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
트위터와 모바일로 인해 변화와 성장을 거듭했던 2009년도의 인터넷 세상Mobile topics 2009. 12. 29. 11:50
올해(2009년) 인터넷의 화두는 실시간 웹(Realtime Web)이었던거 같다.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SNS를 중심으로 짧고 빠르게 정보를 양산해내는 서비스들이 두각을 나타내면서 정보의 신속성 및 양적인 팽창이 엄청났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런 실시간 웹은 모바일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만나 더 급속히 퍼져나간 듯 싶다. 특히 트위터의 약진은 정말 주목할만하다. 이는 미국과 같은 해외에서도 그렇지만 국내에서의 급성장이 정말 두드러졌다. 그동안 해외 서비스가 국내에서는 거의 투명인간 취급받으며 사장되곤 한 풍토를 볼때 매우 의미있는 일이며 한국에서도 향후 어떤 서비스가 뜰 것인지를 가늠해보는 좋은 레퍼런스가 된 듯 싶다. 비슷한 성격의 미투데이가 NHN에 합병된 이후 성격이 변하면서 트위터가 상대적으로 ..
-
점점 인터넷 활용을 높혀가고 있는 미국의 어르신들.. 하지만 국내는?IT topics 2009. 12. 18. 11:50
나이가 든 어르신들은 PC를 이용해서 뭐를 하실까? PC가 대중화되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생활패턴 자체가 바뀌기 시작한지는 꽤 오래전부터인 듯 싶다. 젊었을 때 PC의 대중화를 지켜보고 나이가 들어서 인터넷의 확산 및 대중화를 지켜보던 5~60대, 혹은 그 이상의 연령을 지닌 어른들의 PC 이용행태, 혹은 인터넷 이용행태는 어떨까? 메셔블에서는 미국의 이런 노인(이라고는 하지만 난 그냥 '나이 든 어른들'이라는 표현이 더 좋다 ^^)들의 인터넷 사용행태를 닐슨의 통계보고를 기반으로 분석을 했다. 그래서 나 역시 그 포스트를 기반으로 한번 풀어볼까 한다. 최근 페이스북에 가입한, 혹은 활동중인 사용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나이 든 어르신들이라고 한다(여기서 어르신의 기준은 만 65세를 넘긴 분들을 뜻한다)..
-
구글과 페이스북의 URL 줄임 서비스 진출(shortener),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IT topics 2009. 12. 17. 11:48
요즘은 URL을 줄이는 서비스(shortener)가 유행인가보다.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bit.ly나 TinyURL 말고도 수십가지의 URL을 줄이는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이번에 페이스북과 구글도 이런 URL 줄이는 서비스를 내놓는다고 발표했다고 한다. 페이스북은 Fb.me라는 서비스를, 그리고 구글은 goo.gl이라는 서비스를 내놓은 것이다. 덕분에 shortener에서 맹위를 떨치고 있는 bit.ly가 바짝 긴장하고 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URL을 줄이는 서비스는 그 전부터 있었을지도 모르겠지만 아마도 트위터가 활성화 된 이후 140자의 한정된 공간에 링크를 걸기 위해 더 활성화가 되었다고 본다. 즉, 트위터의 활성화가 아니라면 아마도 shortener는 지금처럼 그렇게 빛을 보지는 못했을 것..
-
WebOS까지 진출하기 시작한 페이스북의 모바일 욕심. 어디가 끝일까?IT topics 2009. 11. 17. 08:50
페이스북이 웹OS로 드디어 들어가나.. 웹OS라고 해서 특별한 OS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다름아닌 팜 프리와 팜 픽시(Pixi)에 탑재되어있는 웹OS용으로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이 추가되었다는 얘기다. 페이스북이 아이폰과 안드로이드에 이어 팜 프리 계열의 웹OS까지 모바일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고 한다. 현재 웹OS 1.3.1 버전에서 동작하는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은 일단 그 수준이 초창기 아이폰용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수준이라고 한다. 공개된 사진만 봐도 정말 아주 기본적인 기능만 구현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YouTube 비디오를 클릭하면 YouTube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동하고 링크를 클릭하면 웹브라우저가 구동된다. 즉, 기존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은 자체적으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이지만 웹OS..
-
페이스북과 트위터. 비슷하면서도 목표가 다른 SNS의 강자들...IT topics 2009. 11. 10. 21:34
페이스북과 트위터. 이 두 서비스의 공통점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라는 점이다. 지인들과의 연결을 고리로 자신의 영역을 넓히고 그 안에서 소통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 두 서비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리고 이 두 서비스는 이제 SNS 영역에서 가장 파괴력이 있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기존의 인터넷 시장을 뒤흔들 정도로 말이다. 전세계 No.1 SNS, 페이스북 페이스북. 말할것 없는 전세계 No.1 SNS다. 마이스페이스를 누르고 미국에서마저 No.1을 차지함으로 전세계적으로 가장 사용자가 많은 SNS로 성장했다. 그리고 그 성장세는 지금도 계속 이어지고 있다. 참으로 무서울 정도로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대학교에서 대학생들끼리 서로의 연결을 통해 이야기를 나누고 사진이나 동영상을 공유하기 위해 만들..
-
모토롤라의 마지막 자존심, 드로이드! 아이폰 킬러가 될 수 있을까?Mobile topics 2009. 11. 4. 08:17
모토롤라의 마지막 일격이라 불리는 드로이드가 버라이즌 와이어리스를 통해서 10월 30일에 공개되었다. 이미 나오기 전부터 아이폰 킬러라는 이름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왔던 구글 폰인지라 예약 판매된지 2~3일정도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판매량 등이 순풍을 딛고 오르고 있는 중이란다. 모토롤라나 버라이즌이나 아이폰을 대상으로 해서 차별화 마케팅을 하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드로이드 vs 아이폰 확실히 하드웨어적인 차이는 분명하다. 아이폰에 없는 쿼티키패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두께는 아이폰보다 약간 작다. 게다가 300만화소의 카메라를 가진 아이폰에 비해 500만화소의 카메라는 멀티미디어, 특히 사진과 동영상에 있어서 경쟁력이 충분하다. 그리고 아이폰보다 더 크고 고해상도의 터치스크린(3.7인치)을 ..
-
내 지인들의 트위터, 페이스북을 검색한다! 구글 소셜 검색의 의미는?IT topics 2009. 10. 28. 10:16
구글 검색에 소셜 검색이 들어갔다. 자신이 연결되어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내용을 검색해서 보여주는 구글 소셜 검색이 이번에 구글 검색에 추가되었다고 한다. 물론 아직은 실험단계이기에 정식서비스는 아니지만 설정해주면 소셜 검색을 맛볼 수 있다. 구글의 이러한 소셜 검색이 가지는 의미는 3가지로 바라볼 수 있다. 첫 번째는 SNS에서 발생되는 정보의 가치가 웹사이트나 블로그, 뉴스 사이트의 포스트만큼 높아졌다는 것이다. 마이스페이스르 넘어 명실공히 전세계 No.1 SNS로 우뚝서고 있는 페이스북이나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트위터, 북미, 남미 등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는 베보와 같은 SNS에서 나오는 정보의 양은 블로그나 웹사이트에서 생성해내는 정보의 양에 거의 밀접, 아니 넘어서고 있다는 생각..
-
트위터에서 트윗으로 SNS의 미래를 논하다! 페이스북, 트위터의 미래는?IT topics 2009. 10. 6. 11:50
예전에 페이스북과 미투데이, 그리고 트위터에 글들이 모두 같이 올라오는 트위터 공동화(?)에 대해서 조금은 우려하는 내용의 글을 올린 적이 있다. 그리고 트위터에도 비슷한 성격의 트윗을 2건을 날렸다. 며칠 전 트윗이라 찾기 힘들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이거 찾느라 pbtweet+를 적용한 구글 크롬의 twitter 웹을 계속 스크롤해서 찾았다. 정말 찾기 힘들었다. 아래의 모든 트윗도 다 같은 방법으로 찾았으며 맨 앞의 ID를 클릭하면 해당 트윗으로 가도록 링크를 걸어웠다). jjoony1 : 페이스북과 미투데이, 트위터가 모두 하나로 짬뽕되어가고 있는 생각이 든다.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같은 내용을 올리고 twi2me 서비스로 미투데이에 트위터 내용을 자동으로 넘긴다. 그 중심에는 트위터가 있다...
-
서로간의 연동은 좋지만 페이스북, 미투데이의 트위터화는 좀 자제해야..IT topics 2009. 9. 25. 15:00
요즘들어 SNS가 웹세계를 평정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SNS들 중에서 특히 트위터가 SNS 시장을 평정하고 그 기세를 몰아 블로그가 장악하고 있던 웹2.0 세계마저 다 먹어들려고 하고 있다. 해외 서비스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트위터의 성장세는 가히 놀랄 정도다. 보통 해외 서비스들의 무덤이라 불리는 한국 웹시장에서 트위터는 기적이라 불릴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을 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 No.1 SNS는 페이스북이다. 전세계적으로 3억이 넘는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국내의 경우 미투데이라는 국산 SNS가 No.1 SNS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트위터는 이들을 넘어가고 있다. 적어도 한국에서, 그리고 내 주변에서 보면 그렇다. 나 역시 트위터를 많이 사용하면서 블로그에 할애하는 시간이나 ..
-
프랜드피드를 인수한 페이스북. 도대체 무엇을 노린 것일까?IT topics 2009. 8. 14. 08:50
며칠 전 이야기인지라 그닥 새로울 것이 없는 소식이기는 하지만 트위터를 통해서 재미난 뉴스를 하나 보게 되었다. 페이스북이 프랜드피드를 인수했다는 소식이다. 페이스북과 프랜드피드는 어떻게 보면 같은 SNS라고 봐도 될 정도로 어찌보면 비슷하고 어찌보면 좀 다른 SNS였지만 이제는 하나의 가족이 되었다고 하니 인터넷의 SNS 판도에 꽤 큰 파장을 몰고올 듯 싶다. 페이스북은 이제는 사용자수가 2억 7천만이 넘는 명실공히 전세계 No.1 SNS다. 미국에서 마이스페이스를 제치고 거의 전세계에서 No.1 SNS로 자리매김을 한 서비스다. 그런 페이스북이 프랜드피드라는 같은 SNS 계열의 서비스를 인수했다는 것이 왜 이렇게 이슈가 된 것일까? 프랜드피드. 듣보잡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SNS에 대해서 나름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