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IT 강국의 그림자, 인터넷 위험속의 아이들Current topics 2007. 8. 22. 11:25
보통 우리나라를 IT 강국이라고 말한다. 인터넷 인프라는 거의 세계 최고를 달리고 있으며 네이버와 같은 포탈 사이트에는 볼꺼리들이 많다. 그리고 온라인 게임의 강국이라 불릴만큼 다양한 온라인 게임들이 있으며 퀄리티 역시 패키지 게임 못지않고 오히려 더 뛰어난 경우도 많다. 이렇다보니 인터넷에 많이 노출되는 사회며 그만큼 PC 사용율도 점점 높아져가고 있는것이 현실이다. 그것이 성인들에 한해서라면 큰 문제는 안되겠지만 인터넷 사용 연령이 점점 낮아져서 이제는 4~5살 아이들에게까지 미치고 있다는 점은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PC중독 어린이, 보안「주사」맞을 시간 (ZDNet Korea) 나같은 30대들이 어렸을 때 놀았던 놀이문화와 지금 아이들의 놀이문화는 그 개념부터가 완전히 바뀌어버렸다. 우리네들 ..
-
상식 밖의 블로그는 지탄의 대상이 될 수 있다.Blog 2007. 8. 15. 08:00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러한 사람들이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통해서 녹아지면서 그들은 네티즌이 되었다. 즉, 수많은 사람만큼이나 수많은 네티즌들이 존재하고 그 수많은 네티즌들의 수만큼 다양한 생각들이나 사상들도 존재한다. 서로가 모두 같은 생각이나 사상을 갖고 있지는 않을 것이다. 비슷한 생각이나 사상을 갖고 있더라도 조금씩은 틀리기 마련이니 말이다. 그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세상이나 인터넷 공간에서도 말이다. 그러다보니 다양한 의견들 중에는 우리가 흔히들 생각하는 상식이라는 것을 벗어나는 의견들도 다수 존재한다. 그 상식을 벗어난 의견들 중에는 어느정도 덮어 둘 수 있는 수준의 의견도 있을 것이고 도저히 제정신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그러한 의견도 있을..
-
자원의 보고, 도서관의 진화Books 2007. 8. 14. 15:52
자료는 인터넷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해외의 경우 자기가 원하는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인터넷과 동시에 도서관을 함께 활용한다고 한다. 진화하는 해외 도서관들 (ZDNet Korea) Steal this book? Don't bother (CNetNews.com) 최근 미국의 도서관에 보면 예전에는 없었던 서비스들이 강화되고 있다고 한다. 도서관에 비치된 책들의 검색 서비스 및 DB 접근, 기사, 사진 및 eBook, AudioBook(오디오북), 음악, 박물관 관람표 등. 게다가 이 모든 것들이 모두 무료라는 사실은 정말로 우리를 놀랍게 하고 있다. 기사에서는 이 모든 방대한 자료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왜 이리도 사용이 낮은가에 대한 이유로 사람들이 잘 몰라서 그렇다고 하고 있다. 실제로 그렇다. ..
-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IT topics 2007. 8. 12. 13:40
인터넷의 처음 시작이 하이퍼텍스트와 하이퍼링크에서 시작되었듯 요즘과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도 하이퍼링크는 뉴스를 소비하는데 일등공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모든 뉴스는 링크로 통한다(ZDNet Korea) All the news that's fit to link(CNetNews.com) 뉴미디어 전문가인 제프 자바스의 의견에 따르면 블로그가 되었건 일반 사이트가 되었건 잘할 수 있는 부분만 스스로 쓰고 나머지는 모두 링크에 맡기라고 한다. 이미 인터넷에는 뛰어난 컨텐츠들이 많고 내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들도 얼마든지 있으니 내가 뭔가를 만들려고 한다면 내가 자신있게 할 수 있는 부분만 내가 쓰고 내가 자신없는 부분은 그 부분을 잘 표현한 다른 컨텐츠의 URL을 링크로 걸어서 내 컨텐츠를 보는 사용자가 쉽게..
-
여름방학, '초딩'들의 인터넷 습격!IT topics 2007. 8. 2. 18:56
인터넷 뉴스에 재미난 기사가 떴다. 여름방학, '초딩'들의 인터넷 습격! (아이뉴스24) 이미 8월이니 우리네들 초딩들은 방학을 했고 이제 그 초딩들이 주로 가는 사이트들은 악성댓글(악플) 비상이 걸렸다는 기사다. 게시판 점령 뿐만 아니라 게임중에 욕설 및 막말을 서슴없이 하는 그 행태로 인해서 이제 많은 네티즌들이 골머리 썩게 생겼다. 확실히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인터넷 문화에 많이 녹아들어지고 있다. 문제는 아직 정신적으로 여리고 상황판단을 잘 못하는 나이의 아이들이 인터넷이라는 완전 열린 공간에서 잘못된 개념을 갖고 행동하는 것이다. 악플을 다는 네티즌들을 조사해보면 아무것도 모르는 초등학생 이하 어린이들이 3~40%정도가 되니 그 피해는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리고 점점 그 아이들은 약아지고 있는..
-
자바와 C언어, 어떤 것을 선택해야?IT topics 2007. 7. 26. 12:00
내가 회사에서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 언어는 C언어다. 가끔 C++을 사용하기도 하고 윈도 프로그래밍을 할려면 MFC나 Win32 API를 이용한 프로그래밍도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내 메인 컴퓨터 언어는 C언어다. 이게 내 밥줄이며 내 기술이다. 이것 덕분에 지금까지 그나마 회사에서 잘 써먹고 있는 것이라 생각이 든다. 요즘들어 웹2.0에 관심이 많아져서 관련 글들도 블로그에 쓰고 관련 자료들도 인터넷을 통해서 이리저리 찾아보기도 하고 포럼이나 세미나에도 가끔 참석해서 주변 지식을 넓히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데 계속적으로 웹2.0에 대해서 공부하면서 느끼는 점은 지금 내가 하고있는 일과는 전혀 매치가 안되고 있다는 것이다. 웹2.0은 말 그대로 웹이다. 인터넷의 한 종류인 웹은 이제는 아예 인터..
-
IT 경쟁력 세계 3위를 자랑하는 한국, 이제는 소비에서 생산으로..IT topics 2007. 7. 14. 01:00
각 나라별 IT 산업의 경쟁력 순위가 발표되었다. 최근 이코노미스트가 60여개의 나라를 대상으로 IT 산업 경쟁력을 조사해서 IT industry competitlveness index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 일본에 이어서 IT 경쟁력이 3위로 마크되었다고 한다. 한국, IT 경쟁력 세계 3위 (ZDNet Korea) Index ranks IT industries by nation (CNetNews.com) 전체 순위를 먼저 보면 1위가 미국, 2위가 일본이고 한국이 3위에 마크되어 있다. 그리고 그 뒤로 영국, 호주, 대만 순으로 마크되어있다. 점수도 함께 공개되었는데 점수는 국내 기업 환경, IT 인프라, 연구 개발 노력과 같은 요인에 대해 1점부터 100점까지 점수..
-
차세대 OS, 이제는 웹(Web)이다IT topics 2007. 7. 10. 21:00
ZDNet Korea 기사에 다음의 내용이 떴다. 「웹이 차세대 OS가 된다」: 넷바이브가 전하는 포털의 미래 (ZDNet Korea) 내용을 잘 읽어보면 일본에서 넷바이브 일본판 서비스가 시작되었는데 모든 것들을 일본인들이 다 만들었고 넷바이브(아마도 본사인듯)에서는 관여를 안했다는 내용이다. 그렇다면 넷바이브는 뭔가? 간단히 개인화 서비스다. 한국의 위자드닷컴이나 구글의 iGoogle과 같은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RSS나 Atom과 같은 신디케이션 프로토콜을 이용하거나 위젯 등을 이용해서 타 서비스와 연동시켜서 자기만의 웹 사이트를 만드는 서비스를 뜻한다. 넷바이브를 통해서 위젯으로 일정관리나 할 일 관리를 할 수 있고 Gmail과 연동시켜서 메일을 Gmail에 안들어가고도 확인할 수 있으며 날씨나..
-
책 리뷰 : 인터넷 권력전쟁Books 2007. 7. 5. 11:36
예전에 커리어블로그의 이벤트 행사로 '인터넷 권력전쟁' 이라는 책을 받았다. 한동안 바빠서 못읽었는데(내가 주로 책을 읽는 시간은 출퇴근시 전철안에서다. 출퇴근 시간이 대략 오가는데 3시간이니 읽을 수 있는 시간은 1시간반에서 2시간정도. 충분한 시간이다) 오늘에서야 출근할 때 전철에서 남은 분량을 다 읽었다. 책 내용은 간단하다. 인터넷을 발명하고 발전시켰던 초기 개발자들이 자기네들의 권리를 미국이라는 나라에게 빼앗긴 이유, 그리고 미국이라는 나라의 통제속에서 발전하게 된 인터넷, 중국이라는 나라속에서의 또 다른 인터넷, 이베이를 통한 국가권력을 이용한 인터넷 관련 사업방식 등 여러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책을 보고 느낀 점은 아무리 세계화를 부르짖는다지만 인터넷도 국가안에 귀속되는 문화며 국경을 넘어..
-
웹 애플리케이션 전쟁 본격화 되나? (구글 기어)IT topics 2007. 6. 19. 11:15
하도 ZDNet Korea가 업데이트가 안되서 답답했는데 이번에 가보니 동작은 하더라. 그래서 못다한 기사나 칼럼등을 쭉 읽어보고 있었다. 그리고는 다음의 칼럼에 눈이 꽃혔다. 웹 애플리케이션 전쟁 본격화 되나? (ZDNet Korea) 칼럼에서는 구글 기어(Google Gear)를 차세대 웹 플랫폼의 모델로 지목을 했다. 구글 기어란 뭔가? 간단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을 통한 정보 전달은 말 그대로 웹을 통해서고 그것은 곧 온라인에서 전달됨을 의미한다. 인터넷이란 온라인에서 의미가 있다. 그런데 이 부분을 오프라인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구글 기어는 파이어폭스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플러그인 형식으로 제공되며 온라인일 때 데이터들을 웹 브라우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뒀다가 오프라인일 때 온라인떄와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