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
리눅스, 기업의 총애를 받다IT topics 2007. 12. 13. 10:10
예전에 읽은 기사(?)기는 하지만 리눅스에 관련된 내용이 있어서 잠깐 소개할려고 한다. 리눅스, 기업의 총애를 받다 (ZDNet Korea) Linux finds favour with enterprise (ZDNet.co.uk)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컴퓨터는 2가지 종류다. PC와 서버다. PC와 서버를 따로 구분한 이유는 PC는 기업의 조직원에 직접 사용하는 경우고 서버는 데이터 관리 및 기업 내부의 솔루션을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이기 때문에 구분할 필요가 있다. PC의 경우 OS는 거의 윈도로 통일되어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전세계 데스크탑 OS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윈도는 기업체에서도 표준 OS로 자리매김한지 오래다. 우분투를 앞세워 리눅스가 데스크탑 OS로 진입을 시도하기는 하지만 기업 솔..
-
대기업은 비스타로 전환해야?!IT topics 2007. 12. 10. 15:02
우리나라에서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윈도 비스타로의 전환이 이슈인듯 싶다. 대기업은 비스타로 전환해야?! (ZDNet Korea) Gartner: Large businesses shouldn't skip Vista (CNetNews.com) 미국의 많은 대기업들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윈도 XP에서 윈도 비스타로 OS를 교체하는데 주저하고 있다고 한다. 일단은 XP에서 돌아가던 많은 프로그램들이 비스타에서 제대로 안돌아가는 하위 호환성 문제때문일 것이고 다른 이유로는 윈도 비스타를 구동하기 위한 하드웨어 스팩이 XP에 비해서 턱없이 높다는 이유일 것이다. 여러 블로그를 통해서 확인했듯 MS에서 제시하는 스팩으로는 솔직히 윈도 비스타를 제대로 돌리기도 어렵다. 메모리는 최소 2GB, 적어도 4GB는 되어야 그..
-
집에 있는 PC에 윈도 Vista를 깔다.Personal story 2007. 12. 10. 10:06
어제 오랫만에 집에 있는 PC의 OS를 밀어버렸다. 윈도 XP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설치한지 한 1년정도 지난듯 싶다. 그래도 나름대로 잘 관리하고 ActiveX 설치도 상당히 신중하게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니나다를까 PC가 버벅대기 시작했다. 집에서 사용하는 PC의 경우 대부분 인터넷을 한다던지 오피스를 이용해서 문서작업, 엑셀작업 등을 한다. 내 경우에는 집에서 가끔 회사일을 본다지만 그 경우에도 원격데스크탑을 이용해서 회사에 있는 내 업무용 PC에 원격으로 붙어서 작업을 하지 집에 있는 PC에 개발환경을 설치해서 작업하지는 않는다(이전에는 그렇게 작업했다. 그런데 영 불편해서 개발환경을 지우고 원격으로 작업하겠끔 바꿨다). 많은 사람들이 집에서 PC를 이용하는 경우에 인터넷이나 문서작업 등을 많이 사용..
-
MS의 윈도, Vista보다 XP가 더 가치있는 OS? ^^IT topics 2007. 12. 5. 14:06
이제 짜증나는 정치이야기는 그만두고 재미난 소식을 하나 전할려고 한다. MS는 윈도 비스타의 해적판 비율이 윈도 XP의 절반정도의 수준이라고 3일 밝혔다고 한다. MS「비스타 해적판은 XP의 절반」 (ZDNet Korea) Microsoft: Vista piracy rate is half that of XP (CNetNews.com) 그런데 난 이 소식을 듣고 생각나는 것이 '해적질할 가치를 못느끼는 OS라서 그런가보다. 해적질할 가치는 XP가 비스타보다 많다는게 아닌가'하는 것이다. 기사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나오기도 하다. 윈도 비스타를 가끔 사용해본다. 회사에서 비스타에 대응하기 위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을 수정하는 작업을 하기 때문에 내 PC에는 비스타와 XP가 모두 설치되어 있다. 멀티부팅을 이용하여..
-
오픈 솔라리스, 강력한 성능이 오픈소스로 다가오다.IT topics 2007. 12. 4. 15:10
IBM System z에 오픈 솔라리스가 인식되었다는 소식이 들렸다. 오픈솔라리스, IBM 시스템z에 이식된다. (ZDNet Korea) OpenSolaris、IBM System zへ移植される (ZDNet Japan) 재미난 것은 CNetNews.com이 아닌 ZDNet Japan 뉴스다. 일본 뉴스를 링크걸기는 처음이다. ^^; 오픈 솔라리스가 이제는 IBM 메인 프레임에도 인식이 되는 시대가 왔다. IBM 입장에서는 리눅스, AIX와 더불어 메인 프레임용 OS가 하나 늘어난 셈이고 사용자 입장에서는 선택할 수 있는 카드가 늘어났다는데 의미가 있는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유닉스계에서 HP의 HP-UX, IBM의 AIX와 함께 썬의 솔라리스 3파전으로 시장을 지배해왔다. 썬이 강세를 이뤘던 90년대 중반..
-
내 책상 상황 및 개발환경Personal story 2007. 12. 3. 13:19
현재 일하고 있는 회사의 내 책상이다. 보면 알겠지만 널려져있는 모니터와 노트북, 오른쪽으로 책들이 쭉 있는 것을 보면 전형적인 IT 엔지니어 책상이라고 보면 된다. 현재 사용중인 PC는 3대, 노트북까지 합하면 4대가 되며 모니터는 LCD 2대로 3대의 PC를 모니터 공유기 및 터미널 서비스 등을 이용해서 운영하고 있다. 4대의 컴퓨터를 운영중이라니 뭐 할 것이 많은가보다 하겠지만 대충 살펴보면 별거 아님을 알 수 있다. 일단 내 개발용 PC가 1대 있다. 윈도 XP가 설치되어 있으며 모든 개발을 다 여기서 한다. 윈도용 프로그램 컴파일도 이 PC에서 다 한다. 서버용 프로그램 컴파일이나 윈도 어플리케이션 컴파일도 여기서 한다(Visual Studio 6와 Embeded Visual C++이 여기에 설..
-
윈도 비스타, 아직 기업에서 쓰기에는 무리?IT topics 2007. 8. 17. 12:00
MS의 윈도 비스타가 기업으로 진출할려면 좀 시일이 걸릴 듯 싶다. 아직까지 미국에서도 기업들이 비스타의 도입을 많이 꺼리고 있다는 뉴스가 들린다. 윈도우 비스타, 기업으로의 확산 속도 주춤 (ZDNet Korea) A bump on the road to Windows Vista (CNetNews.com) 기업들이 윈도 비스타 도입을 꺼리는 이유는 여러가지일 수 있다. 첫 번째는 기존에 쓰고있던 윈도 2000, 윈도 XP에 비해서 윈도 비스타로 옮겨가야 할 매리트를 못느끼고 있다는 점이다. 보안적인 부분이나 UI에 비약적인 발전이 있었지만 그런 부분을 느낄려면 먼저 PC의 사양이 기존 PC보다 높아야 하고 보안적인 부분은 분명 매리트가 있지만 윈도 비스타에서 자랑스럽게 선전하던 에어로 UI는 솔직히 기업..
-
맥 OS와 윈도우의 통계 이야기IT topics 2007. 7. 30. 21:31
웹 트래픽 조사 단체인 넷애플리케이션즈가 발표한 전세계 운영체계 점유율에 관한 통계 자료가 발표되었다. 그런데 발표 자료에 이상한 부분이 몇개 보인다는 게 재밌다. 맥 OS와 윈도우의 통계 이야기 (ZDNet Korea) Statistics, Mac OS and Windows (CNetNews.com) 일단 넷애플리케이션즈 발표 자료에 따르면 윈도 비스타의 사용률이 점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애플의 Mac OS X(OSX)는 6.35%에서 6%로 떨어진데 반해 윈도 비스타는 0%에서 4.5%로 사용률이 증가했다고 한다. 이것은 곧 비스타가 OSX의 점유율을 야금야금 잡아먹고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그에 비해서 NPD 그룹과 IDC의 견해는 달랐다. 이들 회사가 밝힌 자료를 보면 올해..
-
MS, Vista의 다음 버전인 Windows 7 개발 계획 밝혀.IT topics 2007. 7. 24. 09:24
MS가 내부적으로 차기 윈도 버전을 7이라고 불리는 Vista에 이은 다음 윈도를 3년안에 개발한다고 한다. 비스타에 이은 윈도우 차기 버전「윈도우 7」 (ZDNet Korea) Next version of Windows: Call it 7 (CNetNews.com) 정리를 좀 해보자. 뉴스에 따르면 MS는 플로리다 올란도에서 있었던 영업사원 컨퍼런스에서 윈도 7에 대한 언급을 했다고 한다. 아직 많은 정보가 풀린 것은 아니지만 MS은 현재 차기 윈도 클라이언트 버전인 윈도 7의 출시 일정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는 과정중으로 알려졌다. Vista의 경우 출시 지연을 여러번 미루면서 5년간의 개발기간 끝에 기업 버전을 작년 11월, 일반 버전을 올해 1월에 출시했다. 또한 출시까지 내부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으..
-
시장 지배적 기업으로서 MS의 이야기?IT topics 2007. 7. 16. 10:57
MS는 좋으나 싫으나 시장 지배적 기업이 되어버렸다. 그 때문인지 MS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요즘 추세다. 이래저래 독점 기업은 여러가지로 욕을 많이 먹고 있는것 같다. 그리고 요즘은 그 길을 구글이 걷고있는 듯한 모습이다. MS「오픈소스 아니라 오픈스탠더드 지향!」(ZDNet Korea) ZDNet Korea에서 한국MS에 현재 이슈들에 대해서 공개 인터뷰를 했는데 돌아온 답변은 말 그대로 원론적인 대답들 뿐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자세한 것은 위의 링크에 들어가 해당 기사를 보면 알것이다. 그래도 내 나름대로의 정리를 해볼까 한다. 얼마전에 이 블로그에도 소개했던 MS의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미국 기업의 노력에 대해서 그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고 한다. MS를 지배적 기업으로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