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니의 생각
-
트위터를 통해서 활성화된 실시간 검색. 신뢰성 확보가 무엇보다 급한데...IT topics 2009. 12. 30. 11:50
올해는 트위터와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중심으로 실시간 웹(Realtime Web)이 급성장을 하는 시기였다. 그런 시대적인 대세(?)에 MS와 구글이 각자의 검색엔진에 이런 실시간 웹 검색결과를 넣기 시작한 어쩌면 시작시기가 요즘이 아닐까 싶다. MS는 자사의 검색엔진인 빙(Bing)에 트위터 검색을 넣은 빙-트위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아예 따로 서비스를 빼내어 전문적인 실시간 검색엔진으로서의 자리를 굳힐려는 듯 보인다. 구글은 구글 검색결과에 실시간 검색 결과를 넣는 방법으로 실시간 검색 서비스를 추가했다. 기존의 구글 검색결과에 녹아들어가도록 한다는 방침인 듯 싶다. 따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말고 그동안 이용했던 구글 검색엔진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실시간 검색도 함께 맛보라는 구글의 전략인듯 보인다...
-
트위터와 모바일로 인해 변화와 성장을 거듭했던 2009년도의 인터넷 세상Mobile topics 2009. 12. 29. 11:50
올해(2009년) 인터넷의 화두는 실시간 웹(Realtime Web)이었던거 같다.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중심으로 짧고 빠르게 정보를 양산해내는 서비스들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정보의 신속성 및 양적인 팽창이 엄청났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실시간 웹은 모바일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만나 더 급속히 퍼져나간 듯 싶다. 특히 트위터의 약진은 정말 주목할만하다. 이는 미국과 같은 해외에서도 그렇지만 국내에서의 급성장이 정말 두드러졌다. 그동안 해외 서비스가 국내에서는 거의 투명인간 취급받으며 사장되곤 한 풍토를 볼때 매우 의미있는 일이며 한국에서도 향후 어떤 서비스가 뜰 것인지를 가늠해보는 좋은 레퍼런스가 된 듯 싶다. 비슷한 성격의 미투데이가 NHN에 합병된 이후 성격이 변하면서 트위터가 상대적으로 ..
-
아마존의 킨들 DX, 국내에서도 왠지 먹힐 듯 싶은데....Mobile topics 2009. 12. 28. 07:53
며칠 전 지하철에서 킨들 DX로 책을 보고 있는 장면 (얼굴은 프라이버시를 위해 모자이크 처리함 ^^) 며칠 전에 지하철로 퇴근하는 도중에 재미난 것을 봤다. 아마존의 킨들 DX를 들고 전자책을 읽고 있는 사람을 보게 된 것이다. 뒤에 서서 킨들이 과연 어떤 것인가 찬찬히 살펴봤다. 킨들 DX. 9.7인치의 대형화면을 자랑하는 전자책 디바이스. 아마존에서 만들어서 적어도 미국에서는 상당히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전자책 시장을 이끌고 있는 선구자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아직은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국내에 들어와도 꽤 인기가 있을거 같다고 평가받는 것이 킨들 DX다. 그리고 잠깐이나마 봤던 킨들 DX의 모습을 보면서 이제 국내 환경에 잘 적용할 수 있다면 충분히 성공할 가능성이 높..
-
구글이 만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국내 출시는 어렵지 않을까?Mobile topics 2009. 12. 24. 12:32
구글 넥서스 원 시리즈. 1.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 스마트폰? 국내 출시는? 2.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 3. 구글이 만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국내 출시는 어렵지 않을까? (이 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앞의 먼저 공개한 2개의 글을 읽는 것이 좋다.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이 왜 국내에서 출시되기 어려운지에 대한 어느정도 배경 설명이 앞에 2개의 글에 다 있기 때문이다. ^^)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인 넥서스 원은 음성통신기능이 빠진 데이터 통신만으로 이용한 인터넷 단말기다. 이전 포스트에서 넥서스 원을 스마트폰으로 부르기 어려운 이유에 대해서 썼지만 마이크와 스피커가 달린, 전화기 모양을 ..
-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09. 12. 24. 12:32
구글 넥서스 원 시리즈. 1.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 스마트폰? 국내 출시는? 2.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 3. 글이 만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국내 출시는 어렵지 않을까? 구글이 이번에 발표한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인 넥서스 원. 일단 외부에 알려지기로는 스마트폰으로 알려졌다. 여러 언론들이 그렇게 얘기하고 있으니까. 하지만 스마트폰이라고 불리기는 좀 애매한 부분들이 있다. 왜 그럴까? 먼저 스마트폰에 대한 기준을 나름 정의하고 들어가야 할 듯 싶다. 여기서 말하는 스마트폰은 일반 휴대폰 기능을 갖추고 있는, 즉 전화 기능이 있는 휴대폰 위에 오픈 플랫폼을 얹어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게 만드는 휴대폰을 의..
-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 스마트폰? 국내 출시는?Mobile topics 2009. 12. 24. 12:32
구글 넥서스 원 시리즈. 1.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폰인 넥서스 원. 스마트폰? 국내 출시는? 2. 구글이 만든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과연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을까? 3. 구글이 만드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넥서스 원. 국내 출시는 어렵지 않을까? 며칠전, 애플의 아이폰에 이은 또 하나의 센세이션을 일으킬만한 스마트폰이 세상에 공개되었다. 구글이 직접 만드는 스마트폰, 이른바 Made by Google 폰인 '넥서스 원(Nexus One)'이 그 주인공이다. HTC가 하드웨어를 담당하고 OS 및 어플리케이션은 구글이 맡아서 만든 안드로이드 2.1이 탑재된 스마트폰이다. 애플에 이어 구글도 자체적으로 만든 스마트폰을 내놓았다는 얘기다. 이미 넥서스 원에 대해서는 이 블로그에서도 소개한 적이..
-
[T*옴니아2] T*옴니아2만 있으면 어디든 길을 잃을 염려는 없노라..Review 2009. 12. 22. 11:57
T*옴니아2와 같은 스마트폰을 갖고 다니면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내 생각에는 아마도 지도검색이 아닐까 싶다. 길가다가 내가 가야할 곳을 제대로 찾는다는 것이 이미 아는 길이라면 문제없겠지만 처음가는 곳이라면 분명히 헤매기 일쑤이기에 말이다. 솔직히 방향치라면 문제가 크지만 단순한 길치(길치와 방향치의 차이가 애매하기는 하다 -.-)라면 지도 서비스만 잘 이용하면 정말로 제대로 된 도우미를 옆에 두고 있는 것처럼 든든할지도 모르겠다. 이번에 소개하려는 T*옴니아2용 지도 어플리케이션은 구글지도와 네이버 지도다. 둘 다 괜찮은 지도 어플리케이션이고 쓸만하지만 나름대로의 각기 특색이 있기 떄문에 이 2개를 적당히 잘 섞어서 이용한다면 어지간한 네비게이션은 이제 필요가 없을 듯 싶기도 하다. 먼..
-
[CHIMEI 24EH LCD 모니터] 아름답고 깔끔한 화면을 보여주는 모니터. CHIMEI 24EH LCD 모니터Review 2009. 12. 21. 12:20
깔끔하고 아름다운 화면을 보여주기로 유명한 중국의 치메이(CHIMEI)에서 이번에 괜찮은 모니터를 출시했다고 한다. 마침 제품을 볼 수 있고 사용해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겨서 사용을 해봤다. 이번에 치메이에서 내놓은 24EH LCD 모니터는 치메이에서 내놓는 5가지 모니터 시리즈들 중에서(T, G, Charming, Starlight, Business)에서 매력을 뜻하는 챠밍 시리즈 중 하나다. 외관상 보이는 디자인부터 시작해서 깔끔하면서도 아름다운 영상처리까지 차밍한 느낌을 그대로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사용을 해봤을 때에도 밝기나 화면의 부드러움이 잘 살아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의 5가지 특징은 CHIMEI 24ED LCD 모니터의 특징을 잘 나타내주는 마크들이다. Dyna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