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
[Xperia Arc] 멋진 디자인과 깔끔한 영상, 야경에 강한 카메라까지! 매력덩어리 아크Review 2011. 5. 3. 09:00
이번에 소니에릭슨에서 나온 엑스페리아 아크(arc)는 멋드러진 디자인과 함께 뛰어난 영상재생능력, 그리고 Exmor R Mobile 센서 탑재로 어두운 곳에서도 뛰어난 사진을 찍을 수 있다는 장점이 돋보이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이다. 뭐 성능 자체는 1GHz 스냅드레곤 칩셋을 사용했지만 소니만의 디자인 감각으로 나름대로의 틈새시장(?)을 잘 노린 제품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크의 가장 큰 장점은 역시나 디자인이 아닐까. 국내에서 나온 가장 얇은(갤럭시 S2의 경우 국내 버전은 아쉽게도 두께가 좀 두꺼워졌다. 하기사 그게 큰 문제는 안되지만 말이지) 스마트폰인 아크는 뒷면의 아치모양의 곡선이 매력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색상은 검정색과 은색, 2가지지만 내가 봤을 때 은색이 훨씬 더 멋드러진 듯 싶다..
-
[Atrix] 듀얼코어의 위력을 잘 보여주는 구글 스텐다드 스마트폰, 아트릭스Review 2011. 5. 2. 08:30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신개념 N스크린 지원 듀얼코어 스마트폰(이라고 나름 생각해봤다)인 아트릭스(Atrix)를 보면 여러가지 생각을 갖게 만든다. 국내에서 최초로 출시된 듀얼코어 스마트폰은 아니지만(이미 LG의 옵티머스 2X가 국내 최초의 듀얼코어 스마트폰으로 등록되었다나 뭐라나) 외산 스마트폰들 중에서는 최초이기에 그런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 뿐만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독(Dock)이나 랩독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서 그 사용성 및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높은 점수를 주는 스마트폰이 바로 아트릭스라는 생각이 든다. 뭐 오늘은 아트릭스 폰 자체에 대한 가벼운 감상을 적어볼까 한다. 성능이 어떻고 밴치마킹 점수가 어떻고 하는 얘기는 이제는 좀 식상해져서 그냥..
-
왜 애플과 구글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려는 것일까?Mobile topics 2011. 4. 25. 08:04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쭉 저장해왔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위치정보, 엄밀히 따지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이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듯 보인다. 애플뿐만이 아니라 구글 역시 안드로이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사용자들의 위치정보가 전송되고 있다는 내용도 밝혀지면서 아이폰, 안드로이드가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위치정보 저장에 대한 이슈로 번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MS의 윈도 폰 7이나 노키아의 심비안은 어떨련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하튼간에 이런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가 폰에 비밀스럽게 저장이 되던지, 아니면 클라우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전송이 되던지 하는 일련의 모습들은 그동안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통해서 뭔가 이득이 될만한 것들을 이끌어내려고 하는 수십년간의 행위가 지금도 여전히 이어져..
-
5인치의 시원한 화면을 보여주는 안드로이드계의 아이팟 터치. 갤럭시 플레이어Mobile topics 2011. 4. 10. 09:00
이번에 갤럭시 플레이어 5인치가 출시되었는데 그동안 인터넷을 통해서만 보다가 8일에 공개된 딜라이트 샵에서 실물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짧은 시간동안만 볼 수 있었는데 간단하게나마 소감 아닌 소감을 적어볼까 한다. 일단 첫 느낌은 화면이 크다보니(5인치) 시원시원하다는 것이다. 해상도는 WVGA(800 x 480)인지라 갤럭시S와 똑같지만 받아들여지는 느낌이 크다보니 어르신들이 쓰기에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구성은 갤럭시S와 같다. 전화기능만 빠진 갤럭시S라고 보면 될 듯 싶다. 마치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의 관계라고나 할까(실제로 그런 컨셉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드로이드계의 아이팟 터치라는 생각이 든다. 일단 스마트폰이 아닌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3G 연결 기능은 없고 WiFi만 지원된..
-
노키아와 MS가 바라는 미래. 하지만 그렇게 장미빛은 아닌데 말이지...Mobile topics 2011. 3. 16. 11:48
이번에 노키아는 MS와 협상을 하면서 윈도 폰 7을 주력 스마트폰 플랫폼으로 밀어주기로 했다. 그동안 노키아의 주력 스마트폰 플랫폼은 심비안이었고 외부에서도 '노키아 = 심비안'이라는 공식이 계속 인정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는 그런 공식을 깨져버렸다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생각인 듯 싶다. 노키아의 경우 당장에 심비안을 버리는 것은 아니겠지만 주력에서 밀려난 심비안이 과연 자생력을 갖고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에서 살아남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노키아가 버린 심비안은 결국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에서 점점 밀려나서 정말로 아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왜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는 이 글을 읽어본 후라면 이해할 수 있을 듯 싶다. 좀 ..
-
아이폰 도입으로 늦었지만 힘있는 반격을 시작한 SKT, 현재보다는 미래를 노리는데!Mobile topics 2011. 3. 9. 11:50
이번에 SKT에서 드디어(!) 애플의 아이폰을 도입하기로 하고 9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한다고 한다. 그동안 안드로이드에 집중한 모습을 보여준 SKT 입장에서는 아이폰을 도입함으로 적어도 국내에서 잘나간다는 스마트폰 제품군은 다 갖추게 되었다. 기존의 갤럭시 S를 필두로 하는 디자이어, 엑스페리아 X10, 디파이, 옵티머스 Z 등의 프리미엄 급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품과 함께 아이폰을 추가함으로 기존의 막강한 3G 인프라에 고객을 더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을 하나 더 추가했다는 의미가 강하다.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기로 SKT가 어쩔 수 없이, 사용자들의 여론에 밀려서 아이폰을 도입한다고 얘기한다. 겉에서 볼 때는 그렇게 보이는 것이 맞기도 하다. 나 역시 SKT 직원도 아니고 그렇다고 애플 직원도 아니기에..
-
드디어 안드로이드 2.3 진져브래드로 업그레이드 된 내 넥서스 원!Mobile topics 2011. 3. 8. 11:58
일전에 넥서스 S를 만져보면서 안드로이드 2.3 진져브래드에 대해서 살짝 살펴봤을 때 들었던 느낌은 많이 이뻐졌구나 하는 부분이었다. 빠르기도 했고. 안드로이드 2.3 진져브래드 구글 원본판이다보니 최적화 부분은 말할 것도 없었다. 빠르고 이쁘고. 그래서 넥서스 S가 부럽기도 했다. 그리고 기다렸다. 넥서스 원의 진져브래드 업그레이드를. 며칠전에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떴을 때 얼마나 설래였는지. 결론은 프로요 마이너 업그레이드였지만. 그런데 이번에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떴기에 혹시나 싶어서 살펴봤더니 오홍~ 드디어 내 넥서스 원에 안드로이드 2.3 진져브래드 업그레이드가 떴다. 냅따 다운로드를 시작했다. 'Nexus One update to Gingerbread'라는 문구가 선명하게 보이며 왜 이리도 맘이 ..
-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탄생한 아이덴티티 탭, 아이덴티티 크론Review 2011. 3. 4. 08:30
아이덴티티 탭을 아는가? 아마 국내 최초의 7인치 안드로이드 타블릿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갤럭시 탭보다 더 먼저 나왔고 KT에서 와이브로 애그와 함께 전략적으로 밀어줄려고 했던 제품이다(그런데 결국 그렇게 되지 못했고 저 멀리 역사의 뒤안길로 가버린 제품이기도 하다). 아이덴티티 탭은 태생적으로 여러가지 한계를 갖고 있었던 제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투박한 디자인에 사양 역시 훌륭하지 못했고 7인치임에도 불구하고 갤럭시 탭처럼 1024 x 600의 XGA가 아닌 800 x 480, 즉 WVGA를 지원하는 이래저래 사생아와 같은 느낌이 드는 제품이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참패를 당했다. 이런 아이덴티티 탭이 다시 새로운 디자인과 사양을 갖고 재탄생했다. 이번에 엔스퍼트에서 내놓은 아이덴티티 탭 크..
-
루머를 통해서 살펴보는 아이폰 4의 후속모델, 아이폰 5. 과연 어떤 모습일까?Mobile topics 2011. 2. 22. 08:00
아이폰 4의 다음 모델이라고 알려지고 있는 아이폰 5에 대한 루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보통 아이폰에 대한 루머는 4~5월쯤에 나오는데 그 이유가 7월쯤에 발표해서 9~10월쯤에 출시하는 그동안의 아이폰 발표, 출시 스케쥴이 반복되어서였다. 그런데 아직 2월 중순임에도 불구하고 벌써 아이폰 5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데 그 이유가 아이폰 4에 대한 실망감이 생각보다 크다는 이유일 듯 싶다. 아이폰 4의 후속모델이 아이폰 5가 될지, 아니면 아이폰 3G에서 아이폰 3Gs로 넘어갔듯 아이폰 4s가 될지는 모른다. 왠지 내 생각에 아이폰 5보다는 아이폰 4에 뭔가가 붙어서 나오는(예를 들면 아이폰 4s, 아니면 LTE 지원으로 아이폰 4G라고 붙을 수도 있고) 형식이 되지 않을까 싶다. 뭐 어찌되었든 언..
-
플랫폼의 안정성을 위해 C#.NET을 선택한 윈도 폰 7. 그런데 그게 발목을 잡는다면?Mobile topics 2011. 2. 18. 13:13
* 이 글은 개발자 입장에서 쓴 개인적인 의견임을 먼저 밝혀둔다. 회사에서 야근하는 중에 잠깐 같은 부서의 다른 팀장과 얘기를 나누던 중에 이런 얘기가 나왔다. 개발자 입장에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는 소스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데 윈도 폰 7의 경우에는 완전히 새로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것. 아이폰의 경우 Ansi C/C++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UI 부분만 Objective C를 이용하면 된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Java 기반이라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코어 부분은 NDK라고 하는 툴(방법? -.-)을 이용하여 Ansi C/C++을 사용한다. 그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아직까지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퍼포먼스를 생각 안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의 코드는 서로 공유할 수 있어서 이식성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