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
작년의 루나에 이어 올해 쏠을 내놓으면서 중저가 시장에서 자체 스마트폰 브랜드를 이어나가려는 SKT의 전략은?Mobile topics 2016. 1. 19. 11:24
2015년 히트폰은 애플의 아이폰6 시리즈 지난 해의 히트폰이라고 한다면 아마도 국내에서는 아이폰6와 아이폰6+를 얘기할 것이다. 아이폰6S와 아이폰6S+는 하반기에 나왔고 워낙 기존의 아이폰6와 아이폰6+의 돌풍이 세서 그런지 상대적으로 국내에서의 임팩트는 약했던거 같다(뭐 세계적으로도 아이폰6S 시리즈의 임팩트는 아이폰6 시리즈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했다는 소리를 듣는다. 3D 터치 기능이 센세이션했다고 하더라도 말이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들 중에서는 삼성의 갤럭시 S6도 갤럭시 노트 5도 나름 선전했지만 LG의 V10의 경우 기능이나 성능이 괜찮았지만 생각보다 히트를 못친듯 싶어서 아쉬웠다. 구글의 레퍼런스 스마트폰인 넥서스도 LG의 넥서스 5X와 화웨이의 넥서스 6P가 나왔지만 넥서스 5X의 경우..
-
무제한 요금제에 대한 사람들의 심리를 교묘히 이용한 이통사에 의한, 이통사를 위한, 이통사만의 LTE 무제한 요금제Mobile topics 2013. 1. 28. 08:02
LG U+가 LTE망에 대한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자마자 KT와 SKT도 이에 질세라 서둘러 무제한 요금제라는 이름으로 LTE 요금제를 내놓았다. 대부분이 월 요금이 10만원 이상급에서 적용되는 요금제고 원래 요금제에서 제공하는 허용용량 이후의 데이터 사용량에 대해서는 속도 제한을 걸어놓았기 때문에 무제한 요금제라는 말이 좀 무색하기는 하지만 어찌되었던 마케팅 용어로서 무제한 요금제라고 내놓은 것이나 다름없기에 말이다. 3G의 무제한 요금제에 진저리치고 다시는 내놓지 않겠다고 말한게 최근인거 같은데 LTE에서도 또 다시 한번 치킨게임을 하겠다고 이러고 있는 이통사를 보니 참으로 당장의 돈 앞에서는 장사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통 3사가 내놓은 이런 LTE 무제한 요금제를 잘 뜯어보면 이건 철저..
-
유심(USIM)들을 모아두니 이것도 나름 재밌네..Mobile topics 2012. 10. 1. 08:00
그냥 가벼운 이야기. 전에도 얘기했지만 이 블로그에 무거운 주제만 쓸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그냥 끄적이는 글.. ^^; 처음 휴대폰이 나왔을 때에는 USIM이라는 것이 없었다. 단말기에 직접 통화관련 개인정보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지금도 LG U+의 CDMA 2.5 Rev.A 방식에는 USIM없이 바로 휴대폰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예전에 햅틱 아몰레드가 LG U+꺼였는데 따로 USIM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찌되었던 USIM은 3G 이후부터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편할 듯 싶다. 뭐 이런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위의 USIM들은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USIM들이다. 모두 3G USIM이며 KT(SHOW)와 SKT USIM이다. 이래저래 많이도 사..
-
한국에서 아이폰5는 오로지 LTE만 가능하다? 아이폰5의 3G 가입을 받지 않겠다고 하는 이통사들의 소비자 기만행위를 어떻게..Mobile topics 2012. 9. 20. 08:00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5를 발표하고 LTE 지원국에 한국의 SKT, KT가 포함되면서 SKT와 KT가 아이폰5는 LTE로만 신규가입을 받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예전에 뉴 아이패드의 LTE 국내 지원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3G로만 지원되던 것을 염두해두고 아이폰5의 3G 개통을 먼저 하겠다고 밝힌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말을 바꾼 것이다. 이로인해 SKT와 KT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이통사라는 욕을 단단히 먹고 있는 상황이다. 뭐 LTE 지원 대상에 끼어있지 못한 LG U+는 안습인 것은 어쩔 수 없지만서도.왜 SKT와 KT는 욕을 얻어먹으면서까지 아이폰5의 LTE 개통을 추진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손해보고 있는 3G 무제한 요금제를 점차적으로 없애고 이득이 많이 남는 LTE로 이용자층..
-
자사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KT. 삼성과의 갈등에 이어 이제는 애플과 구글에까지 망 사용료를 받으려고 하는데...Mobile topics 2012. 2. 28. 08:30
* 이 글을 읽기 전에.. 글을 쓰다보니 조금 감정적으로 쓰게 되었고 논리에 안맞는 부분도 있으니 감안해서 읽어주길 바람. 개인 의견일 뿐이니.. 최근에 삼성전자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 차단으로 인해 꽤 홍역을 앓았던 KT. 그런데 그 KT가 재미난 발표를 했다. 엄밀히 따지면 자충수라고 할 수 있고 제 무덤을 파고 있다는 평까지 듣고 있는 상황이다. KT는 최근 애플과 구글에게도 망 사용료를 받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해진다. KT의 망가치제고 TF팀의 수장이 한 얘기라고 하니 거의 사실로 보이는 듯 싶다. KT 망가치제고 태스크포스(TF)팀 김태환 상무는 23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데이터를 과도하게 사용해 통신망 ‘블랙아웃(서비스 중단)’을 일으킬 수 있는 서비스 사업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
-
SKT, LG U+, KT의 LTE 마케팅 전략과 그 속에서 노리고 있는 업체들의 생각은 무엇일지?Mobile topics 2012. 2. 23. 08:30
최근에 LTE에 관련해서 이통사 뿐만이 아니라 제조사들도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뉴스를 통해서 나온 얘기를 보면 LTE 가입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고 늘 2등기업 식으로 밀리고 있던 LG 계열(LG전자와 LG U+)의 약진도 눈에 보이는 듯 싶다. 오늘은 LTE 마케팅을 통해서 나름대로 느껴본 각 업체들의 생각을 적어볼까 한다. 개인적이고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점을 먼저 알려드리며 이런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갖는 사람들도 많을테니 감안해서 봐주시라. 글이 좀 길어질 듯 싶어서 제조사와 이통사를 나눠서 글 2개로 썼다. ^^; 작년 7월에 SKT와 LG U+는 국내 최초로 LTE 서비스를 실시한다. KT는 와이브로로 버텨오다가 2G 서비스 종료 시점을 시작으로 올해 1월부..
-
LTE가 활성화되면 세상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며 어떤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Mobile topics 2012. 2. 7. 09:21
아래의 글은 작년 7월에 LTE에 대해서 쓴 글인데 원래는 기고 요청을 받아서 쓴 글이다. 그런데 계약 관계가 사라지게 되어서 죽어버리는 글이 되어버렸기에 그냥 버리기는 아깝고 내용만 살짝 수정하면 될 듯 싶어서 약간의 수정을 해서 공개한다. 작년 7월에 쓴 글임을 감안해주시길. 내용이 지금 상황과 안맞는 부분이 있지만 완전 수정하기에는 아예 새로 써야 할 상황이어서 조금만 손을 댔다. 수정한 부분은 붉은 색으로 표시되었다. 참고하시길. 스마트폰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무선인터넷 사용률 또한 엄청나게 급증하기 시작했다. 아이폰의 국내 도입으로부터 시작된 무선인터넷 사용률의 급증은 작년에 스마트폰 풍년이 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전체 휴대폰 사용자의 40%에 가까운 정도가 되었고 그로 인해 더욱 가파르게 상..
-
LTE 스마트폰의 3G 요금제 적용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당연한 권리. 단 완벽하게 구입한 LTE 스마트폰에 한해서만 허용한다는 것은 이통사의 당연한 권리.Mobile topics 2012. 1. 25. 08:30
최근에 SKT는 방통위의 권고사항을 받아들여 LTE 스마트폰에 3G USIM을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해주겠다는 발표를 했다. 즉, 국내에서 출시한 LTE 스마트폰(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옵티머스 LTE, 베가 LTE 등)과 LTE 태블릿(갤럭시 8.9 LTE)에서 3G USIM을 꽂아서 기존의 3G 요금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는 얘기다. 이는 사용자의 USIM 변경 이용 권한을 제한하는 것은 안된다는 방통위의 입장을 SKT가 받아들인 결과다. SKT는 3월 중순까지 내부 시스템 정비를 끝낸 다음에 3G USIM을 인식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발표를 했다. 하지만 3G USIM 허용에 제한을 또 같이 뒀다. LTE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는 있지만 신규가입이나 신규 기..
-
LTE! 확실히 빨라진 속도. 하지만 부족하면서도 불안정한 망 상태는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데.Mobile topics 2011. 12. 4. 09:00
TV CF를 통해서 SKT의 LTE와 LG U+의 LTE에 대한 CF들이 아주 불을 뿜고 있다. 게다가 곧 KT도 LTE 서비스를 실시하려고 하고 있으니 국내 이통3사 모두가 LTE에 목숨을 거는 진검승부를 하게 될 듯 싶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LTE에 대한 이통사들의 전쟁이 시작될 듯 싶다. 이통사들 뿐이겠는가? 삼성, LG, 팬택 등의 국내 제조사들은 물론이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들도 LTE 스마트폰에 대해서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LG의 옵티머스 LTE나 삼성의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8.9, 그리고 SKY의 베가 LTE 등 수많은 LTE 스마트폰들이 나와서 아주 장난 아니게 싸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통사와 제조사들..
-
아이폰4S 국내 전파인증 통과와 국내 출시에 대하여. 과연 올해 말, 내년 상반기에 웃을 수 있는 스마트폰은?Mobile topics 2011. 11. 1. 16:11
아무리 기대 이하로 나왔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어도 아이폰은 아이폰인듯 싶다. 이번에 아이폰4S가 국내 전파인증을 받았다는 뉴스가 나옴과 동시에 언론과 인터넷에서 과연 국내 출시일은 언제쯤일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예상외의 판매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국내에도 몇몇 사용자들이 미국에서 사서 갖고와서 직접 전파인증을 받고 개통해서 쓰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아직까지 아이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은 높고 뜨거운 편이다. 그리고 이전 포스트에서 아이폰4S에 대해서 성능상으로 그렇게 크게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썼었고 나 역시 나름 관심을 갖고 있는 폰이기도 하다(그런데 구입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이미 갖고 있는 녀석들을 처분하는 것도 문제고 말이다). 만약 구입한다면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