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산업정보포탈
-
인터넷 보안에 대한 영원한 숙제. ActiveX와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Security 2013. 1. 14. 07:58
이미 대선은 끝났지만 대선 기간 중에 몇몇 대선후보가 내세웠던 IT 공약들 중에 ActiveX 줄이기와 공인인증제도 폐지가 있었다. 이 공약이 나오기까지에는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그 배경으로 깔려있는데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인인증제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인인증서는 국제 표준처럼 사용하고 있는 SSL 방식이 아닌 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파이어폭스,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에서 지정하고 있는 서버 인증서 저장 공간이 아닌 별도의 공인인증서 저장 공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암호화 방식도 SSL에서 사용하고 있는 AES 방식이 아닌 국내 암호화 알고리즘(SEED, 혹은 ARIA 등)을 이용하는 등 오로지 국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국내 표준방식이다. 그렇기 때문에 해외에서 만..
-
공인인증서와 ActiveX, 왜 지금까지 이렇게 이어져 왔을까?Security 2012. 12. 20. 07:34
최근 IT업계의 화두는 공인인증서, 그리고 ActiveX가 아닐까 싶다. 대선기간 중에 대선후보들이 공인인증서 폐지와 ActiveX 축소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것이 이 이슈를 수면위로 떠오르게 만들었지만 실제로는 그 전부터 공인인증서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 그리고 ActiveX에 대한 불편함과 웹표준, 웹호환성에 대한 문제제기가 계속 있어온 것이 사실이다. 웹표준이 트랜드가 되고 모바일 환경이 점점 사용자들의 메인 환경이 되어가고 있는 요즘 어떻게 보면 시대에 뒤떨어진 구시대 산물처럼 보이는 공인인증서와 ActiveX가 왜 지금까지 지속되어 온 것일까? 간략하게 살펴볼까 한다. 인터넷 뱅킹이나 쇼핑몰 사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수많은 ActiveX 모듈을 설치하게 된다. 잘 살펴보면 대부분이 보안 관련 모듈..
-
태블릿 PC의 현재의 소비성 도구로서의 제한적인 활용성 및 생산성 도구로서의 확장Mobile topics 2012. 11. 27. 08:30
스마트폰 시장에 이어 태블릿 PC 시장이 열리기 시작했다. 이제는 성장단계에 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마트폰 시장에 비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던 전문가들의 예측이 보기 좋게 빗나가고 있다. 하지만 사용 패턴은 기존 스마트폰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게 현실이다. 이것을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태블릿 PC 시장 2010년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아이패드는 태블릿 PC 시장의 본격적인 시작과 동시에 폭발적인 성장의 불씨를 지핀 결과를 가져왔다. 아이패드가 나온 뒤에 삼성의 갤럭시 탭 시리즈들이 줄줄이 나오기 시작했고 와콤 센서를 탑재한 펜을 지닌 갤럭시 노트 10.1이라는 녀석까지 나오게 되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경우 기존 휴대폰 메이커들이 휴대폰을 만들던 ..
-
모바일 시장의 역사와 스마트폰의 소비성 도구로서의 제한적인 활용성Mobile topics 2012. 11. 19. 08:22
요즘은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들고 다닌다. 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태블릿PC도 같이 들고 다닌다. 최근 들어 이런 스마트 기기를 지니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본격적인 스마트 시대라고 할만하다. 그리고 이것들을 나름 잘 활용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사용패턴들이 단조롭고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도 그렇고 태블릿PC도 그렇고, 혹은 노트북도 들고 다니는 경우가 많은데 그 사용도 그렇고, 지금의 패턴 그 이상으로 활용이 가능한데 그렇게 사용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들을 어떻게 더 활용할 수 있을까? 대한민국 모바일 시장의 역사와 그 흐름 1990년대에 휴대폰 전성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하여 2000년대 중반까지는 이른바 피쳐폰이라 불리는 휴대폰의 전성시대가 진행되었다. 어떻게 보면 대한민국의 모바일 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