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
이제는 제대로 논의해야 할 시기가 온 IoT 해킹에 대하여..Security 2015. 6. 12. 17:36
최근들어 해킹에 대한 피해사례들이 언론을 통해서 많이 공개되면서 해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만큼 경각심도 많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실제로 해킹은 수년 전부터 이뤄져 왔는데 해킹의 범위가 넓어지고 피해가 커지면서, 또한 그 피해가 기업 뿐 만이 아니라 개인으로 확산되면서 더 많은 주목을 받는 듯 싶다. 최근에 얘기가 나오고 있는 해킹은 주로 어떤 부분에서 이뤄지는 것일까? 일반적으로 해킹은 자신의 단말기(PC가 되었던 스마트폰이 되었던, 혹은 그 외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IoT 단말기가 되었건 간에)에 저장된 정보를 정당한 방법이 아닌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접근하여 가져가는 행위를 말한다.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가져간 정보들은 대부분이 민감한 개인정보들이며 그것들을 악용하여 해커들은 금전적인 이득..
-
캠핑과 어울리는 아웃도어용 스피커, 소니 SRS-X11 & SRS-BTV5 스피커 사용기Mobile topics 2015. 6. 5. 12:22
뭐 이전에 글램핑 사고 관련 뉴스가 터진 다음부터는 캠핑에 대한 관심이 이전만큼은 아니라고는 하지만 그래도 최근 캠핑을 가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듯 싶다. 나 역시 원래 캠핑에 관심이 많기도 했지만 최근에 아이들을 데리고 캠핑을 갔다오니 애들의 반응이 괜찮아서 기회가 되면 또 캠핑을 가려고 생각하고 있기도 하고 말이지. 그러다보니 아웃도어 관련된 상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전자기기들 중에서도 캠핑에 어울릴만한 제품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전에 얘기했던 소니의 블루투스 스피커들도 캠핑갈 때 사용하면 꽤 괜찮은 반응을 얻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도 하고 말이지. 오늘 얘기하려는 것도 소니의 블루투스 스피커 이야기인데 캠핑갔을 때 사용했던 스피커 이야기를 해볼려고 한다. 이번에 ..
-
[Prezi] 이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프레지를 사용할 수 있다능Review 2015. 3. 6. 08:00
프레지(Prezi)라고 들어봤는가? 저명한 연사들의 강의를 들을 수 있는 테드(Ted)에서 사용되어져서 유명해진 프리젠테이션 도구다. 보통 우리가 프리젠테이션 도구라고 얘기한다면 MS의 Office에 있는 프리젠테이션 툴인 파워포인트와 애플의 OS X용 iWorks의 프리젠테이션 툴인 키노트를 얘기할 것이다. 둘 다 멋진 프리젠테이션 툴임은 분명하지만 웹상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기반 오픈소스 프리젠테이션 도구라면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프레지를 얘기할 것이다. 많이 알려져있지는 않다고 하지만 그래도 아는 사람들, 특히나 감성적인, 스토리라인이 살아있는 프리젠테이션을 하려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꽤 유명한 프리젠테이션 도구가 프레지라는 얘기다. 이 프레지가 안드로이드용 앱으로 나왔다고 해서 한번 살펴봤다..
-
커지는 스마트폰과 작아지는 태블릿PC, 그리고 축소되어가고 있는 태블릿PC 시장Mobile topics 2015. 2. 4. 09:27
그동안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은 스마트폰이 주도하고 태블릿PC가 뒤따라오는 방식으로 시장이 커져왔다.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IoT 디바이스들이 등장했기 때문에 스마트 디바이스의 카테고리가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뿐만이 아니라 스마트워치, 스마트밴드 등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까지 확장되었지만 여전히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의 주축은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 이런 시장의 동향은 2015년도 마찬가지가 되지 않을까 싶다. 점점 커지고 있는 스마트폰의 크기 대략 2년전부터라고 생각이 든다. 스마트 디바이스 시장의 2개의 축인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크기가 점점 비슷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예전의 스마트폰은 대부분 4인치급이었고 일부 프리미엄 모델들, 그리고 패블릿폰이라 불리는 몇몇 스마트폰 ..
-
현재의 폭발적인 성장과 미래의 한계가 분명한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샤오미 이야기Mobile topics 2015. 1. 23. 09:32
며칠 전 지인들과 가볍게 저녁식사(가볍게? ^^)를 하면서 나눴던 이야기들이 좀 있었다. 다들 보안업계에 있는 사람들이고 회사의 운영 이야기와 기업과 국가간의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이야기가 모바일 시장쪽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러면서 나온 이야기가 모바일 시장에서 최근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샤오미의 이야기다. 애플과 삼성의 양강구도에 갑자기 끼어들어서 시장을 휘젓고 있는 샤오미의 이야기를 나름 재미나게 나눴다. 참고로 밑에서 서술할 내용들은 대부분 현장에서 봐온 모습과 다양한 언론에서 얻은 지식 등 경험에서 나온 인사이트를 기준으로 헀기 때문에 출처가 좀 불분명하니 그냥 가능성 높은 소설 정도로 봐주면 좋을 듯 싶다. 모바일 시장에서,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의 선전이 뜨겁다. 앞서 얘기헀던 것처럼..
-
지금의 IT 문화, 아니 현대 사회의 문화를 있게 만든 애플의 제품들. 아이폰, 아이패드, 그리고 맥북 에어IT History 2015. 1. 14. 08:00
지금의 우리들의 삶 안에서 스마트폰을 뺀다면 과연 어떤 상황이 벌어질까? 과거 5~6년전에는 이정도는 아니었는데 했을지도 모를 엄청난 상황이 벌어질 듯 싶다. 지금 우리네 세계에서 스마트폰은 단순한 전화기 이상의 생활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흔히들 얘기하는 중독이라는 말이 어울릴 정도로 없으면 소요사태까지 일어날 정도로(물론 이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생활 깊숙히 자리잡고 있는 것이 스마트폰의 현 주소라고 보여진다. 개인적으로 애플이라는 기업에 대해서, 그리고 고인이 된 스티브 잡스라는 인물에 대해서 무척이나 대단하는 생각을 하곤 한다. 위에서 언급한 스마트폰, 그리고 지금의 IT 생활을 이끈 장본인이 다름아닌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물론 애플이 스마트폰을 다 만들..
-
[Xperia Z3] 화려하면서도 단아한 디자인을 자랑하는 소니의 Xperia Z3의 디자인 스케치Review 2015. 1. 13. 17:35
개인적으로 스마트폰에 관심이 많아서 다양한 스마트폰을 사용해보곤 한다. 리뷰 제품을 받아서 사용해보기도 하고 직접 사서 써보기도 한다. 또 잠시 빌려서 써보기도 한다. 어떤 경로로 사용하든 쓸 때마다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에 즐겁기는 매한가지인 듯 싶다. 개인적으로 삼성 제품과 애플 제품을 많이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소니 제품도 가끔 사용하곤 한다. 오늘은 소니에서 나온 Xperia Z3를 가볍게 소개해볼까 한다. 참고로 이 제품은 소니코리아로부터 잠시 빌려서 사용해보고 있는 제품이다. 개인적인 의견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제조사의 제품들을 사용하다보니 각 제조사마다 특징아닌 특징이 각인되어버리는 듯 싶다. 갤럭시 시리즈(갤럭시 S,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등)의 삼성전자 제품들은 기능적인 부분에서 괜찮다..
-
[VINGO] 돌비 오디오 기술의 접목으로 스마트폰을 손 안의 극장으로 만든다. 내가 찾는 그 영화, VINGOReview 2014. 12. 16. 15:09
최근 모바일 플레이어에 대한 요구가 거세다.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지하철이나 버스 등 이동할 때 영화를 본다던지, 아니면 어느 카페에 앉아서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모바일 컨텐츠 못잖게 모바일 플레이어에 대한 사람들의 눈높이도 올라가는거 같다.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플레이어 앱의 성능도 고려해야 하고 무엇보다 모바일용으로 제공되는 컨텐츠의 품질 자체도 이제는 HD 이상, 영화관급 화질 이상을 요구하는거 같다. 영상 뿐만이 아니라 음향부분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 CJ E&M과 돌비(Dolby)가 괜찮은 서비스를 하나 내놔서 소개해볼까 한다.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모바일을 통해서 영화를 나름 제대로 보고 싶을 때 사용해보면 만족할만한 서비스다. 빙고(Vingo)라는 서비스가 그 주인공인데 ..
-
지문인식보다 더 편리하면서 매력적일 수 있는 얼굴인식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Security 2014. 10. 21. 08:00
보안 기술 중 기본이 되는 인증 기술 보안 기술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기술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무척이나 생뚱맞은 이야기일 수 있겠습니다만 보안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마다 다른 이야기를 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제가 생각하기에는 아마도 인증 기술이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암호화 기술이 핵심이라고 얘기하는 사람들도 있고, 또 어떤 사람들은 악성코드를 막는 안티 바이러스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겠습니다만 보안도 워낙 분야가 다양해서 어느 분야에 종사하느냐에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런데 암호화 기술은 보안 기술이기는 하지만 기술이라고 보는 것보다는 코어 기술에 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인증 기술이 보안 기술의 기본이 되는 기술이라고 얘기할 수 있는 이유는 아래..
-
포스트 스마트폰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려는 스마트워치형 IoT 제품들. 필요없는 이유와 필요한 이유를 정리해보면..Mobile topics 2014. 10. 6. 08:00
2007년에 애플의 아이폰을 시작으로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항상 포스트 스마트폰의 이야기는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한동안 가장 큰 포스트 스마트폰의 선두주자는 태블릿PC였습니다. 역시 애플의 아이패드를 시작으로 삼성의 갤럭시 탭, 노트 10.1 시리즈들이 나오고 아마존의 킨들 파이어가 미국에서 제대로 히트치면서 태블릿PC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리기 시작했다고 생각을 했지요. 그리고 태블릿PC에서 3G, LTE 등의 이동통신이 지원되면서 스마트폰의 다음은 태블릿PC가 될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예상을 했습니다. 그런데 최근의 동향을 보면 태블릿PC는 포스트 스마트폰이라기 보다는 포스트 PC의 개념이 더 강한 듯 합니다. 스마트폰 시장보다는 PC 시장을 잠식하면서 스마트폰과 양립하는 상황이 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