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
소니에릭슨에서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로 재탄생 후 첫 번째로 내놓는 스마트폰 Xperia NXT 시리즈인 Xperia S와 첫 번째 LTE폰인 Xperia ionMobile topics 2012. 1. 21. 10:45
최근 소니는 에릭슨과의 조인트 회사인 소니에릭슨의 에릭슨 주식을 100% 다 사들이고 소니에릭슨을 소니의 자회사로 만들었다. 그리고 소니에릭슨에서 에릭슨을 버리고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뭐 소니에릭슨이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이하 SMC)라고 이름만 바꾼 것과 별반 다를바가 없지만 뭐 내부적으로는 꽤나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번 CES 2012에서 SMC는 새로운 스마트폰을 선보이게 된다. SMC는 기존의 소니에릭슨 때 스마트폰 브랜드로 사용했던 Xperia를 그대로 가져갔다. 다만 똑같이 가져간 것은 아니고 NXT(아마도 Next의 약자가 아닐까 싶다 NXT는 Next Generation Smartphone의 약자란다. 너무 직설적인 네이밍이기..
-
HD 해상도에 어울리는 것은 역시 LTE, 하지만 망 안정화와 요금제라는 약점이 문제인데..Mobile topics 2011. 12. 21. 20:15
최근들어 이통사들이 열심히 밀고 있는 방식은 다름아닌 LTE다. 계속 4G, 4G를 외치고 있기는 한데 그 4G라는 것이 LTE며 SKT, LG U+는 이미 서비스를 시작했고 KT는 LTE 사업을 위해 2G 서비스를 욕을 먹어가면서까지 어떻게든 끝내려고 하고 있다. 그만큼 LTE는 이통사 입장에서 봤을 때에는 새로운 수익모델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듯 싶다. 이통사들 뿐만이 아니다. 삼성이나 LG, 펜택과 같은 제조사들도 LTE를 지원하는 LTE 스마트폰들을 대거 내놓기 시작했다. 갤럭시 S2 LTE, HD LTE를 비롯해서 옵티머스 LTE, 베가 LTE와 같은 스마트폰 계열의 LTE 제품들과 갤럭시 노트와 같은 태블릿폰 계열의 LTE 제품에 갤럭시 탭 8.9 LTE와 같은 태블릿에도 LTE 제품들이 나오고..
-
4인치급의 Full HD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그런데 해상도와 화면 크기 사이에는 어느정도 적당한 기준이 있지 않을까?Mobile topics 2011. 12. 6. 08:30
요즘들어 최신 스마트폰들의 기준이 되어버린 것이 다름아닌 Full HD 지원이 아닐까 싶다. 예전에 LG가 열심히 네거티브 논란을 일으켰던 IPS True HD와 슈퍼 아몰레드 HD의 차이점도 그렇고 Full HD 지원에 선명한 화질 등이 최신 스마트폰의 하나의 기준이 되어버린 듯한 느낌이다. 특히 LTE로 넘어오면서 LTE의 빠른 속도로 Full HD급 동영상을 스트리밍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떠오르면서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지는 듯 싶다. 현재 이른바 Full HD급 해상도를 지원하는 스마트폰은 갤럭시 S2 HD LTE(갤럭시 S2 LTE는 아니다), 옵티머스 LTE, 갤럭시 넥서스(얘는 3G 모델임 ^^), 갤럭시 노트 등이며 얘네들이 지원하는 해상도는 다름아닌 1280 x 720이다. 어지..
-
LTE 스마트폰의 조루 배터리 문제. 현재의 LTE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는 현실인데...Mobile topics 2011. 12. 5. 08:30
개인적으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빠른속도와 높은 성능으로 나름 만족하면서 잘 쓰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어찌되었던간에 최신 사양으로 LTE 스마트폰들이 나오고 있으니, 게다가 인터넷 속도도 빠르니 당연한 생각일지도 모르겠다(물론 개인적은 생각이지만). 하지만 쓰면서 아쉬운 부분도 많이 보이는 것이 사실이니 오늘은 그 아쉬운 부분 중 하나를 조금 가볍게 써볼까 한다. LTE 스마트폰 이야기를 하면서 가장 많이 나오는 얘기가 다름아닌 배터리 소모율이 무진장 빠르다는, 이른바 조루 배터리 문제가 아닐까 싶다. 나 역시 LTE 스마트폰을 사용하면서 좀 심각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다름아닌 배터리 문제였고 어쩔 수 없이 보조 배터리나 이동식 충전기를 들고 다니는 상황이니 말이다. 그렇다면 왜 이런 조루 배터리..
-
LTE! 확실히 빨라진 속도. 하지만 부족하면서도 불안정한 망 상태는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데.Mobile topics 2011. 12. 4. 09:00
TV CF를 통해서 SKT의 LTE와 LG U+의 LTE에 대한 CF들이 아주 불을 뿜고 있다. 게다가 곧 KT도 LTE 서비스를 실시하려고 하고 있으니 국내 이통3사 모두가 LTE에 목숨을 거는 진검승부를 하게 될 듯 싶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LTE에 대한 이통사들의 전쟁이 시작될 듯 싶다. 이통사들 뿐이겠는가? 삼성, LG, 팬택 등의 국내 제조사들은 물론이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들도 LTE 스마트폰에 대해서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LG의 옵티머스 LTE나 삼성의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8.9, 그리고 SKY의 베가 LTE 등 수많은 LTE 스마트폰들이 나와서 아주 장난 아니게 싸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통사와 제조사들..
-
[Motorola RAZR] 시원시원한 남성적인 디자인이 매력적인 모토롤라 제품들 중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RAZRReview 2011. 12. 2. 15:28
개인적으로 모토롤라 스마트폰을 계속 써왔다. 한국 최초로 출시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인 모토로이부터 시작해서 미국에서 선풍적으로 인기를 끌었던 드로이드의 국내버전인 모토쿼티(개인적으로 출시시기가 무척이나 아쉬웠던 녀석이다), 그리고 생활방수기능이 매력적이었던 디파이까지 쭉 사용해왔다. 모토롤라의 스마트폰들은 미국에서는 나름 인기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국내에서는 삼성이나 LG, 팬택과 같은 국내 제조사들, 그리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의 제품에 상대적으로 밀리는 감이 없잖아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모토롤라의 명성에는 걸맞지 않게 말이다. 뭔가 2% 부족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최근에 출시한 모토롤라의 최신 스마트폰인 레이져(RAZR)를 보게 되었다. 국내에는 모토롤라 레이져로 ..
-
갤럭시 노트, 갤럭시 넥서스, 그리고 갤럭시 탭 8.9! 각기 다른 3가지 색을 지닌 모바일 디바이스의 미래는?Mobile topics 2011. 11. 29. 08:30
어제(11월 28일) 삼성전자는 3가지의 갤럭시 시리즈에 대한 미디어데이를 실시했다. 갤럭시 노트, 갤럭시 넥서스, 그리고 갤럭시 탭 8.9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미디어데이는 공개적으로 진행되었고 미디어데이에 관련된 포스트들은 많은 블로거들이 써줬기 때문에 미디어데이에 대한 이야기는 별로 할 생각은 없다. 다만 이번에 공개된 이 3가지의 갤럭시 시리즈들이 국내에 미칠 영향이나 향후 이 제품들에 대한 미래가 어떨지에 대해서 좀 생각을 해볼까 싶다. 이번에 미디어데이 때 발표된 갤럭시 시리즈들은 각기 다른 카테고리의 제품들로 구성되어있다. 갤럭시 넥서스는 아시다시피 구글의 레퍼런스 스마트폰인 넥서스 시리즈의 최신 제품으로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센드위치가 탑재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며 갤럭시 탭 ..
-
[갤럭시 S2 LTE] 1080p Full HD급 동영상 촬영을 통해서 개인 영상을 찍어서 활용해 본다면?Review 2011. 11. 16. 08:30
갤럭시 S2 LTE는 LTE의 빠른 속도와 함께 하드웨어 자체로도 최상급에 속한다. 즉, LTE라는 통신망에 대한 어드벤티지 이외에도 스마트폰 자체의 기능도 꽤 좋다는 얘기다. 난 그 중에서 동영상 촬영기능에 대해서 나름 만족하고 있다. 특히 1080p Full HD급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있어서 꽤 괜찮은 품질의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괜찮게 생각한다. 오늘은 갤럭시 S2 LTE의 동영상 촬영 기능에 대해서 좀 살펴볼까 한다. 한번 카페에서 스마트워킹(?)을 하는 중에 주변을 좀 찍어봤다. 1080p Full HD 동영상 촬영모드로 찍었다. 갤럭시 S2 LTE는 기존의 갤럭시 S2때도 그랬지만 동영상 촬영때에는 줌 기능이 먹히지 않는다. 그게 참 아쉬운 점인데 줌 기능만 잘 지원이 되었다며..
-
[갤럭시 S2 LTE] 언제 어디서든지 HD급 동영상을 쾌적하게 볼 수 있다면..Review 2011. 11. 9. 08:30
보통 스마트폰으로 유튜브나 다른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서 HD급 인터넷 동영상을 볼 때 문제는 3G 망 상태가 괜찮을 때는 버퍼링으로 인해 조금씩 지연되어도 그런대로 봐줄만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자주 버퍼링이 일어나서 보기가 어려울 정도라는 것이다. 뭐 인내력을 갖고 본다면 즐길 수 있겠지만 성질이 급한 사람은 자주 일어나는 버퍼링 때문에 스마트폰을 집어던질지도 모를 일이다. WiFi가 잡히는 지역이라면 괜찮지만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사람을 기다릴 때 동영상을 감상하려다가 오히려 자기가 스스로 열폭하는 경우도 있다. 왜? 답답해서. 오늘은 3G에서의 이런 답답함을 LTE에서는 어느정도 해결해줄 수 있을지를 한번 살펴볼까 한다. 기본적으로 LTE의 속도가 3G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은 알고 있고 또 갤..
-
아이폰4S 국내 전파인증 통과와 국내 출시에 대하여. 과연 올해 말, 내년 상반기에 웃을 수 있는 스마트폰은?Mobile topics 2011. 11. 1. 16:11
아무리 기대 이하로 나왔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어도 아이폰은 아이폰인듯 싶다. 이번에 아이폰4S가 국내 전파인증을 받았다는 뉴스가 나옴과 동시에 언론과 인터넷에서 과연 국내 출시일은 언제쯤일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예상외의 판매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국내에도 몇몇 사용자들이 미국에서 사서 갖고와서 직접 전파인증을 받고 개통해서 쓰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아직까지 아이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은 높고 뜨거운 편이다. 그리고 이전 포스트에서 아이폰4S에 대해서 성능상으로 그렇게 크게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썼었고 나 역시 나름 관심을 갖고 있는 폰이기도 하다(그런데 구입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이미 갖고 있는 녀석들을 처분하는 것도 문제고 말이다). 만약 구입한다면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