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
[DA-E750] 진공관을 사용한 웅장한 사운드, 원목 재질의 클래식함이 돋보이는 외관. 삼성의 무선 도킹 오디오독 DA-E750의 간단 사용기Review 2012. 8. 14. 10:58
이번에 삼성에서 출시한 무선 오디오독 제품인 DA-E750을 잠시 맛볼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집에 잘 영접해두고 들어봤다. USB(안드로이드용이나 아이폰용 모두)도 지원하고 블루투스도 지원하는데다가 WiFi도 지원하는 모델인지라 어떤 제품에서도 연결해서 들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라는 생각이 든다. 비록 일주일밖에 못써봤고 게다가 회사일로 바뻐서 제대로 들어본 것은 하루이틀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정확한 평가를 내리기는 어렵겠지만 그냥 막귀의 입장에서 이 녀석을 잠깐이나마 사용해본 느낌만 적어볼까 한다. DA-E750을 내 방에 갖다놓고 이것저것 다 연결한 후에 갤럭시 S3를 연결한 모습이다. 밑에서도 설명하겠지만 진공관 램프에 불이 들어오는 것이 인상적인 외관을 지니고 있다. 원목을 사용해서 울림판의 ..
-
인간 중심의 사용성을 내세운, 자연에 근접한 컨셉을 지닌 스마트폰, 갤럭시 S3! 과연 어떤 기능으로 우리를 즐겁게 할 것인지 살펴보면?Mobile topics 2012. 5. 4. 13:15
오늘 새벽 3시(영국 현지 시간으로 어제 저녁 7시)에 삼성모바일 언팩 2012를 통해서 갤럭시 S3가 공개되었다. 디자인부터 시작해서 대부분이 루머로 알려진 내용 그대로가 포함되었다고 보여진다. 역대 갤럭시 시리즈들 중에서 가장 많은 루머가 퍼진 모델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그만큼 갤럭시 S3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높았다는 생각이 든다. 오늘 새벽에 공개된 이후 수많은 블로거들과 언론들이 갤럭시 S3에 대한 글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나 역시 어제 2개의 포스트를 통해서 갤럭시 S3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기도 하고 말이다. 오늘은 일단 공개된 내용을 바탕으로 가볍게 갤럭시 S3가 이런 녀석이구나 하는 정도로만 스케치 하려고 한다. 자세한 내용을 쓸 날이 조만간 오지 않겠는가 기대하면서 말..
-
모바일 AP 시장에서 삼성이 독보적인 1위를 달리고 있다는 뉴스가 주는 의미는 뭘까?Mobile topics 2012. 4. 13. 08:30
재미난 뉴스를 하나 보게 되었다. 삼성이 스마트폰의 두뇌라 불리는 모바일 AP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굳히고 있다는 뉴스다. 모바일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데스크탑에서는 CPU와 같은 녀석이라고 보면 된다. 삼성이 모바일 AP 시장에서 꽤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은 개인적으로는 나름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동안 대한민국 반도체 시장에 대해서 얘기를 할 때 핵심적인 부분인 CPU 계열보다는 이른바 메모리(DRA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는 얘기를 했다. CPU는 인텔이나 AMD 등 미국 회사들이 꽉 잡고 있는 상황이었고 또 그 안에 들어가는 기술 역시 엄청나기 때문에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은 CPU 보다는 약간 낮은 메모리 분야에서 삼성이나 하이닉스 등이 강세를 보..
-
휴대폰 가격과 통신비 과다 지출 논란에서 혼자만 살겠다고 삼성전자에게만 책임을 돌리고 있는 KT. 과연 이렇게 함으로 KT는 뭘 얻을 수 있을지?Mobile topics 2012. 3. 20. 08:13
최근 공정위는 한국 스마트폰 가격이 부풀려졌다는 이유로 조사하여 이통사와 제조사들에 담합 과징금을 부가했다. 한국의 스마트폰 가격이 높은 이유는 제조사들이 높게 측정했기 때문이며 이통사들이 부풀린 가격만큼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할인혜택으로 포장했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서 소비자들은 노예약정을 걸고 부풀린 가격의 스마트폰을 2년간 쓸 수 밖에 없어서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 공정위의 조사 결과다.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텍 그리고 SKT와 KT, LG U+ 등의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내게 되었다. 물론 업체들마다 각기 금액이 다 틀리기는 하지만서도. 이에 대해서 가장 많은 과징금을 내야 하는 삼성전자는 공정위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본 뒤에 행정소송을 내겠다는 입장이고 SKT와 LG U+는 공정..
-
자사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KT. 삼성과의 갈등에 이어 이제는 애플과 구글에까지 망 사용료를 받으려고 하는데...Mobile topics 2012. 2. 28. 08:30
* 이 글을 읽기 전에.. 글을 쓰다보니 조금 감정적으로 쓰게 되었고 논리에 안맞는 부분도 있으니 감안해서 읽어주길 바람. 개인 의견일 뿐이니.. 최근에 삼성전자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 차단으로 인해 꽤 홍역을 앓았던 KT. 그런데 그 KT가 재미난 발표를 했다. 엄밀히 따지면 자충수라고 할 수 있고 제 무덤을 파고 있다는 평까지 듣고 있는 상황이다. KT는 최근 애플과 구글에게도 망 사용료를 받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해진다. KT의 망가치제고 TF팀의 수장이 한 얘기라고 하니 거의 사실로 보이는 듯 싶다. KT 망가치제고 태스크포스(TF)팀 김태환 상무는 23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데이터를 과도하게 사용해 통신망 ‘블랙아웃(서비스 중단)’을 일으킬 수 있는 서비스 사업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
-
삼성, LG, 팬텍의 LTE 스마트폰 마케팅 전략과 그 속에서 노리고 있는 업체들의 생각은 무엇일지?Mobile topics 2012. 2. 21. 09:49
최근에 LTE에 관련해서 이통사 뿐만이 아니라 제조사들도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뉴스를 통해서 나온 얘기를 보면 LTE 가입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고 늘 2등기업 식으로 밀리고 있던 LG 계열(LG전자와 LG U+)의 약진도 눈에 보이는 듯 싶다. 오늘은 LTE 마케팅을 통해서 나름대로 느껴본 각 업체들의 생각을 적어볼까 한다. 개인적이고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점을 먼저 알려드리며 이런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갖는 사람들도 많을테니 감안해서 봐주시라. 글이 좀 길어질 듯 싶어서 제조사와 이통사를 나눠서 글 2개로 썼다. ^^; 작년 7월에 SKT와 LG U+는 국내 최초로 LTE 서비스를 실시한다. KT는 WiBro로 버텨오다가 2G 서비스 종료 시점을 시작으로 올해 1월..
-
KT의 삼성 스마트TV 인터넷 접속 제한 조치. 망중립성을 무시하는, 그리고 인터넷 망을 볼모로 하는 KT의 편파적인 무리수는 과연 언제까지?IT topics 2012. 2. 14. 08:30
요즘 삼성전자와 KT가 스마트TV 때문에 싸움을 하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스마트TV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으로 인한 인터넷 망 사용료 지불을 두고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으면서 싸우고 있는 것이다. KT는 스마트TV가 인터넷 트래픽을 유발하고 있으며 컨텐츠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에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고 삼성전자는 스마트TV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일 뿐이며 삼성전자는 단말기를 판매할 뿐 내부의 컨텐츠를 통한 수익은 컨텐츠 개발자에게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망 사용료 지불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맞서고 있다. 결국 KT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을 막아버림으로 감정 싸움은 극으로 치닫고 있는 듯 싶다. KT가 주장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TV는 HD급..
-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를 한데 모아두고 보니 삼성의 스마트폰 역사가 대충 보이는 듯 싶은데..Mobile topics 2012. 2. 2. 09:27
요즘 IT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애플과 삼성의 법정공방 뉴스가 꽤 나온다. 특허에 관련된 부분도 그렇고 디자인에 관련된 부분도 그렇고 정말 많이 나온다. 어찌보면 애플과 구글의 싸움이어야 하는데 구글 대신에 삼성이 그 짐을 다 짊어지는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 얘기인 즉, 삼성이 이제는 애플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는 과거에 윈도 모바일로 PDA를 만들었을 때의 삼성이 아니라는 얘기다. 아이폰의 애플마저 두렵게 할 존재가 되었다. 물론 삼성에 대해서 적개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꽤 존재한다. 삼성 역시 마케팅에 무리수를 둬서 꽤나 안티를 많이 양산해낸 것도 사실이다. T*옴니아2 사건은 두고두고 반삼성쪽에서 회자되는 이야기며 지금까지 계속 삼성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삼성전자의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업그레이드 이슈와 맞물려 나온 보급형 스마트폰 갤럭시 M. 기대보다는 우려가 앞서는 것이 사실인데.Mobile topics 2012. 1. 5. 12:28
최근 삼성전자가 갤럭시 S와 갤럭시 탭 7인치 모델에 대한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 불가 입장 표명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불만이 꽤나 고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업그레이드를 고려했는데 결국은 못하게 되었고 대신 다른 혜택을 준다는 기사가 나왔는데 다시 삼성전자에서 그런거 고려된 적이 없다는 반박기사가 나오는 등 혼란스러운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ICS의 구동을 위해서는 필요한 최소사양이 존재하는 것은 사실이고 그 최소사양을 갤럭시 S와 갤럭시 탭 7인치 모델이 못맞춰주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는 불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삼성전자의 공식 입장임은 분명하다. 하지만 애플이 아이폰 3Gs에 iOS5를 업그레이드 할 때 Full 기능을 다 지원하는게 아니라 아이폰 3Gs에 맞게 몇개의 ..
-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의 국내 스마트폰 업그레이드 문제는 안드로이드 세계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에 그 원인이 있다.Mobile topics 2011. 12. 30. 08:30
최근 국내 제조회사들이 구글의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인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 모델 리스트들을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ICS를 업그레이드할 스마트폰 모델들을 발표했는데 삼성전자는 일전에 포스팅했던대로 갤럭시 S2,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10.1, 갤럭시 탭 8.9 LTE 등 6개의 모델에 대해서 ICS 업그레이드를 하겠다고 밝혔고 LG전자는 옵티머스 LTE, 프라다폰 3.0, 옵티머스 2X, 옵티머스 솔, 마이터치 Q, 이클립스 등을 업그레이드 한다고 밝혔다. 3분기에는 옵티머스 3D, 옵티머스 블랙, 옵티머스 빅, 옵티머스 Q2, 옵티머스 EX 등을 ICS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문제는 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