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시업
-
Open API가 갖는 의미와 웹 서비스의 가치를 높이는 Open API 에코시스템IT topics 2015. 8. 28. 09:47
API의 개념과 웹 서비스에서의 Open API 개발자라면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라는 단어에 익숙할 것이다.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사용하는 컴퓨터 언어의 형태로 개발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를 API라고 부른다. 즉, 개발자는 다양한 컴퓨터 언어가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만드는데 C나 C++, Java와 같은 컴퓨터 언어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들이 API들이고 윈도 어플리케이션을 만들 때 많이 사용하는 MFC와 같은 것도 API라고 할 수 있다. Java 프로그래머의 경우 스프링과 같은 프레임워크도 API들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즉, API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된다(개발툴과는 좀 다른 개념으..
-
구글의 구조조정이 시작되었다. 서비스, 인원 양쪽 모두에서...IT topics 2009. 1. 16. 12:48
미국시간으로 수요일 저녁, 구글은 구글 블로그를 통해서 이제 더이상 지원하지 않을, 좀 잔인하게 말하자면 더이상 서비스를 하지 않겠다는 구글의 서비스들을 발표했다. 기존의 다른 구글 서비스들과 중복되는 기능이 많은 서비스들이 그 대상이 되고 있는데 좀 아쉬운 서비스들이 있어서 안타까울 뿐이다. 구글 비디오(Google Video)의 경우 언젠가 YouTube로 인해 구글이 죽일 것이라고 예상은 했었는데 역시나 버리기로 한 모양이다. YouTube가 급격히 성장하면서 구글 비디오에 업로드되는 동영상이 엄청나게 줄었다는 얘기는 익히 알고있기에 이러한 결정에 그닥 놀라지도 않을 뿐이다. 구글 비디오의 영역은 이미 전세계 동영상 플랫폼의 맹주역할을 하고 있는 YouTube에 넘어갈 것이다. 뭐 구글 비디오가 사..
-
구글지도 파트너데이 참석 후기IT topics 2008. 12. 11. 19:35
목요일(10일)에는 COEX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구글지도 파트너데이가 있었다. 나도 블로거로 초청받아서 참석했는데 구글지도에 대한 이런저런 비전 및 향후 계획 등을 들을 수 있었다. 일단 현장 사진들을 감상해보시라. 사진이 많으니 스크롤의 압박은 어쩔 수 없다는 -.-; 구글지도에 바라는 점을 써서 붙여놓았다. 구글지도 파트너데이가 열리는 COEX 인터콘티넨탈 호텔 하모니 볼륨 모습 개회사(?)를 하고 있는 구글코리아의 이원진 사장 구글맵스(영문버전)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구글지도가 지향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중... Q&A 시간 2부때는 구글지도 협업사례 및 구글지도 API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대한측량협회에서 현 지리정보 서비스의 현황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미투데이의 만박님이 미투데이에 구글..
-
구글코리아, 본격적으로 한국지도를 적용한 구글지도를 서비스 시작하다!IT topics 2008. 11. 26. 11:04
예전에 잠깐 구글맵스 한국판이 돌아간 적이 있다가 막혀버린 해프닝이 있었는데 이번에 본격적으로 구글맵스 한국판이 서비스가 된다고 한다. 지금 확인해봤는데 잘 된다. 구글맵스 한국판의 공식이름은 구글지도(Google 지도)고 여전히 베타딱지를 붙여놨지만 조만간 미국 구글맵스처럼 베타딱지를 뗀 공식 서비스가 실행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구글지도 한국판은 서비스 서버가 한국에 설치되는 최초의 구글 서비스가 된다고 한다. 즉, 국가정책이 지도데이터를 유치하는 서버는 외국에 둘 수 없기 때문에 그동안 구글맵스의 한국지원이 안되었는데 구글이 정책을 바뀌었는지 한국지도에 한해서 서버를 구글코리아에 두는 것으로 했다고 하니 구글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 유치에 나서겠다는 말이 허언이 아..
-
구글맵스, 드디어 한국지도를 제공하기 시작하다.IT topics 2008. 11. 7. 14:50
구글에는 여러 서비스들이 있다. 메일 서비스인 Gmail이나 일정관리 서비스인 구글 캘린더, 구글오피스라 불리는 구글독스에 위성지도서비스인 구글어스, 메신져인 Gtalk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구글 서비스들이 있으며 대부분의 구글 서비스들은 상당히 효율적이고 쓸만하다. 그 구글 서비스들 중에서 구글맵스가 있다. 구글어스와는 다른 지도서비스인데 네이버지도를 생각하면 된다. 해외에서는 구글맵스를 이용해서 다양한 매시업 서비스가 존재하는데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이런게 그동안 불가능했다. 구글맵스의 한국버전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요 며칠사이에 구글맵스에 한국지도가 업데이트되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구글맵스를 통해서 한국의 각지역을 찾아볼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에 구글이 한국에서 지도서비스를 할 수 없었..
-
구글, 웹 플랫폼 빌더로 거듭나는가..IT topics 2008. 4. 1. 10:45
구글이 온라인 플랫폼 빌더로 점점 자리를 굳혀갈려고 하는거 같다. 특히나 멀티미디어쪽에서 말이다. 이미 일전에 구글은 YouTube의 확장 OpenAPI를 발표했다. 확장된 OpenAPI를 통해 YouTube 접속하지 않고도 YouTube에 동영상을 업로드 할 수 있으며 YouTube 로고 없이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크롬리스창에 동영상 재생기를 따로 만들 수도 있다. 구글은 YouTube 확장 OpenAPI를 통해 동영상 플랫폼을 만듦으로 동영상 제공 서비스를 만들 수 없는 여건에 있는 중소 서비스 업체나 기술력이 안되는 서비스 업체에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만들어준 것이다. 이는 YouTube가 동영상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이제는 동영상 플랫폼으로서 자리를 잡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
웹2.0 서비스들의 플랫폼 오픈은 이제 현실이다.IT topics 2007. 12. 3. 13:24
미국의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에 대항해서 플랫폼을 곧 발표한다고 한다.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에 대항해 플랫폼 오픈화 발표 (ZDNet Korea) 페이스북은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다. 서비스 규모나 등록 회원수로만 봤을 때는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보다는 앞서지만 마이스페이스 입장에서는 점점 추격해오는 페이스북을 가만 보고만 있지는 않을 생각인 듯 싶다. 마이스페이스는 우리나라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와 비슷한 형식의 개인 홈페이지 네트워크 서비스다(약간 성격이 다를 수는 있지만 겉모양은 거의 미니홈피다). 미국안에서 점점 페이스북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게다가 페이스북은 OpenAPI를 지원하고 있어서 공개된 플랫폼을 바탕으로 사용자들이..
-
BEA, 비지니스용 웹2.0 어플리케이션을 7월에 출시.IT topics 2007. 6. 21. 11:28
기업형 솔루션 개발업체인 BEA Systems는 기업용 웹2.0 어플리케이션을 7월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CNetNews.com에서 밝혔다. 참고로 BEA Systems는 자바용 미들웨어인 웹로직(WebLogic)을 개발한 회사다. BEA to deliver Web 2.0 apps for business in July (CNetNews.com) BEA는 아쿠아로직 페이지(Aqualogic Pages), 아쿠아로직 패스웨이(Aqualogic Pathways), 아쿠아로직 앙상블(Aqualogic Ensemble)을 7월에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들 프로그램들은 모두 웹기반에서 제공된다고 한다. 아쿠아로직 페이지는 RSS Feed나 웹 페이지와 같은 서로 다른 구조의 정보들을 통합해서 보여주는 엔터프라이즈..
-
플리커 한글 서비스 시작.IT topics 2007. 6. 13. 11:15
야후의 플리커(Flickr)가 한글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티스토리 이전에 태터툴즈를 사용했을 때 사진을 올릴 때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서 플리커에 사진을 올리고 링크를 거는 형식을 많이 취했다. 플리커를 이용하면 사이트 트래픽도 줄어들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한 서비스다. 예전에 야후코리아에서 플리커를 한글화해서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것이다. 플리커는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매달 100MB의 용량 제한이 있다. 하지만 $25정도 지불하면 1년동안 프로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무제한이다. 사진 크기도 small, midium, large로 정해져있지만 원본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
플랫폼의 진화, OS에서 웹으로..IT topics 2007. 6. 7. 15:14
웹2.0 시대에 들어서서 많은 부분에 변화가 왔다. 아마도 대표적인 부분이 프로그램 개발 플랫폼이 기존 OS에서 웹으로 넘어간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떤 이야기일까? 기존 프로그램들은 윈도면 윈도, Linux면 Linux, UNIX면 UNIX, OSX면 OSX 위에서 해당 OS에 맞도록 구동되었다. 즉 윈도용 프로그램이 Linux에서는 실행되지 않았고, 마찬가지로 OSX용 프로그램이 윈도에 돌아가지 않는 것이다. 플랫폼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일이다. 여러 플랫폼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해 개발자들은 각 플랫폼으로 소스를 수정해서 컴파일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을 거쳐서 같은 프로그램을 플랫폼 별 버전으로 만들어 배포하곤 했다. 그게 아니면 아예 하나의 플랫폼에서만 돌아가도록 프로그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