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집에 있는 PC에 윈도 Vista를 깔다.Personal story 2007. 12. 10. 10:06
어제 오랫만에 집에 있는 PC의 OS를 밀어버렸다. 윈도 XP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설치한지 한 1년정도 지난듯 싶다. 그래도 나름대로 잘 관리하고 ActiveX 설치도 상당히 신중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니나다를까 PC가 버벅대기 시작했다. 집에서 사용하는 PC의 경우 대부분 인터넷을 한다던지 오피스를 이용해서 문서작업, 엑셀작업 등을 한다. 내 경우에는 집에서 가끔 회사일을 본다지만 그 경우에도 원격데스크탑을 이용해서 회사에 있는 내 업무용 PC에 원격으로 붙어서 작업을 하지 집에 있는 PC에 개발환경을 설치해서 작업하지는 않는다(이전에는 그렇게 작업했다. 그런데 영 불편해서 개발환경을 지우고 원격으로 작업하겠끔 바꿨다).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PC를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이나 문서작업 등을 많이 사용..
-
아이들의 인터넷 사용, 이제는 관리를..IT topics 2007. 12. 3. 15:55
애플의 레오파드(Mac OS X)와 MS의 비스타(MS Vista)에는 어른들, 특히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모들이 좋아할만한 기능이 있다. 바로 인터넷 감시 기능이 그것이다. 「레오파드」와「비스타」의 신기능 (ZDNet Korea) 레포파드의 경우 새로운 설정기능을 이용하면 아이들의 인터넷 시간을 관리하거나 특정 사이트 접속 차단 등을 할 수 있다고 한다. 또 아이튠즈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한할 수 있다고 한다. 비스타의 경우도 아이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시간을 정할 수 있다고 한다. 지정된 날짜, 요일, 시간 이외에는 프로그램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아마도 아이들용 계정을 따로 만들고 그 계정을 관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듯 싶다. 그래도 어렸을 때부터 인터넷에 노출이 쉬운 요즘..
-
이제는 한글로 외국문서까지 검색하는 세상이 온다.IT topics 2007. 12. 3. 14:01
구글이 최근 자체 번역 서비스를 정식으로 내놓았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여러 영문 번역 서비스중에서 그나마 정확하다는 번역 서비스가 구글 번역 서비스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기계적 번역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는 법이다. 구글 번역 서비스를 이용해서 영문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거나 역으로 한글문서를 영문으로 번역을 하게되면 그 결과가 솔직히 아니올시다라는 것이다. 어느정도 손을 봐야 그나마 읽을만한 수준으로 번역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이런 와중에 구글은 음성인식 번역기술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중앙일보에서 구글의 피터 노빅 박사의 인터뷰를 게제했는데 내용이 참 재밌다. 구글 피터 노빅 박사 `한글로 전세계 웹 검색` (조인스닷컴)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문서의 70% 이상은 영문으로 작성되어있고 나머..
-
RSS Reader를 통해서 인터넷 뉴스를 읽어본다면?IT topics 2007. 12. 3. 13:51
예전에 인터넷 뉴스를 보기위해 어떻게 하는가에 대해서 잠깐 논한적이 있었다(참고 : 인터넷에서 뉴스를 보는 방법은?). 내 경우에는 각 언론사닷컴을 돌아다니면서 뉴스를 보는 경우다. 귀찮지않냐고 말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포탈사이트에서 뉴스를 보는 것보다는 뭐랄까 더 세세히 뉴스를 읽을 수 있다고나 할까. 여러 언론사닷컴을 돌아다녀야 하는 단점이 있는 대신에 더 세밀한 뉴스를 읽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계속 고수하고 있는 편이다. 그런데 포탈 사이트에 가는 것이나 뉴스 사이트에 가는 것이나 모두 사용자가 직접 해당 사이트에 가야하는 단점이 있다. 좀 더 편하게 뉴스를 볼 수 있는 방법이 없나? 많은 블로거들이 자기가 구독한 블로그들을 RSS Reader를 통해서 읽는다. 블로그 특성에 따라서 전체를 읽을..
-
Google Developer Night 2007을 다녀와서IT topics 2007. 12. 3. 13:16
어제 구글 코리아에서 개최한 Google Developer Night 2007(이하 구글 디벨로퍼 나이트)에 다녀왔다. 오후 5시부터 시작한 세미나는 4개의 세션을 진행하고 저녁 10시에 끝났다. 무려 5시간이나 진행한 세미나였다. 개인적으로 저번의 애드센스 세미나 이후에 두번째로 참석하는 구글 세미나였기에 기대를 했다. 특히나 인터넷의 아버지라 불리우는 빈트 서프(Vint Cerf)가 연설을 할 예정이어서 더 기대를 갖게 되었을지도 모른다. 회사에서 조금 일찍 나와서 행사장인 강남고속터미널의 메리어트 호텔로 향했다. 시간이 남아서 중간에 영풍문고에 들러서 책도 이래저래 보면서 약간 시간을 때운 후 5시에 메리어트 호텔 5층 그랜드볼룸으로 갔더니 신청을 받고 있었다. 참석등록을 한 후 세미나 전까지 주변..
-
인터넷 광고, 막는 것이 옳을까?IT topics 2007. 12. 3. 10:07
우리나라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면 소비자들이 난리를 치겠지만, 미국은 인터넷 광고차단에 대한 웹 서비스 업체의 법적 소송에 대해서 얘기가 나오고 있다고 한다. 웹 광고 차단, 법대로 해? (ZDNet Korea) Web ad blocking may not be (entirely) legal (CNetNews.com) 광고 덕으로 살아가는 회사들이 소비자들이 광고를 차단하거나 건너뛰에 해주는 제품을 억제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한 역사는 오래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제는 그 대상이 자바 스크립트를 막거나 플래시 광고를 막게하는 웹 브라우저 애드온 프로그램이 될지도 모른다고 한다. 많은 웹 서비스들이 자사 서비스에서 게시한 광고로 돈을 번다. 물론 유료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들로부터 받은 돈으로 어느정도 충당이 ..
-
과연 애플은 한국을 제대로 대우하는 것일까?Mobile topics 2007. 12. 3. 10:05
국내에서 애플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좋은 편이다. iPod이나 iPhone에 대한 인식도 괜찮은 편이고 노트북PC인 MacBook에 대한 인식도 그렇게 나쁜 편은 아니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애플이라는 회사에 대한 인지도도 꽤 높으며 디자인 측면에서의 애플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높은 편에 속한다고 본다.그런데 과연 이러한 한국 사용자의 애플 사랑(?)에 대해서 애플은 한국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을 하고 있을까? 여러가지 뉴스를 통해서 살펴보게되면 그다지 애플은 한국에 대해서 신경을 안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 생각을 들게 만드는 기사가 최근에 나왔다. 아이팟 터치, 한국에선 ‘빛좋은 개살구’ (아이뉴스24) 이번에 3세대 iPod으로 출시한 iPod touch에 대한 내용이다. iPhone의 전화 ..
-
인터넷 검열은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취급해야.IT topics 2007. 9. 6. 11:06
좀 지난 기사기는 하지만 ZDNet Korea에서 구글 CEO인 에릭 슈미츠가 8월 21일 미국의 진보와 자유 재단에서 개최한 컨퍼런스에서 한 이야기를 게제했다. 구글 CEO「인터넷 검열은 비관세 무역장벽」주장 (ZDNet Korea) Google: Censorship should be trade barrier (ZDNet.co.uk) 보통 인터넷을 국경이 없는 나라로 비유하곤 한다. 미국에서 벌어진 일을 인터넷을 통해서 한국에서 거의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구글이 제공하는 서비스 중 구글 어스를 이용하면 내가 원하는 위치에 대한 위성 사진도 얻어낼 수 있다. MSN 음성통화 기능을 이용하면 001이니 00700이니 하는 국제전화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해외에 나가있는 친척들이나 친구들과..
-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무용지물' 논란Security 2007. 8. 30. 09:59
현재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대다수의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이 치유율에 있어서 상당히 뒤떨어진다는 기사가 나왔다.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 '무용지물' 논란 (아이뉴스24) 스파이웨어. 트로이목마라고도 하기도 하고 트로이목마의 한 종류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OS에 어느 시스템쪽에 숨어있다가 사용자들의 PC 정보 및 사용현황 등을 자기네 서버로 전송하는 프로그램을 뜻한다. 예전에는 바이러스와 구분되어 이야기되었지만 이제는 스파이웨어도 바이러스 계열로 취급하고 있다. 지금은 오히려 바이러스보다 더 무서운 존재로 자리잡고 있다. 해킹 툴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국내에는 수많은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 많은 경우 영세 업체에서 만들어서 배포한다. 기사에서는 영세 업체에서 배포한 스파이웨어 제거..
-
블로그 등의 개인영역 인터넷 실명제에 대해서IT topics 2007. 8. 24. 18:18
요즘 한참 얘기가 나오는 것이 바로 인터넷 실명제가 아닐까 싶다. 공직선거법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시행된 인터넷 실명제가 정보통신망법으로 옮겨져서 포탈 사이트에서는 기본으로 실명확인을 한 후에 덧글이나 글을 남길 수 있도록 해놨다. 그리고는 문화관광부는 저작권법의 확실한 자리잡힘을 위해 블로그 및 P2P, 웹하드에까지 업로드를 할 때 실명확인을 한 후에 업로드를 할 수 있는 실명제를 도입하겠다고 나서서 파문이 일고 있다. 공공영역인 포탈에 이어 개인 영역인 블로그, P2P, 웹하드에까지 감시를 하겠다는 의미로 비춰지고 있다. 개인의 정성이 담긴 저작물에 대해서는 분명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아야 하며 보호되어야 할 대상임은 분명하다. 그리고 자신이 한 행동(글이나 덧글 등)에 대해서는 책임을 져야 함은 당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