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
-
[갤럭시 S5 광대역LTE-A] 출근이나 퇴근할 때 움직이면서 영화를 다운로드하고 또 시청을 할 수 있다면..Review 2014. 7. 28. 08:00
이번에 나온 갤럭시 S5 광대역LTE-A는 기존 LTE보다 3배나 더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고 알려졌다. 이는 통신망이 그만큼 발전했고 그에 맞춰서 스마트폰도 그 속도에 맞출 수 있도록 성능이 더 올라갔음을 의미한다. 속도가 더 빨라졌다는 것은 그만큼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얘기고 더 빨리, 그리고 더 많이 컨텐츠를 볼 수 있다는 얘기일 것이다. 특히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경우에는 더욱 그럴 것이고 말이다. 갤럭시 S5 광대역LTE-A는 기존 갤럭시 S5의 Full HD보다 더 높은 해상도(WQHD)를 보여준다. 그만큼 더 고해상도로 더 깔끔한 동영상을 볼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런데 이게 과연 어떤 의미를 줄까 생각을 좀 해봤다. 출근할 때나 퇴근할 때 스마트폰을 보면서 이동한다. 뭐 나 뿐만이 ..
-
[삼성 SSD 840 EVO] 더 빠른 PC 작업 환경을 원한다면?Review 2014. 5. 13. 16:18
요즘 나오고 있는 PC들은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태블릿PC는 말할 것도 없고 -.-) SSD를 탑재하고 나온다. HDD에 비해서 속도가 상당히 빠르기 때문이다. 아쉬운 부분이라고는 역시나 아직까지는 용량적인 부분인데 최근 점점 가격하락을 거듭하고 있는 SSD 시장의 상황을 지켜본다면 조만간 지금의 1TB급 HDD에 걸맞는 SSD를 손쉽게 구입해서 설치할 수 있는 시대가 오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여하튼간에 SSD의 존재만으로도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 PC 사용 환경의 쾌적함은 이전보다 2배 이상 좋아짐은 분명한 사실인 듯 싶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제품은 삼성에서 나온 SSD로 840 EVO다. 예전에 840 Pro를 사용해본 적이 있는데 속도에 상당한 만족감을 얻었던 기억이 있다. 그 때는 1..
-
[KT 광대역 LTE 검증] 출근, 퇴근 때의 지하철역에서 측정한 광대역 LTE 속도는?Review 2014. 3. 18. 07:47
최근 KT가 광대역 LTE 시스템을 구축하고 타사 LTE보다 더 빠름을 내세우고 있다. 과연 얼마나 더 빨라졌는데 확인할 필요도 있고 해서 KT 광대역 LTE 검증단에 들어가서 얼마나 속도가 빨라졌는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내 경우에는 주로 내 출퇴근 동선에서 LTE 측정을 진행했으며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역 중심으로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역으로 측정 범위를 잡았다. 앞서 얘기했던 대로 내 경우에는 출퇴근을 기준으로 출근 때와 퇴근 때를 나눠서 진행했다. 먼저 측정 단말기를 받은 때가 회사에서 있었을 때였기 때문에 퇴근 시 내 퇴근 루트에 있는 역을 중심으로 측정을 진행했으며 다음날 출근할 때 출근 루트에 있는 역을 중심으로 측정을 진행했다. 퇴근 때의 측정 역과 출근 때의 측정 역은 서로 다르..
-
와이기그(WiGig)를 통한 무선 통신의 미래.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와이기그 인증을 통해서 와이기그의 확대를 시도하다..IT topics 2013. 9. 12. 15:01
2013년 9월 어느날(^^) 와이파이 얼라이언스(WiFi Alliance)에서는 와이기그(WiGig) 인증에 대한 블로거 간담회를 개최했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간담회는 작년에 있었던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간담회 이후에 1년만인 듯 싶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상호 인증 확장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최근에 합병한 와이기그 얼라이언스의 WiGig 프로토콜에 대한 인증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자리로 WiGig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자리였다. 와이파이 얼라이언스는 WiFi를 통한 끊임없는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전 세계 주요 기업들이 참여한 국제 비영리 산업협회며 2000년 3월부터 WiFi 인증 프로그램을 진행해왔다. 이날 WiGig 인증에 대해서 발표한 사람은 와이파이 얼라이언스의 그..
-
[갤럭시 S4 LTE-A] 기존 LTE보다 더 빠른 속도감을 원한다면? 국내 최초의 LTE-A 적용 단말기, 갤럭시 S4 LTE-AReview 2013. 8. 8. 16:53
이번에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갤럭시 S4의 형제 모델인 갤럭시 S4 LTE-A. 기존 갤럭시 S4 시리즈들이 LTE를 지원한 것에 비해 갤럭시 S4 LTE-A(이하 S4 LTE-A)는 LTE Advanced(이하 LTE-A) 기술이 적용된 모델로 기존 LTE에 비해 속도가 더 빠르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론적으로 LTE-A는 이동하는 상태에서는 100MBps를, 정지하는 상태에서는 1GBps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다만 이론은 이론일 뿐이고 실제는 그보다는 조금 못하게 나올 것이라는 것이 통신관계자들의 이야기이기는 하다. 어찌되었던 이론상 최대 75MBps까지 나오는 현재의 LTE보다는 속도면에서 더 빠른 것이 LTE-A며 이 기술이 적용된 국내 출시 첫번째 단말기가 이번에 출시된 S4 LTE-A다...
-
[840 Pro Series] 좀 더 빠른 성능을 원한다면? 삼성 SSD 840 Pro Series의 간단 사용기Review 2013. 7. 16. 08:00
최근들어 데스크탑이든 노트북이든, 아니면 외장형 저장장치든 빠른 속도를 느끼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를 지니는 HDD도 좋지만 SSD(Solid State Drive)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과거 가격이 넘사벽이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은 많이 저렴해져서 대중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정도인데 128GB나 256GB 정도는 이제는 큰 부담없이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듯 싶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SSD는 삼성에서 나온 840 프로 시리즈다. 삼성의 SSD 시리즈 중 840 시리즈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저가형 모델인 840 시리즈가 있고 고급형 모델인 840 프로 시리즈가 있다. 밑에서 소개할 제품은 840 프로 시리즈로 사용기를 진행하는 이 시점에서는 이미 3개월정도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을 먼저 밝..
-
[Extreme SSD] 빠른 속도와 적절한 용량으로 노트북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녀석. SanDisk의 240GB Extreme SSD.Review 2012. 6. 7. 08:00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 사용상 체감속도를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HDD를 빠른 속도의 HDD로 구비하는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른바 RPM이 높은 HDD를 장착하면 체감 속도는 빨라진다. 경험상 그렇다. 과거에는 5000 RPM대 HDD도 빠르다고 여겼는데 7200 RPM대 HDD가 나왔고 10000 RPM이 넘는 HDD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고용량에 속도까지 빨라지는 덕분에 사용자들은 좀 더 쾌적한 PC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과거보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무리 HDD가 빨라졌다고 하더라도 역시나 SSD만큼은 아니다. 빠른 속도와 더불어 팬이 돌아가는 소리없이 조용히 돌아가는 SSD의 매력은 한번 맛보면 딴 것을 못쓸 정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SSD는 정말 매력적인 ..
-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에 꼭 필요한 속도를 만족시켜주는 LTE. 하지만 용량을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현재의 LTE 요금제로 클라우드 시대가 밝을 수가 있을까?Cloud service 2012. 3. 16. 09:20
요즘 IT 업계의 화두는 단연 클라우드와 LTE일 것이다. 무선 인터넷 속도의 혁신이라 불리는 LTE가 본격적으로 활용될 때에 클라우드 서비스 역시 그에 맞춰서 발전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으며 나 역시 그런 예상에 어느정도 동감하고 있다. 지금의 3G 데이터망에서도 느리기는 하지만 그런대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잘 활용하고 있으며 WiFi망이 잘 갖춰져있기 때문에 속도의 보완을 어느정도 갖추면서 쓰고 있지만 WiFi급 속도가 나올 수 있는 LTE가 보편화되면 어디서든지 클라우드 서비스들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LTE와 클라우드 서비스는 서로 상호 도움을 주는 관계라고 보면 될 듯 싶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도 이렇게 얘기하고 이통사들도, 서비스 제공 업체들도 이렇게 얘기한다. LTE가 지금의 3G처럼..
-
스마트폰에서의 쿼드코어 싸움. 과연 코어 수가 많다고 해서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지는 것일까?Mobile topics 2012. 3. 14. 08:30
이번 MWC 2012에서는 쿼드코어 스마트폰이 4종이 나왔다고 한다. HTC의 One X와 LG의 옵티머스 4X, ZTE의 ZTE Era, 화웨이의 어센드 D 쿼드 등 4개의 쿼드코어 스마트폰이 MWC 2012를 통해서 데뷔를 했으며 재미난 것은 HTC, LG, ZTE는 엔비디아의 테그라3를 탑재했고 화웨이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K3V2를 탑재했다는 것이다. 늘 그렇듯 엔비디아와 퀄컴의 AP 코어 싸움에서는 늘 엔비디아가 앞서는 듯 싶기는 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화웨이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K3V2도 놀랍다. 중국 제품의 경우 주로 부품을 사와서 조립만 하는 경우가 많은데(뭐 대부분의 제조업체들이 다 그렇지만) 화웨이는 스마트폰의 핵심이라 여겨지는 AP(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모바일 CPU라고 보면 됨)를..
-
LTE! 확실히 빨라진 속도. 하지만 부족하면서도 불안정한 망 상태는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있는데.Mobile topics 2011. 12. 4. 09:00
TV CF를 통해서 SKT의 LTE와 LG U+의 LTE에 대한 CF들이 아주 불을 뿜고 있다. 게다가 곧 KT도 LTE 서비스를 실시하려고 하고 있으니 국내 이통3사 모두가 LTE에 목숨을 거는 진검승부를 하게 될 듯 싶다.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LTE에 대한 이통사들의 전쟁이 시작될 듯 싶다. 이통사들 뿐이겠는가? 삼성, LG, 팬택 등의 국내 제조사들은 물론이고 HTC와 같은 해외 제조사들도 LTE 스마트폰에 대해서 전쟁을 불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LG의 옵티머스 LTE나 삼성의 갤럭시 S2 LTE, 갤럭시 S2 HD LTE, 갤럭시 노트, 갤럭시 탭 8.9, 그리고 SKY의 베가 LTE 등 수많은 LTE 스마트폰들이 나와서 아주 장난 아니게 싸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이통사와 제조사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