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산업정보포탈
-
공인인증서 강제 의무 폐지, 공인인증서의 의미와 그 이후에 대해서...Security 2014. 6. 15. 09:00
아래 글은 공인인증서 강제 의무가 폐지된 이후에 다른 곳에 기고하기 위해 적은 글인데 기고 자체가 무산되어서 그냥 지우기도 아깝고 해서 공개하는 글임. 그러니 시기와 관점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드리니 참고하길 바람. 최근 공인인증서에 대한 의무 탑재 폐지가 이뤄진 이후 다양한 인증 방식 및 결제 방식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또 논란도 뜨겁게 일고 있다. 오랫동안 한국 IT의 한 축으로 자리잡아왔던 공인인증서 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재점검 및 인증, 결제 수단의 다양화 확보가 필요하다는 얘기가 각계각층에서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수년전부터 공인인증서의 폐지를 주장했던 오픈넷 진영과 공인인증서의 유지를 주장하고 있는 금융감독원 및 여러 업체, 기관들의 싸움도 이제는 슬슬 마무리가 되어..
-
생산 방식과 유통 방식의 일대 혁명을 가져올 3D 프린팅 기술에 대해서...IT topics 2013. 9. 26. 07:36
"생산 및 유통에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최근 한 전문가가 이 기술의 발전을 두고 한 이야기다(참고로 제가 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그렇게 유명하지도 않고요 ^^). 최근들어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생산과 유통의 전 과정에 또 한번의 산업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기술. 다름아닌 3D 프린팅 기술을 이야기 하는 것이다. OA 환경의 혁명을 가져온 프린터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프린터는 집이나 사무실에서 종이나 혹은 뭔가를 찍어낼 수 있는 물체 위에 잉크 등을 통해서 찍어내는 이른바 2D 프린터를 많이 생각한다. 실제로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기기이며 사무실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OA 기기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먹지를 활용하는 도트매트릭스 프린터로부터 시작하여 잉크를 분사해서 좀 더 고..
-
특정 영역에서 애용하던 가상화 기술, 스마트 디바이스의 듀얼OS를 통해서 엔드유저에게까지 진출하게 되는데..Mobile topics 2013. 8. 14. 08:00
최근 클라우드 시대에 이름을 높이고 있는 기술, 혹은 아이템이라고 한다면 몇가지를 둘 수 있을 듯 싶다. 대표적인 단어로는 빅데이터가 있을 듯 싶고 이 빅데이터 뒤에 늘 따라다니는 하둡이라는 기술도 클라우드 시대에 그 이름을 높이고 있는 단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또 하나의 단어가 그 이름을 높히고 있으니 다름아닌 가상화다. 클라우드라는 세계는 여러 서버나 장비가 하나의 가상화를 통해서 통합된 하나의 플랫폼으로 만들어지고 그 만들어진 플랫폼을 통해서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 즉 빅데이터가 생성되어 처리되는 세계라고 봐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이렇듯 클라우드 세계에서는 빅데이터와 하둡, 그리고 가상화라는 단어는 그 가치가 점점 높아져가고 있는 중이다. 그런데 이 가상화가 또 한번 다른 영역에서 이름을 높..
-
클라우드 컴퓨팅 시대에 사무실의 업무패턴을 바꾸고 있는 웹오피스에 대해서...Cloud service 2013. 7. 11. 09:11
업무의 패턴이 바뀌어가고 있다. 산업혁명이 일어난 이래로 수많은 업무 패턴이 사무실을 거쳐갔고 그 중에서 지금까지 남아있는 업무 패턴도 있지만 사라져간 업무 패턴도 많다. 우리나라만 봐도 과거 조선시대나 그 이전에는 업무의 모든 전달 및 기록을 다 종이로 진행했다. 물론 지금도 그런 패턴이 남아있기는 하지만서도. 이런 업무패턴은 어떻게 보면 6.25를 지나 1980년대까지 이어져왔다고 보여진다. 물론 70년대부터 일부 산업에서는 산업용 컴퓨터를 이용한 업무가 진행되기는 했지만 일부 분야에 일부 사람들에게만 적용되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80년대에 본격적으로 퍼스널 컴퓨터(PC)가 보급되고 산업 각 분야에 컴퓨터가 실전투입되기 시작하면서 업무의 패턴이 바뀌게 된다. 시대에 따라서 변해가는 오피스 환경 ..
-
진정한 보안 강화를 원하는가? 보안 시스템에 투자하는 만큼 보안 교육에 투자하면 된다.Security 2013. 6. 7. 10:29
최근 대한민국은 해킹관련 이슈로 몸살을 앓고 있다. 3월 20일에 방송사와 은행권의 전산망을 마비시켜서 대한민국을 혼란으로 빠뜨린 3.20 사이버테러에 그 이후 터진 날씨닷컴 사태, 그리고 지금도 안 알려지고 있지만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는 수많은 DDoS 공격과 사이버테러로 인해 대한민국은 말 그대로 해킹에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과거에 비해 해킹사건이 빈번하게 된 것은 그만큼 IT 산업이 생활 곳곳에 깊게 들어왔다는 얘기로도 해석할 수 있다. 기업에서 일을 할 때도 PC와 인터넷, 오피스 등이 없으면 업무 진행이 안 된다. 우리네들 생활 속에서도 인터넷 뱅킹이나 온라인 쇼핑 등 필수는 아니더라도 편의를 위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IT 서비스들은 많다. 없어도 생활하는 데는 ..
-
구글 글래스와 아이워치를 통해서 본격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는 입는 컴퓨터 시대Mobile topics 2013. 5. 16. 08:00
요즘 여러 가지로 핫(Hot)한 아이템이라고 생각되는 IT 아이템이라고 한다면 아마도 입는 컴퓨터가 아닐까 싶다.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 만화에서나 나올만한 이야기가 실제로 구현레벨까지 도달하고 있다는 얘기다. 입는 컴퓨터는 예전부터 이야기가 나오고 있었지만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실제로 우리 눈에 보이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지금 나오고 있는 입는 컴퓨터(Wearable PC)의 수준도 우리가 과거 영화나 소설, 만화에서 생각했던 수준보다는 아직까지는 못 미치는 수준이 사실이기도 하고 말이다. 하지만 점점 과거 우리가 상상했던 내용들이 현실화 되어가고 있다는 것은 무척이나 고무적인 일임은 분명하다. 입는 컴퓨터가 본격적으로 이슈화가 된 것은 아마도 애플이 아이워치(iWat..
-
사용자의 금전적, 정신적 피해를 주는 파밍, 그 방식과 예방 방법은?Security 2013. 4. 5. 08:24
최근 TV 뉴스나 언론에서 자주 오르내리고 있는 단어가 있다. 파밍(Pharming)이라는 단어인데 해커가 어떤 사용자의 PC에서 개인정보 및 금융 관련 정보를 불법적인 방법으로 취득해서 그 정보를 갖고 해당 사용자에게 금전적인 피해와 정신적인 피해를 주는 해킹 방법을 뜻한다. 최근 이 파밍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다. 도대체 파밍은 어떤 해킹 방법이며 어떻게 예방해야 하고 만약 파밍에 당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파밍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파밍이 어떻게 이뤄지는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파밍은 사용자가 인터넷 뱅킹 서비스나 증권 관련 서비스를 이용하려 할 때 해커가 만든 원래의 서비스(인터넷 뱅킹이나 증권 관련 서비스의 원래 사이트)와 비슷하게 만든..
-
과거에는 찬사를, 지금은 고민을 주는 인터넷 기술이 된 ActiveX와 Java.IT topics 2013. 3. 11. 12:00
한국과 미국, 양쪽에서 지금 웹과 관련된 취약점 공격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무슨 이야기인가 하면 한국은 ActiveX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고 미국은 Java(자바)의 문제점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다는 얘기다. ActiveX와 Java는 언뜻 보면 별로 공통점이 있어 보이지 않지만 주로 문제가 되는 환경이 웹이라는 점, 그리고 양쪽 나라에서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술이라는 점이 공통점이다. 뭐 많이 사용하는 만큼 문제점도 많이 생기며 골치도 많이 아파오는 것은 어느 것이든 간에 다 마찬가지인 듯싶다. 최근 IT 세계에서 핫이슈 중에 하나가 다름 아닌 Java의 취약점을 노리는 해킹 이슈다. Java의 취약점은 매번 나오고 있지만 패치가 이뤄져서 보강이 되기 전에 공..
-
서비스에서 플랫폼으로의 진화. 점점 작아지고 있는 플랫폼의 개념을 이해한다면 과거보다는 쉽게 플랫폼에 접근하기가 쉬울 듯...IT topics 2013. 2. 18. 07:26
요즘들어 플랫폼이라는 것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을 하게 된다. 아마도 IT 산업에 있어서 여러가지 화두들이 있겠지만 모든 서비스 업체들이 대부분 만들고 싶어 하는 것이 바로 이 플랫폼이 아닐까 싶다. 재미난 것이 이 플랫폼이라는 것이 코에 걸면 코걸이고 귀에 걸면 귀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 워낙 의미가 크고 여기저기 갖다 쓸 수 있기 때문에 개념은 어느정도 이해가 되지만 실질적으로 나오고 있는 결과물은 제각각인 것이 플랫폼이 아닐까 싶다. 우리가 전통적으로 IT 세계에서 알고 있는 플랫폼이라는 것도 참 여러가지일테니까 말이다. 그 모든 것들을 다 아우르는 것은 아무래도 내 개인적인 역량으로는 무리인 듯 싶고, 그냥 내가 생각하는 플랫폼에 대해서 조금 얘기해볼까 한다. 예전에 플랫폼이라고 하면 O..
-
검색엔진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소셜 검색이 뜨는데.. 페이스북의 그래프 서치를 통해서 본 소셜 검색의 의미와 앞으로의 변화는?IT topics 2013. 2. 7. 08:00
최근 IT 세계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키워드로 꼽자면 모바일, 클라우드, 그리고 소셜이 아닐까 싶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가 활성화되고 앱스토어나 구글 플레이, T스토어, 삼성앱스와 같은 에코시스템이 활성화되면서 자연스럽게 모바일 단말기 및 서비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많아지기 시작했다. 또한 무선 인터넷이 활성화되고 모바일 환경이 좋아지면서 물리적인 공간에 대한 제약을 벗어나고자 하는 바람으로 클라우드 솔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웹 환경이든 아니면 다른 환경이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서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저장하는 등의 클라우드 기본 개념은 국내에서는 그린 컴퓨팅이라는 이슈와 맞물려서 더 많은 관심을 끌고 있지 않는가 싶다. 그리고 소셜이라는 키워드가 핫이슈로 떠오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