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스타그램, 패스, 저스팟, 푸딩.투...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플랫폼으로 잘 이용하고 있는 사진 공유 서비스들...Mobile topics 2012. 2. 27. 08:30
인스타그램, 패스(Path), 저스팟, 푸딩.투... 위에서 열거한 서비스들은 최근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서 많이 보여지는 서비스들이다. 그렇다고 저것들이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의 플러그인 서비스(종속 서비스)인가 하면 그것도 아니다. 자체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기능을 갖추고 있는 엄연한 독립 서비스들이다. 위에서 열겨한 서비스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름아닌 사진 공유 서비스라는 점이다. 이미 야후의 플리커나 구글의 피카사와 같은 사진 공유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왜 저것들이 각광을 받고 있을까? 개인적인 의견이지만 플리커나 피카사의 경우 아카이빙(저장, 보관)의 성격이 강한데 비해 위에서 열거한 저 서비스들은 공유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내가 찍은 사진들을 좀 더 멋지게 편집해서 여러..
-
[삼성 크롬북] 크롬북을 SNS 전용 단말기로 활용하는 것은 어떨까?Review 2011. 8. 17. 16:03
삼성의 크롬북을 사용해서 SNS를 손쉽게 이용해보는 방법을 오늘 공개해볼까 한다. 크롬북도 크롬 OS가 설치된 노트북이고 크롬 OS에는 크롬 웹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있는 만큼 외국 서비스가 중심이 되는 SNS가 잘 이용되리라는 생각이 들어서 사용해봤는데 결과를 먼저 얘기한다면 꽤 쓸만한 SNS 단말기로 크롬북을 이용할 수 있다. 먼저 카페에 들어가서 후딱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구글 플러스와 같은 SNS를 사용하고 싶을 때는 보통은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접속하거나 할 것이다(뭐 당연한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과 같은 태블릿을 이용할 것이다. 태블릿의 경우 부팅이 빠르고 가볍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입력하는 부분에 있어서 불편함은 어쩔 수 없다. 그렇다면 입력도 간편하게 하고 PC와 ..
-
트위터의 하락세와 페이스북의 상승세? 아직은 논할 때가 아닌 듯 싶은데..IT topics 2011. 1. 25. 08:52
요즘들어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대한 이야기가 인터넷을 통해서 흘러다니고 있다. 내용을 요약하면 이제 트위터의 시대는 갔고 페이스북의 시대가 왔다는 것이다. 작년에 한참 인기를 끌었던 SNS의 붐을 이뤘던 트위터가 작년 말부터 그 붐이 한풀 꺾이는 듯 보였다는 것이다. 그리고 페이스북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그런 내용의 글들이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많이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확실히 내가 봐도 트위터의 기세가 작년 중순쯤과 비교해서 지금은 그렇게 강하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또 상대적으로 페이스북의 국내시장 점유율도 차곡차곡 높아져가고 있는 것도 체감할 수 있을 정도니까 말이다. 이런 부분을 고려한다면 트위터의 시대는 가고 페이스북의 시대가 온다는 얘기가 진리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한가지 간..
-
[Xperia X10 mini pro] 학생들을 위한 최강의 메시징 머신이라 불러다오!Review 2011. 1. 5. 08:18
일전에 소니에릭슨은 스마트폰이면서도 스마트폰답지 않은 음악과 같은 멀티미디어에 기능을 더 중요하게 했던 엑스페리아 X10 미니를 선보인 적이 있다. 출시 이후 꾸준히 학생들을 중심으로 판매도 잘 되어진다는 얘기를 들었다. 빵빵한 음악재생 기능과 깜찍한 디자인이 스마트폰이 어렵다고 느껴지는 학생들에게 잘 먹힌 듯한 모습이다. 하지만 X10 미니를 보면서 항상 아쉬운 부분이 있었던 것이 바로 입력 부분인데 그 작디 작은 크기의 터치스크린에 터치 키패드가 보여지면 정말로 답답하기 그지없던 화면이 문제였던 것이다. 그런데 그 부분을 해결해주는 녀석이 이번에 등장하게 되었으니 X10 미니의 후속모델인 X10 미니 프로가 그 주인공이다. 소니에릭슨의 엑스페리아 X10 미니 프로의 모습이다. 겉모습은 X10 미니와 ..
-
새로운 트위터 UI 디자인. 드디어 나에게도 적용되다!IT topics 2010. 9. 29. 14:55
최근 트위터에 새로운 UI가 적용되기 시작했다는 얘기가 인터넷을 통해서 떠돌기 시작했다. 트위터가 트위터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트위터 웹 서비스의 UI를 개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위터는 이번에 새롭게 바뀌는 UI를 통해서 그동안 트위터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만들어졌던 트위터 트래픽을 트위터 웹으로 끌어모으려고 시도하는 듯 보인다. 그래야 트위터 본사가 하고자 하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직접 선보이기 용이하기 때문이다. 페이스북은 서드파티 어플보다 페이스북 웹서비스의 사용도가 압도적으로 높기 때문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편한데 비해 트위터는 그동안 허브로서의 역할은 충실했을지는 몰라도 트위터의 본류인 웹보다는 서드파티가 강세여서 재미를 못본 케이스이기 때문이다. 트위터를 통해서 새로..
-
국내에서도 이제는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페이스북IT topics 2010. 9. 15. 23:37
전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열풍이 불고 있다. 예전에는 인기있는 SNS로 야금야금 사람들에게 알려지더니 SNS 시장을 평정해버렸고 이제는 No.1 인터넷 서비스라 불리는 구글마저 위협하는 정도로 엄청나가 커졌다. 이미 전세계 5억명 이상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로 성장한 페이스북은 구글을 넘어 No.1 인터넷 서비스로 발돋움하려고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페이스북이 좀 일찍 들어왔다. 트위터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작년 중순부터라고 한다면 페이스북은 그 이전에 들어왔다. 대략 3년전에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한글 서비스도 2년전부터 시작한 것으로 기억한다(이 부분은 헷갈릴 수 있다). 하지만 트위터가 빠른 시간 안에 국내에서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는 동안 페이스북은 그동안의 국내에 들..
-
지메일로 대동단결하여 페이스북의 도전에 대응하려는 구글. 과연?IT topics 2010. 9. 8. 11:52
페이스북의 성장세가 무서울 정도로 커지고 있다. 물론 트위터의 성장폭이 페이스북의 그것을 넘고 있다고 해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많이 비교하고 있고 트위터의 성장이 대단하기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사용하는 빈도 등을 고려할 때 페이스북이 현재, 그리고 앞으로도 별다른 이슈가 없는 한 No.1 SNS로 자리잡을 것은 분명해 보인다.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페이스북보다 트위터가 더 많은 이슈를 일으키고 있지만 점점 페이스북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비슷한 수준으로 갈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예상을 하고 있으며 나 역시 비슷한 생각이다. 구글이 최근 Gmail Call(지 메일 콜)을 선보였다. 지메일을 통해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서비스를 시작한 당일에 무려 300만 콜이 진행되었다는 뉴스가 나왔..
-
SNS의 발달로 뒤쳐진듯 한 이메일, 하지만 여전히 활용도가 높은 IT 서비스도 이메일!IT topics 2010. 8. 24. 15:51
요즘 많은 사람들이 트위터니 페이스북이니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많이 이용한다. 특히 아이폰의 등장 이후에 국내에서 안드로이드 폰 등 스마트폰 빅뱅이 이뤄지면서 모바일로 이들 SNS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듯 싶다. 어떤 사람은 SMS(단문메시지) 대신에 트위터로 메시지를 보낸다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해외의 경우 트위터가 아닌 페이스북의 쪽지로 SMS 대신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렇듯 스마트폰과 더불어 SNS가 급성장하면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에 많은 변화가 오고 있는 듯 보인다. 과거에는 편지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이 주류를 이뤘다. 내 기억에 1990년대 중반까지는 우체통에 편지를 넣어서 내용을 전달하는, 즉 우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1990년대 ..
-
블로그의 소셜화? SNS와 블로그의 연계를 어떻게 잘 이용해볼까?Blog 2010. 8. 19. 09:17
최근 블로그에 조금씩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변화라고 해봤자 큰 변화는 아니고 조금씩 컨퍼넌트들을 바꾸는 정도인데 대부분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부분이다. 이런 변화가 내 블로그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대세라는 부분도 있고 너무 변화없는 것도 싫어서 조금씩 바꿔볼려고 하는 중이다. 원래는 스킨 전체를 뜯어고쳐야겠지만 그것은 디자인적인 노력을 요하기 때문에 좀 나중에 할려고 생각중이다. 소셜 댓글? Disqus 설치 SNS가 성장을 하면서 이런 컨셉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많이 등장했다. Disqus(디스커스)역시 비슷한 컨셉의 서비스로 소셜 댓글 서비스라는 얘기를 듣는 서비스다. 블로그의 댓글이 보통 자기 블로그에서만 확인이 가능하고 타 서비스와의 연계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태터계..
-
북한에서 직접 운영하는 트위터 계정이 생겼다?IT topics 2010. 8. 17. 11:50
북한 미디어인 '우리민족끼리'(해당 사이트는 영어로 배포되는 사이트로 국내에서는 접속이 불가능함)에서 운영하는 트위터 계정이 생겼다고 한다. 위의 그림에서 보듯 @uriminzok이라는 계정이 그 주인공이다. 저게 진짜 북한 미디어인 '우리민족끼리'에서 운영하는 것인지는 제대로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트위터 내용을 보건데 논평이 론평으로 표기되는 등 내용 자체도 최근 있었던 남북 정세를 다루는 것을 봐서 진짜인 듯 싶다. 저 계정의 존재가 트위터에서 밝혀지자마자 국내 트위터 사용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재미난 것은 팔로잉은 0, 현재 이 글을 쓰고 있는 시간의 팔로워는 2817(지금도 계속 늘고 있다). 한마디로 열심히 내뱉기만 하는 트위터 계정이라는 것이다. 북한에서 운영하는 트위터인만큼 소통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