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
네이버, 드디어 CCL을 도입하는가.IT topics 2008. 2. 26. 14:23
네이버가 블로그와 카페에 CCL(Creative Commons License)를 도입하겠다고 한다. 그리고 스크랩된 글의 원본 출처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하고 스크랩한 글은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네이버 블로그 시즌 2의 에피소드 3, 4에 포함된 이야기다. 또한 검색시 스크랩된 글 보다 먼저 원본이 검색될 수 있도록 검색 알고리즘을 강화한다고 한다. 먼저 스크랩된 글에 대한 원본의 기능강화에 대한 이야기다. 스크랩된 글의 원본 출처를 자동으로 기입하게 하고 스크랩된 글은 수정이 안되도록 했다. 간단히 테스트를 해봤는데 스크랩된 글의 원본 및 출처가 글의 상단에 기입된다. 이전과 비슷하지만 폰트가 좀 더 커졌다. 그래서 이전보다는 좀 더 잘 보일것이라 생각이 든다. 그리고 수정할려고 하면 수정창에 아예 ..
-
표준화된 강력한 DRM을 원하는 EU...IT topics 2008. 1. 7. 13:15
유럽연합은 모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DRM을 원하고 있다고 한다. Europe Wants To Force DRM Interoperability (TechCrunch) EU는 애플, MS 등에서 제공하는 DRM이 서로 호환되지 않기 때문에 iPod나 Zune 등의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통용되는 통일된 DRM 시스템을 원한다고 한다. 하기사 전세계적으로 DRM 시스템이 너무 많고 각기 지원되는 DRM에 따라서 모바일 기기들이 달라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니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원낭비가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나 역시 DRM 솔루션을 공급하는 회사에서 엔지니어링을 하는 입장인지라 DRM을 모바일 기기에 탑재하는 상황에서 여러가지 애로사항을 많이 겪게 된다. DRM이 하나면 충분한데 왜 ..
-
DRM(Digital Rights Management)?IT topics 2007. 9. 5. 16:26
요즘들어 DRM Free라는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말 그대로 DRM이 없이 제공한다는 이야기다. 특히 MP3 등의 음원쪽에서 이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있다. 이미 MP3는 대세고 각 DRM에 따라서 MP3P의 선택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불편하다는 평가 때문이다. 그래서 MP3쪽은 DRM 없이 제공하자는 운동이 많이 일어나고 미국에서는 대형 MP3 제공 업체쪽에서 DRM Free로 MP3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렇다면 왜 DRM을 사용했을까? 이미 어떤 용도로 사용을 했으니 이제는 DRM을 풀자는 이야기가 나오는게 아닌가.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의 약자로 말 그대로 전자 권리 관리(직역)다. 전자 권리라 함은 일반 종이로 된 문서가 아닌 PC..
-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IT topics 2007. 8. 12. 13:40
인터넷의 처음 시작이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링크에서 시작되었듯 요즘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도 하이퍼링크는 뉴스를 소비하는데 일등공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ZDNet Korea) All the news that's fit to link(CNetNews.com) 뉴미디어 전문가인 제프 자바스의 의견에 따르면 블로그가 되었건 일반 사이트가 되었건 잘할 수 있는 부분만 스스로 쓰고 나머지는 모두 링크에 맡기라고 한다. 이미 인터넷에는 뛰어난 컨텐츠들이 많고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들도 얼마든지 있으니 내가 뭔가를 만들려고 한다면 내가 자신있게 할 수 있는 부분만 내가 쓰고 내가 자신없는 부분은 그 부분을 잘 표현한 다른 컨텐츠의 URL을 링크로 걸어서 내 컨텐츠를 보는 사용자가 쉽게..
-
저작권 2.0, 길드에서 플랫폼으로Blog 2007. 6. 29. 09:59
ZDNet Korea를 살펴보다가 다음의 칼럼을 봤다. "웹2.0 경제학"이라는 책으로 유명한 김국현씨가 쓴 칼럼이다. 저작권에 관련된 글이다. 저작권 2.0, 길드에서 플랫폼으로 (ZDNet Korea) 글의 요점은 저작권은 원래의 목적은 해당 컨텐츠의 창조자가 좀더 활발한 창조활동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자신이 창조한 컨텐츠에 정당한 댓가를 받아 다른 창조활동을 하면서 더욱 컨텐츠를 풍성하게 하는 것이 저작권의 진정한 목표하는 내용이다. 전반부는 그러한 내용을 다루고 있고 중요한 부분은 후반부쪽에 나온다. 앞으로는 이런 방향으로 저작권이 개편되어 나가야 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한번 인용해보았다. 복제는 자유롭게 무한히 일어날 것. 이 이상계의 속성을 거스르는 일은 쉽지 않다. DRM이 미봉..
-
인터넷 콘텐츠, 이대로 둘 것인가IT topics 2007. 5. 23. 14:48
역시나 ZDNet Korea을 둘러보면서 괜찮은 칼럼이 있어서 소개하고자 한다. 인터넷 콘텐츠, 이대로 둘 것인가 (ZDNet Korea) : 번역문 Taming the Wild West of content (CNet News.com) : 원문 밑에 있는 것이 CNet에 포스팅된 원문이고 위에 것이 ZDNet Korea에서 번역한 번역문이다. 원문을 읽다가 이해가 안가면 원문을 읽어보는 것도 괜찮다고 보여진다. 이 글에서 현재 인터넷 컨텐츠 경제는 급격하게 커가고 있지만 성공적인 경제체제가 갖춰야 할 속성인 투명성과 책임성이 결여되어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맞는 말이다. 현재 인터넷 여러 사이트들이나 블로그들을 돌아다니다보면 남이 정성껏 힘들여 써놓은 양질의 컨텐츠(여기서는 글, 그림, 사진, 동영상 등 ..
-
구글, 비아컴에 저작권법으로 1조원의 소송에 휘말리다.IT topics 2007. 3. 15. 11:44
구글이 비아컴에 1조원 상당의 대규모 소송에 휘말렸다. 유튜브, 10년 묵은 저작권법에 좌초 위기? (ZDNet Korea) 어제 MBC 뉴스데스크에도 구글이 비아컴에 대규모 소송이 걸렸다고 뉴스를 내보냈다. 그정도로 지금 구글과 비아컴의 소송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의 많은 동영상 UCC 공유사이트(엠엔케스트, TV팟, 판도라TV 등)들이 현재 저 소송에 초점을 맞추며 지켜보고 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도 방송i 3사(이렇게 부르랜다. -.-)도 한국의 동영상 UCC 공유사이트에 비슷하게 소송을 낼려고 준비중이라는 소식 때문이다. 구글과 비아컴의 소송은 점점 뉴미디어(UCC로 대표되는 동영상 공유사이트 등)에 밀려 수익이 줄어든 기존 미디어의 대반격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웹2.0 시대에 맞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