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위터의 새로운 수익모델은 유료계정과 실시간 검색엔진...IT topics 2009. 10. 16. 13:21
트위터의 수익모델이 일부 공개되었다. 일부라고 말한 것은 향후 수익모델이 더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세계지식포럼에서 트위터의 공동 창업자인 비즈 스톤은 12월에 트위터가 유료광고 서비스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커머셜 어카운트(가칭)라는 이름의 이 서비스는 트위터의 새로운 수익모델이 될 것이라고 한다. 나는 이 블로그를 통해 오전에 일본에서 비즈 스톤이 MS나 구글과 같은 거대 IT 회사에 인수당할 생각이 없다는 내용을 갖고 과연 트위터의 수익모델은 어떤 것이 될 것이며 어떻게 끌고 나갈 것인가에 대해서 의문을 포스팅했다. 현재 트위터의 메인이라 할 수 있는 트위터 웹 서비스에는 아무런 광고도 없기 때문이다. 펀딩으로 충분히 자금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롱런할 수 있는 안전한 자원이 아님을 볼 때 안정..
-
자력으로 성장하기를 선택한 트위터. 마땅한 수익모델도 없이 어떻게?IT topics 2009. 10. 16. 09:25
트위터는 어떤 큰 회사에 인수되는 것에 관심없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트위터를 더 큰 회사로 만들 것이며 그렇게 되리라 믿는다.트위터의 공동창업자인 비즈 스톤이 일본 도쿄에서 한 말이다. 그동안 여러 언론을 통해서 트위터가 구글, MS와 피인수협상을 하고 있다는 뉴스가 나오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반박의 발언이라 할 수 있다. 즉, 트위터는 자력갱생(^^)을 할 것이며 그 정도의 능력은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자신하는 듯 보인다. 트위터가 구글이나 MS에 피인수협상을 하고 있다는 뉴스가 나온 것은 트위터의 수익모델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이크로 블로그로서 성장가능성은 어느 서비스보다 크고 미디어 유통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과 심지어 페이스북을 넘어선 웹 유통 플랫폼으로의 가능성도 매우 크기 때문에 지금보..
-
SKT의 트위터 지원. 국내 트위터 생태계의 성장으로 이어질 것인가...IT topics 2009. 10. 13. 09:04
최근 재미난 소식을 하나 들었다. SKT가 SMS로 트위터를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SMS로 문자를 보내면 그 문자를 트위터에 트위팅해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한다. 마치 미투데이에서 미투SMS와 같은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그동안 트위터를 모바일로 즐기기 위해서는 아이팟 터치 + 애그 조합으로 모바일 인터넷을 써서 트위팅을 하던지 아니면 LGT의 오즈 서비스를 이용해서 트위팅을 하던지 해야만 했다. 아니면 SKT, KT가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을 써야만 했는데 워낙 비싸서 엄두조차 안났다. 또 스마트폰이어야만 그것도 그나마 혜택이 있었고 말이다. 하지만 스마트폰, 일반 휴대폰(피쳐폰) 할꺼 없이 이제는 SMS로 트위터에 글을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SMS뿐만 아니라 MMS로도 트위팅할 수 있게 되..
-
서로간의 연동은 좋지만 페이스북, 미투데이의 트위터화는 좀 자제해야..IT topics 2009. 9. 25. 15:00
요즘들어 SNS가 웹세계를 평정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SNS들 중에서 특히 트위터가 SNS 시장을 평정하고 그 기세를 몰아 블로그가 장악하고 있던 웹2.0 세계마저 다 먹어들려고 하고 있다. 해외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트위터의 성장세는 가히 놀랄 정도다. 보통 해외 서비스들의 무덤이라 불리는 한국 웹시장에서 트위터는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을 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 No.1 SNS는 페이스북이다. 전세계적으로 3억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국내의 경우 미투데이라는 국산 SNS가 No.1 SNS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트위터는 이들을 넘어가고 있다. 적어도 한국에서, 그리고 내 주변에서 보면 그렇다. 나 역시 트위터를 많이 사용하면서 블로그에 할애하는 시간이나 ..
-
[햅틱 아몰레드] 어디서나 모바일 트위터를 즐겨보는 즐거움이란...Review 2009. 9. 4. 08:50
트위터나 미투데이와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뭔가 재미를 추구한다는 것에 대해서 많은 공통점이 있다. 특히나 트위터는 최근 국내에서도 그 사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SNS이기도 하다. 이런 SNS는 개인적인 사생활을 조금씩 노출함으로 얻는 관심으로 그 서비스를 이어가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최근에는 다양한 이슈들을 공유하는 뉴스체널로서의 역할도 겸하고 있지만 말이다. 최근 SNS는 모바일쪽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아니, 모바일이 SNS와 접목하면서 그 시너지 효과는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SNS는 거의 언제, 어디서든지 접속해서 글을 남기고 확인하는 것이 그 매력인데 사람이 늘 PC에 붙어 앉아있을 수만은 없는 일이니 언제나 갖고 다니면서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쪽에 더 관심이 있..
-
트위터의 부족함을 채워주는 텀블러. DISQUS 연동으로 댓글 시스템을 구축하자.Blog 2009. 8. 4. 11:50
요즘 텀블러(tumblr)라는 서비스가 유행하고 있다. 트위터라는 SNS가 인기를 끌면서 트위터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서드파티 서비스들도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는데 그 중에서 눈에 띄게 그 세를 확장하고 있는 서비스가 바로 텀블러다. 초창기의 텀블러가 어떤 식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내 경우 텀블러를 쓴 이유는 단순했다. 트위터가 140자의 글자제한이 있는 단문서비스(해외의 SMS 규격에 맞추기 위해 140자로 제한했다고 한다)이기 때문에 가끔 그 이상의 글을 쓰고 싶을 때는 여러 개로 나눠서 쓰던지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미투데이는 150자의 제한이 있지만 태그로 무려 300자나 쓸 수 있기 때문에 본문 + 태그로 무려 450자라 쓸 수 있어서 나름 커버할 수 있었지만 트위터는 딱 140자로 제..
-
방통위, 트위터에 본인확인제를 적용한다고 하는데...?IT topics 2009. 7. 7. 18:06
트위터에 들어갔는데 이상한 뉴스가 떠돌아다녀서 한번 살펴봤더니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가 또 한번의 뻘짓꺼리를 하려고 하는 듯 싶다. 트위터에 본인확인제 적용을 검토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이유인즉, 국내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10만명 이상의 게시판 서비스에는 본인확인제를 적용해야 하는 법률에 의거해서라고 한다. 트위터의 경우 Following을 하게 되면 게시판 기능도 가능하기 때문에 적용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런.데...... 트위터가 국내 서비스였나? 일전에 문제가 되었던 구글의 YouTube는 서비스를 하는 주체가 서버 자체는 해외에 있지만 서비스 사업자는 구글코리아이기에 한국에 있기에 적용대상으로 제제를 가할 수 있지만 트위터는 해외 인터넷 서비스다. 국내 서비스가 없다. 그냥 국내 사용..
-
페이스북, 미국에서 끝내는 마이스페이스를 따라 잡았다...IT topics 2009. 6. 19. 10:00
전세계 No.1 SNS인 페이스북. 하지만 적어도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가 계속 우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No.1 SNS의 자리를 페이스북에게 넘겨줬지만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가 여전히 No.1 SNS임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는데 결국 페이스북의 급성장과 마이스페이스의 하락세가 겹쳐서 페이스북이 미국에서 마이스페이스를 따라잡게 되었다. 미국에서마저 페이스북이 마이스페이스를 누르고 No.1 SNS로 우뚝서게 되었다는 얘기다. comScore의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에서 작년에 7027만 방문자가 페이스북을 다녀갔다. 그에 비해 마이스페이스는 7025만명의 방문자가 다녀갔다. 대략 2만명정도의 차이가 난다. 그리고 올해 5월에는 페이스북은 280만명의 순방문자를 얻었지만 같은 기간..
-
구글, 트위터 전문 검색 서비스를 내놓는 것인가?IT topics 2009. 6. 16. 12:39
구글에서 조만간 트위터에 올라오는 글들을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한다. 자세히 말하면 구글이 트위터 등의 마이크로블로그에 올라오는 글들을 검색하는 서비스를 조만간 내놓겠다고 외신들이 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블로그의 대표적인 서비스가 트위터고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서비스이니만큼 이번 구글이 내놓겠다는 마이크로블로그 검색 서비스는 결국 트위터 검색 서비스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물론 페이스북이나 마이스페이스, Hi5, 베보 등의 다양한 SNS가 존재하고는 있지만 이들을 마이크로블로그라고 보기는 좀 어렵기 때문에 저렇게 불리는 듯 싶다. 구글이 마이크로블로그 검색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해서 구글이 직접 마이크로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하리라고 보지는 않는다. 결국 있는 마이크로블로그 서비스들을..
-
트위터에서 부활한 노무현 전대통령... (지금은 다시 없앤 듯 -.-)IT topics 2009. 5. 28. 15:44
트위터에 서거한 노무현 전대통령이 부활했다. 트위터에 Followers를 체크하는 중에 어디서 많이 본 분이 나를 Following하고 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헉.. 하는 생각과 동시에 잽싸게 Follow를 눌러주고는 어떤 글들이 있는가 확인을 하는데 어떻게 부활되었는지 아래와 같이 설명을 해놨더라... 뭐 돌아가신 분이 예수님처럼 부활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저렇게나마 트위터에서 노무현 전대통령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위로가 된다. 물론 저 트위터를 운영하는 사람은 노무현 전대통령 본인은 아니지만 말이다. 보통 트위터에는 유명인들이 많이 들어와서 사용을 한다. 최근 피겨선수인 김연아도 트위터를 개설했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을 정도다. 그런데 이미 고인이 되신 분이 트위터를 하는 경우는 처음보는 듯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