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
애플, 구글로 인해 미래를 먹혀버린 한국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산업. 글로벌 업체로의 식민지화는 이미 시작이 되었는데..Mobile topics 2012. 2. 9. 08:30
전자신문에 읽어볼만한 기사 하나가 올라왔다. "[긴급진단] '생태계 식민지' 시작됐다 애플·구글 리스크 공화국"이라는 조금은 자극적인 제목의 기사인데 내용을 보면 애플의 앱스토어와 구글의 안드로이드 마켓에 국내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잠식당하고 애플과 구글의 횡포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다는 내용이다. 즉, 대한민국의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시장이 구글과 애플에 의해서 좌지우지되고 있는 현실이 비판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 글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직접 현업에서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하는 입장에서 보면 애매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최근 애플은 앱스토어에서 휴대폰 내 결재방식을 채택한 앱들에 대한 심의를 강화했다. 즉, 신용카드 이외의 결재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이고 불응할 때에..
-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를 한데 모아두고 보니 삼성의 스마트폰 역사가 대충 보이는 듯 싶은데..Mobile topics 2012. 2. 2. 09:27
요즘 IT 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애플과 삼성의 법정공방 뉴스가 꽤 나온다. 특허에 관련된 부분도 그렇고 디자인에 관련된 부분도 그렇고 정말 많이 나온다. 어찌보면 애플과 구글의 싸움이어야 하는데 구글 대신에 삼성이 그 짐을 다 짊어지는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 얘기인 즉, 삼성이 이제는 애플을 위협할 정도로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는 과거에 윈도 모바일로 PDA를 만들었을 때의 삼성이 아니라는 얘기다. 아이폰의 애플마저 두렵게 할 존재가 되었다. 물론 삼성에 대해서 적개심을 갖고 있는 사람들도 꽤 존재한다. 삼성 역시 마케팅에 무리수를 둬서 꽤나 안티를 많이 양산해낸 것도 사실이다. T*옴니아2 사건은 두고두고 반삼성쪽에서 회자되는 이야기며 지금까지 계속 삼성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
애플에 비판적인 나, 하지만 그렇게 보이게는 너무 애플 제품을 많이 쓰고 있는 나를 보면서...IT topics 2012. 1. 31. 08:10
이 블로그에서 여러번 내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이나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등을 소개했었다. 사용기를 쓰는 목적으로 사용했던 제품들도 있었고 메인으로 사용하고 있는 제품들도 있었다. 그 중에서 애플 제품들만 한번 모아봤다. 지금 내가 사용하고 있는 애플 제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하고 말이다. 뭐 이 포스트를 보는 분들 중에서 '갑부 인증 하려고 하는구먼'하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지도 모른다(대충 떠오르는 사람이 몇 있다 -.-). 그냥 심심해서 한번 모아서 찍어본 것이다. 갖고 있는 애플 제품들을 한 곳에 다 모아봤다. 가운데에는 2011년 하반기에 나온 27인치 아이맥이 자리잡고 있고 우측으로는 마찬가지로 2011년 하반기에 나온 11인치 맥북에어가 있다. 우측으로는 애플의..
-
다양해진 모바일 OS. 과연 제조사는 단일 OS 정책이 유리할까? 아니면 멀티 OS 정책이 유리할까?Mobile topics 2012. 1. 27. 08:30
요즘 들어 스마트폰의 모바일 OS가 다양해지는 것을 본다. 많이도 나왔다. 또 나온 만큼 사라지기도 한다. 초창기 스마트폰용 모바일 OS는 MS의 윈도 모바일과 심비안 뿐이었으리라. 물론 군소 모바일 OS도 있었지만 나름 스마트폰(그 당시에는 PDA폰이라는 말을 더 많이 썼지만)용 모바일 OS라 불릴만한 것은 이 두가지 정도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애플이 iOS를 기반으로 아이폰을 내놓으면서 모바일 OS 경쟁에 불을 붙이더니 구글이 안드로이드를 내놓으면서 본격적으로 모바일 OS 경쟁이 시작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은 이미 잘 알려진 모바일 OS만 해도 꽤 된다. 가장 많이 퍼져있는 모바일 OS로 구글의 안드로이드가 있고 애플 모바일 단말기에만 적용되지만 그래도 모바일 OS 전쟁의 시작을 알린 iOS가 ..
-
위기의 MS. 과연 마케팅의 축소와 부서 슬림화만으로 현재의 위기를 해결할 수 있을까? 좀 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할텐데..IT topics 2012. 1. 16. 07:55
잘나가던 회사가 어려워지면 가장 먼저 감원이 되는 부서(혹은 팀)는 어디일까? 회사의 성격, 주력 제품 등 상황에 따라 틀리기는 하겠지만 보통 IT 기업이든 제약회사든 기술이 있는 기업이라면 영업, 혹은 마케팅 팀이 감원 대상이 되곤 한다. 그것도 영업보다는 주로 마케팅 팀(회사 규모에 따라 같이 하는 경우도 다반사지만)이나 부서가 감원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영업의 경우 회사에 일꺼리를 주곤 하지만 마케팅, 혹은 PR 담당의 경우 회사에 직접적인 이득을 가져온다고 보는 경영진들이 많지 않기 떄문이라는게 내 생각이다.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느냐 하면 최근 뉴스에서 MS가 마케팅의 감원, 슬림화를 추진한다는 소식이 나왔기 때문이다. 뉴스를 보아하니 MS가 애플과 구글에 밀려서 마케팅의 감소 및 모든 부서..
-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의 국내 스마트폰 업그레이드 문제는 안드로이드 세계가 갖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점에 그 원인이 있다.Mobile topics 2011. 12. 30. 08:30
최근 국내 제조회사들이 구글의 새로운 모바일 플랫폼인 구글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 모델 리스트들을 발표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ICS를 업그레이드할 스마트폰 모델들을 발표했는데 삼성전자는 일전에 포스팅했던대로 갤럭시 S2,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10.1, 갤럭시 탭 8.9 LTE 등 6개의 모델에 대해서 ICS 업그레이드를 하겠다고 밝혔고 LG전자는 옵티머스 LTE, 프라다폰 3.0, 옵티머스 2X, 옵티머스 솔, 마이터치 Q, 이클립스 등을 업그레이드 한다고 밝혔다. 3분기에는 옵티머스 3D, 옵티머스 블랙, 옵티머스 빅, 옵티머스 Q2, 옵티머스 EX 등을 ICS로 업그레이드 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문제는 저 ..
-
갤럭시 시리즈의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 업그레이드 계획 중 왜 갤럭시 S, 갤럭시 탭은 제외가 되었을까?Mobile topics 2011. 12. 22. 08:30
이번에 삼성전자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 4.0 아이스크림샌드위치(ICS) 업그레이드에 대한 발표를 했다고 한다. 업그레이드 대상으로 나온 모델이 갤럭시 S2,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탭 10.1, 갤럭시 탭 8.9 LTE, 갤럭시 노트 등 총 6개의 모델이다. 삼성은 이 모델들을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유럽부터 업그레이드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그런데 발표된 모델들 중에서 갤럭시 S와 갤럭시 탭(7인치)이 빠져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갤럭시 S와 갤럭시 탭은 둘 다 안드로이드 2.3 진져브래드로 업그레이드가 진행된 상태다. 둘 다 안드로이드 2.1 이클레어가 탭재된 상태로 출시되어서 2.2 프로요에 이어 2.3 진져브래드까지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참고로 아..
-
중국 편의주의, 철저한 경제논리에 밀린 애플의 한국 지원Mobile topics 2011. 11. 21. 15:46
최근들어 애플이 중국에 너무 저자세로 나오는 것이 아니냐라고 하는 불만들이 터져나오고 있다. 옛날에 중국에 들어가는 아이폰에 WiFi를 뺀 상태로 들어간다고 하는 소문(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지만)도 그렇고 이번에 앱스토어에서 중국 위안화로 받는다는 얘기도 그렇고. 중국 편의주의가 좀 심하다는 얘기가 많이 흘러나온다. 한국에서 애플 서비스를 받아본 사람 입장에서 보면 정말로 속타는 이야기다. 그런데 철저하게 자본주의, 시장주의에 맞춰져 있는 미국 기업들은 이런 국내의 여론과는 상관없이 자사의 이익에 맞으면 간도 쓸게도 다 빼주는 것이 생활화(?) 되어있다는 생각이 든다. 구글이 중국에 진출하기 위해 중국의 검색 검열을 허락한 것도 다 그런 이유다(물론 지금은 중국에서 빠지고 홍콩에서만 서비스하고 있지만..
-
아이폰4S 국내 전파인증 통과와 국내 출시에 대하여. 과연 올해 말, 내년 상반기에 웃을 수 있는 스마트폰은?Mobile topics 2011. 11. 1. 16:11
아무리 기대 이하로 나왔다고 욕을 바가지로 먹고 있어도 아이폰은 아이폰인듯 싶다. 이번에 아이폰4S가 국내 전파인증을 받았다는 뉴스가 나옴과 동시에 언론과 인터넷에서 과연 국내 출시일은 언제쯤일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있으니 말이다. 이미 미국에서는 예상외의 판매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국내에도 몇몇 사용자들이 미국에서 사서 갖고와서 직접 전파인증을 받고 개통해서 쓰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아직까지 아이폰에 대한 사용자들의 관심은 높고 뜨거운 편이다. 그리고 이전 포스트에서 아이폰4S에 대해서 성능상으로 그렇게 크게 실망할 필요가 없다고 썼었고 나 역시 나름 관심을 갖고 있는 폰이기도 하다(그런데 구입할지는 아직 모르겠다. 이미 갖고 있는 녀석들을 처분하는 것도 문제고 말이다). 만약 구입한다면 8..
-
스티브 잡스의 유작이 되어버린 아이폰4S. 기대만큼 안나왔다고 그렇게 실망할 필요가 없는 제품인데..Mobile topics 2011. 10. 27. 11:50
이번에 나온 아이폰4S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을 달린다. 뭐 극과 극까지는 아니지만 실망감을 표출하는 사람들도 많고 그런대로 쓸만하지 않겠느냐라고 기대하는 사람도 주변에서 많이 봤다. 어떤 친구는 아이폰3Gs를 갖고 있으면서 아이폰5를 기다리느라 아이폰4로 가지 않았는데 기다리던 아이폰5는 안나오고 아이폰4S가 나왔다고 거의 울다시피하면서 나한테 하소연을 했는데 뭐 내가 아이폰 신제품을 내놓는 것도 아니고 뭐 애플의 계획대로 발표한 것인데 왜 이리도 말들이 많은지 모르겠다. 그만큼 기대가 많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아이폰4S에 대해서는 이미 이 블로그에서도 몇번 다뤘기 때문에 자세하게는 쓰지 않겠지만(여기 참조) 과연 그렇게 욕을 얻어먹어야 할 정도의 스마트폰일까 하는 데에는 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