTube가 급속이 성장해서 구글에 큰 돈 얹고 인수되었고 국내에서도 판도라TV나 다음의 TV팟 등 다양한 동영상 공유 서비스들이 존재해서 인터넷 상에서 맘껏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상황이다. 웹2.0의 대표 키워드인 UCC가 동영상으로 인식될만큼 언론을 통해서 동영상 UCC에 대한 내용들이 많이 알려진터라 IT쪽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도 꽤 많이 알려진 상태다. 이렇게 동영상 공유 서비스들이 범람하고 있는 상황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역시나 저작권 문제다. 네티즌들이나 다른 사람들이 직접 디지탈 캠코더 등으로 영상을 만들어서 올리는 경우보다 TV 프로그램에서 따온 내용들이나 영화 등에서 퍼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