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
TV, 그리고 디스플레이의 혁신을 말하다! 롤러블 OLE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LG SIGNATURE OLED TV RIT topics 2019. 1. 9. 13:14
현재 미국 라스베가스에서는 CES 2019가 한참 열리고 있는 중이다. 수많은 제조사들이 다양한 가전제품을 선보이고 있는데 그 중에서 정말 눈길이 가고 대박이라고 할만한 제품이 튀어나와서 얘기를 해보려고 한다. 참고로 CES는 가전쇼이기 때문에 MWC와 달리 모바일 제품보다는 TV,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 등 가전 제품들이 중점적으로 나온다(그렇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안나오는 것도 아니지만서도). 이번 CES 2019에서 LG는 정말 획기적인 TV를 선보였다. TV 자체가 획기적일 수도 있겠지만 그 TV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자체가 획기적이라고 봐도 좋을 것이다. 이번에 LG는 시그니처 OLED TV R이라는 제품을 발표했는데 이 제품이 다름아닌 두루마리 휴지처럼 감기는, 즉 롤러블(rollable) 디..
-
애플과 삼성의 협업! 삼성 TV에서 애플의 컨텐츠를 볼 수 있게 되는데.. 애플과 타사 TV와 협업의 의미는?Mobile topics 2019. 1. 9. 11:16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 어제, 오늘 나온 뉴스들 중(CES 2019가 개최중이라 대부분이 CES 뉴스이기는 하지만) 꽤 흥미를 끌만한 뉴스가 보였다. 다름아닌 애플이 삼성의 TV에 아이튠즈(iTunes)와 에어플레이 2(AirPlay 2)를 탑재하겠다는 뉴스가 나왔다(아마도 홈킷도 포함일 듯 싶다 홈킷은 빠진 듯 싶다). 이건 애플과 삼성, 양쪽 모두에 상당히 의미있는 뉴스라는 생각이 든다. 애플의 아이튠즈 영상 컨텐츠를 삼성 TV에서 볼 수 있게 되는데.. 일단 발표된 내용을 보면 애플은 삼성이 2019년에 출시하는 TV(뉴스에는 TV라고만 나오는데 애플의 저 기능을 탑재하려면 스마트TV만 가능함. 그런데 뭐 삼성의 TV가 지금은 죄다 스마트TV로 나오고 있으니 별 의미없기는 함)에 아이튠즈 영화(Mo..
-
[One7 2014 Edition] 삼성 아티브 원7 2014 에디션의 다양한 활용성! TV로서, 그리고 웹하드로서의 가능성은?Review 2014. 6. 1. 08:00
삼성 아티브 원7 2014 Edition(모델명 DM700A4J-KN20, 이하 원7 2014 에디션)은 올인원(All in one) PC답게 다양한 기능들이 내재되어 있다. 일단 기본으로 PC로서의 기능이 있고 TV로서의 기능도 있다. 그리고 스피커로서의 기능과 동시에 모니터로서의 기능도 있다. 그리고 웹하드로서의 기능도 함께 지니고 있다. 올인원 PC라는 이름에 걸맞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그동안 원7 2014 에디션의 다양한 기능에 대해서 살펴봤는데 오늘은 올인원 PC에 걸맞는 기능이라 할 수 있는 TV로서의 기능과 웹하드로서의 기능을 살펴볼까 한다. 삼성링크(Samsung Link)를 통해서 원7 2014 에디션을 웹하드 서버로.. 원7 2014 에디션의 재미난 기능 중 하나는 웹하드로서의 기..
-
3D에서 스마트로, 그리고 다시 UHD와 곡면 TV로.. 거실의 지배자, TV의 발전사는?IT topics 2014. 4. 2. 13:39
거실의 지배자. TV를 뜻하는 말이다. 시대가 많이 변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거실의 중앙을 당당히 지배하고 있는, 거실 인테리어의 핵심을 맡고 있는 제품을 얘기하자면 TV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집에서 사용하고 있는 화면달린 제품들 중에서 가장 큰 화면을 지니고 있으며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만 있기 때문에 가구의 개념도 지니고 있는 녀석이다. 물론 최근에는 이 녀석도 IT 제품 쪽으로 분류되기 시작했지만 말이다. 어찌되었던 여전히 집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은 녀석 중 하나가 다름아닌 거실의 지배자라는 TV라고 생각한다. 2000년 이후에 TV는 상당히 많은 트랜드를 만들어내며 이슈 메이킹을 해왔다. 볼록 브라운관 TV가 대다수였던 1990년대를 지나 2000년에 완전 평면 브라운관 TV가 등장했..
-
CES 2013을 통해서 본 거실의 지배자, TV의 미래는?IT topics 2013. 1. 9. 07:41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진행하고 있는 CES 2013(2013년 1월 8일부터 시작)에는 글로벌 업체들의 다양한 신제품들이 쏟아져나온다. 그 해의 트랜드, 혹은 내년의 트랜드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좋은 소스를 제공해주기도 하는데 올해 CES의 주제, 혹은 테마는 아마도 TV가 될 듯 싶다. 주요 업체들의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나오는 이야기라든지 CES를 취재하고 있는 언론에서 언급하는 내용들이 주로 TV쪽에 집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이든 네이버든 다음이든 뉴스 기사를 검색할 때 CES로 검색을 하면 대부분의 기사들이 TV쪽에 집중되는 것을 보게 된다. 아마도 CES가 가전쇼이다보니 MWC나 IFA에서 보여주는 IT 제품쪽보다는 가전제품에 더 포커스가 가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이번 CES 2013에는 위에서..
-
[kong.TV] 집에서 보는 모든 채널을 스마트폰에서, PC에서 그대로 볼 수 있다면? 콩TV!Review 2012. 1. 6. 13:38
요즘들어 TV를 집에서만 보는 것이 아니라 들고 다니면서, 혹은 TV가 없는 장소에서도 볼 수 있는 시대가 온 듯 싶다. DMB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스마트폰용 방송보기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고 또 그 성능이 좋아지면서 이제 TV를 본다는 것에 대해서 집에서 뿐만이 아니라 어디서든지 인터넷이 되는 곳 어디라면 다 TV를 볼 수 있는 시대가 된 것이다. 물론 아쉬운 점은 있다. DMB의 경우 일반 지상파가 아닌 DMB 체널이 따로 존재한다. 물론 지상파 방송을 재송출하는 체널이 많기 때문에 지상파 체널 방송을 보는데 별 문제는 안되지만 말이다. 그리고 DMB의 경우 화질이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그저 TV 방송을 TV 이외에서 본다는 것 이외의 의미는 찾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각 방송국에서 제공..
-
주말 TV 예능(무한도전, 1박 2일, 나는 가수다)을 보면서 드는 생각들...Current topics 2011. 9. 18. 08:30
TV 프로 이야기를 좀 해볼까 한다. 개인적으로는 드라마는 사극을 좋아하고 예능은 무한도전과 1박 2일, 런닝맨, 서바이벌 나는 가수다 등을 다 좋아하는데 이런 TV 프로들을 보면서 뭐랄까 개인적인 어떤 기준같은 것이 생기는 듯 싶다. 주말 예능이라면 먼저 떠오르는 것이 토요일에는 무한도전, 일요일에는 1박 2일이다. 뭐 일요일의 경우 난 1박 2일 말고 나는 가수다를 보지만 그건 다 개인의 성향에 따라 틀린 것이니 말이다. 여하튼간에 무한도전과 1박 2일은 여러가지 면에서 자주 비교가 되는데 같은 리얼버라이어티 예능인데다가 무한도전은 유재석이 이끌고 1박 2일은 강호동이 이끈다는 점에서 자주 비교대상이 되는 듯 싶다. 뭐 밑에서 하는 얘기는 개인적인 이야기니 너무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
-
[갤럭시 S2] HDMI를 이용해서 시원시원한 멀티미디어를 느껴보자구Review 2011. 6. 27. 10:44
갤럭시 S2에는 HDMI를 이용해서 대형 스크린(모니터든 TV든 간에)에 연결해서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갤럭시 S2가 4.3인치로 스마트폰 중에서는 꽤 큰 화면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역시나 20인치가 넘는 모니터나 TV를 통해서 보는 화면과 비교하면 작다고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든다. 9.7인치의 아이패드나 7인치의 갤럭시 탭과 비교해도 답답하리만치 작다는 느낌이 드는 것은 화면이 커야 시원시원하게 느껴진다는 어떤 기준아닌 기준 때문일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번에는 갤럭시 S2의 HDMI를 이용한 대형화면 활용법을 좀 살펴볼까 한다. 일단 갤럭시 S2를 보게되면 HDMI 케이블을 꽂는 단자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어렵다기보다는 아예 안보인다. 외부 출력 단자라고 하면 USB..
-
노트북, TV, 폰까지 다 아우르려는 모토롤라의 야심작, 아트릭스Mobile topics 2011. 3. 7. 08:30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신개념의 스마트폰 아트릭스(Atrix)는 모토롤라에서 이른바 3 스크린을 제대로 구현하려고 내놓은 신개념의 스마트폰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트릭스 자체도 1GHz의 듀얼코어 CPU를 탑재했고 1GB DDR2라는 PC에서 사용하는 고성능 메모리를 탑재한 4인치 안드로이드 탑재 스마트폰인데 함께 나온 다른 주변기기와의 활용도가 기존의 스마트폰들과는 많은 차별점이 있다는 것이 매력이라고 할 수 있다. 기기 자체도 매력적인 아트릭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4인치의 큰 그리고 시원시원한 터치스크린데 모토롤라 최초로 엔디비아(nDivia) 1GHz 듀얼코어 CPU를 탑재했으며 PC에서 사용하던 1GB DDR2 메모리(RAM)를 탑재하여 고성능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모토롤라 전통 안드로이드 ..
-
[Hoppin] 집에서든, 밖에서든 언제든지 동영상을 이어서 본다면?Review 2011. 2. 7. 08:00
얼마 되지는 않았지만 전세계적으로 컨버전스라 불리는 각종 기능의 융합 기술이 시장에 나옴으로 IT 시장이 다시 급성장하기 시작했다. 서로 다른 여러 기술들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하나의 디바이스에 집중되는, 그리고 그 기술들이 시너지 효과를 내는 그러한 기술이 바로 컨버전스며 국내에도 이런 컨버전스를 활용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많이 나왔다. 또 지금도 나오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케이스가 아마도 스마트폰이 될 듯 보이며 스마트 TV 역시 이런 컨버전스의 결정체라고 불릴만 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제 컨버전스는 단순한 IT 영역에서 벗어나서 다른 산업에서도 그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정부에서도 기업에서도 이런 컨버전스 개념을 도입해서 시너지 효과를 보려고 하는 것이다. 위에서 컨버전스의 영역이 많이 확대되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