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
-
승승장구하던 구글, EU에 반독점법으로 철퇴맞을 위기에 놓였다는데...IT topics 2009. 5. 19. 11:47
구글의 행보를 보면 과거 MS가 하던 패턴을 많이 쫓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절대적인 점유율을 기반으로 여러 서비스들을 연계하고 수익모델을 만들어내는 것들은 예전에 MS가 했던 사업패턴과 흡사하다. 그런 이유에서일까? 반독점법에 심사받는 것도 MS의 전력을 그대로 쫓아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구글은 구글맵스의 발전형 서비스인 스트리트뷰 서비스를 내놓는다. 하지만 이 서비스는 곧 사생활 침해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 카메라가 달린 자동자가 지나가면서 주변을 쭉 찍는 동안에 공개를 원치 않은 사람들의 생활들이 드러나기 때문이었다. 충분히 일리있는 이유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꽤나 구글에게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다고 한다. 여기에 EU가 구글을 대상으로 반독점법 적용을 검토중이라고 알려지면서 잘나가던 구글의 앞..
-
점유율을 끌어올리자. TV CF를 시작한 구글 크롬...IT topics 2009. 5. 10. 15:41
어지간해서는 자사 제품의 메스미디어 광고를 잘 안하는 구글이 정말로 크롬의 확산을 원했던거 같다. 구글의 웹브라우저인 크롬의 성장이 생각처럼 많지 않아서 그런지는 몰라도 구글 저펜(Google Japan)팀에서 약 30여초정도 되는 분량의 구글 크롬 광고를 선보였다. 주제는 깔끔하면서도 심플하다는 것이다. 화면 여기저기에 널려있는 여러 잡다한 것들을 블럭깨기 게임처럼 크롬 마크가 다 지워버리고 깨끗한 상태로 웹브라우징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을 이 TV CF를 통해서 보여줄려고 노력하고 있다. 통계사이트인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를 보면 1등은 여전히 MS의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차지하고 있고 그 뒤로 모질라재단의 파이어폭스(FF), 애플의 사파리, 그리고 구글의 크롬이 차지하고 있다. 구글 크롬이 차지..
-
과연 구글이 네이트, 파란, 야후를 제치고 국내 3위의 검색엔진이 될 수 있을까?IT topics 2009. 4. 24. 08:45
구글이 과연 한국에서 네이버, 다음에 이어 제 3의 검색엔진이 될 수 있을까? 22일에 구글코리아는 상반기 성과를 발표하는 자리에서 구글 사용자가 한국 내에서 급격하게 늘고 있다고 말하며 전년도 대비 47%(업계 평균은 16%)나 성장했다고 말했다. 또한 구글지도와 iGoogle의 사용률이 계속 증가하고 있어서 조만간 네이버, 다음에 이은 업계 3위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현재 이 업계 3위를 네이트, 야후, 파란이 치열하게 다투고 있는데 이들을 직접적으로 겨냥한 내용이다. 그만큼 구글의 한국 내에서의 위상이 많이 높아졌다는 얘기일 것이다. 이날 성과발표회에서는 유튜브 사건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고 구글코리아는 유튜브는 법 적용대상이 더이상 아니라는 것으로 그 부분에 대해서는 마무리지을려고 ..
-
미국 스마트폰 웹트래픽의 50%를 책임지고 있는 아이폰Mobile topics 2009. 3. 26. 14:18
미국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웹서비스 이용의 50%는 아이폰이 책임지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미국의 광고통계회사인 AdMob Mobile Mertics 리포트에 따르면 미국에서 소비되는 모바일 웹트래픽의 50%는 아이폰을 통한 웹서핑이라고 한다. 또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탑재한 구글 폰을 통한 웹서핑이 벌써 5%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아이폰과 구글 폰은 아직까지는 거의 단일 모델이라고 봐야 할 듯 싶다. 아이폰은 2G, 3G 모델을 다 합한 것이고 구글 폰은 HTC의 터치 드림(G1)만을 체크한 것이다. 위의 통계만 봐도 미국내에서 아이폰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이 얼마나 많은지 알 수 있다. 확실히 아이폰에 있는 사파리 모바일 웹브라우저의 성능이 뛰어나다는 얘기도 된다. 구글 폰에 있는 크롬 라이트 웹브..
-
조금씩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 올해에는 얼마나 더 성장할까?Mobile topics 2009. 3. 13. 10:59
가트너에서 재미난 보고서를 하나 냈다.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이 2007년도 4분기에 비해 2008년도 4분기에 3.7% 성장했다는 내용이다. 모바일 시장은 13.9%가 성장했다고 한다. 내용을 얼추 정리해보자면 노키아가 여전히 스마트폰에서, 그리고 피쳐폰(노말폰)에서 No.1을 고수하고 있지만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고 RIM과 애플, HTC, 삼성 등의 회사들이 점점 성장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일단 스마트폰의 점유율 변화를 살펴보자. 위의 표는 2007년 4분기와 2008년 4분기의 비교자료다. 2007년에 51%나 차지했던 노키아가 2008년 4분기에는 41%로 점유율은 10%나 줄어들었으며 매출액은 17%나 줄었다. 하지만 블랙베리의 RIM은 11%에서 19%로 8%의 성장과 매출액은 85% 성장을..
-
구글 폰, 조만간 아이폰을 따라 잡을 것이라는 데~Mobile topics 2009. 3. 12. 13:03
하루가 다르게 모바일 세계는 성장해간다. 물론 여기에는 애플의 아이폰이 가져다 준 스마트폰 효과가 꽤 크다. 아이폰의 성장은 구글로 하여금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런칭하게 만들고 MS가 윈도 모바일 7(그 전에 6.5가 나왔지만)을 조기에 출시하도록 자극을 줬으며(윈도 임베디드 로드맵 안에 있었다고는 하나 예상컨데 어느 정도는 앞당겨졌으리라 본다 ^^) 스마트폰 뿐만 아니라 일반 피쳐폰(노멀폰)에도 갖가지 아이폰에서 사용하는 효과들을 흉내내도록 만들었다. 그만큼 모바일 시장에서 아이폰이 차지하는 비중은 현재로서는 상당히 크다. 그런데 조만간(2012년 정도) 구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탑재한 구글 폰이 애플의 아이폰을 따라 잡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한다. 실리콘닷컴의 기사에서 시장 조사업체인 인포마 텔레..
-
2008년도의 구글, 미국 검색시장에서 폭식을 하다...IT topics 2009. 1. 30. 10:31
미국 검색시장에서 구글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마어마하다는 것은 이미 여러 언론이나 블로고스피어를 통해서 드러난 사실이다. 또한 여러 통계자료들을 통해서도 이러한 사실들이 입증되고 있다. 그리고 구글은 지금도 계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Gobble Up이라는 표현을 써가면서까지도 말이다. 정말로 미국의 검색쿼리 점유율에서 무지막지하게 잡아먹으면서 엄청나게 성장중인 구글 검색엔진은 2008년 90% 성장이라는 엄청난 성장을 달성했다고 comScore 조사결과에 나타났다. 2008년 1월에 구글은 미국 검색시장의 58.5%를 차지했는데 12월에는 무려 63.5%를 차지했다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작년에 전체 검색시장의 성장률에 있어서 구글이 차지한 비율이 90%라는 것이다. 미국의 검색시장도..
-
페이스북, 과연 미국에서도 마이스페이스를 제칠 수 있을까?IT topics 2009. 1. 13. 20:28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 이들 두 서비스는 전세계를 양분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다. 마이스페이스가 먼저 시작했고 먼저 뜨기 시작했지만 페이스북의 엄청난 추격에 결국 전세계 SNS 시장 1위 자리를 작년에 내주고야 말았다. 그리고는 마이스페이스는 정체, 페이스북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그 격차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의 관계지만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에 앞서있는 상태다. 즉, 페이스북이 글로벌하게는 마이스페이스를 이겼을지 몰라도 적어도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의 안방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얘기다. 물론 페이스북의 추격도 엄청나지만 말이다. 그런데 조만간 이러한 마이스페이스의 1등 행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페이스북의 미국..
-
과거의 영광은 어디로? 흔들리고 있는 MS의 위상...IT topics 2008. 12. 2. 10:26
MS의 위상이 점점 하락하고 있는거 같다. OS에서 웹브라우저에서, 그리고 검색엔진에서 조금씩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는 얘기다. 솔직히 검색엔진 분야에서 MS는 명함도 못내미는 형편이지만 윈도로 대변하는 MS의 OS 점유율과 웹브라우저 IE의 점유율 하락은 분명 MS 입장에서는 뼈아플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를 바탕으로 어떻게 MS의 위상이 하락하는지 살펴보자. 윈도 점유율, 드디어 90% 밑으로... 그래프 상으로 윈도는 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옆의 범주를 보면 89.62%로 90% 밑으로 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동안 꾸준히 적어도 90% 이상을 차지해왔었는데(10월달까지만 하더라도 90.46%였다) 11월에는 결국 90% 밑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뭐 그래..
-
구글, 크롬을 재정비하여 다시 웹브라우저 시장에 선전포고하다!IT topics 2008. 11. 24. 17:33
구글 크롬이 과연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다시한번 바람몰이를 할 수 있을까? 구글 크롬이 처음 선을 보일때만 하더라도 구글의 막강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바 스크립트 엔진이 획기적으로 달라졌다는 이유로 출시 하루만에 넷어플리케이션즈의 웹브라우저 점유율 통계 1%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하지만 그 이후로 점점 점유율이 떨어지기 시작하더니 지금은 0.7%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는 오페라 정도의 점유율에 속한다. 많은 사람들이 크롬에 대해서 기대를 하고 써보기도 했지만 여전히 많은 버그에 다시 IE나 FF로 돌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구글이 크롬에 대한 승부수를 다시 띄웠다는 뉴스가 들어왔다. 새 PC에 크롬을 무료로 설치해주고 내년 상반기에 크롬 리눅스 버전과 맥 버전을 출시하며 PC에 설치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