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
대선주자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본질에 대한 이해도를 보면 IT 전문가인 누구보다 노동전문가인 누가 더 깊었다는게 의외였다능..IT topics 2017. 4. 28. 07:30
대선이 얼마남지 않은 요즘 IT 세계에서는 한참 4차 산업혁명의 이야기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대부분의 대선주자들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공약, 정책 등을 발표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나 철수 아저씨(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지속적으로 얘기하고 있는 것이 눈에 띈다. 아마도 철수 아저씨가 안랩 CEO 출신이기 때문에 그쪽 분야의 전문가라는 것을 내세우기 위함이 아닌가 싶다. 4차 산업혁명의 정의는? 사람들마다 4차 산업혁명의 정의를 내리는 것이 각기 다를테지만 보통은 IoT, 인공지능(AI), 빅데이터, 3D 프린팅 기술, 전기자동차와 자유주행기술, 자동화 등을 통칭하여 4차 산업혁명이라고 얘기할 것이다. 앞서 언급한 기술들은 어떤 연결점을 통해 서로 연결된 기술들이기도 하다. IoT 기술을 기반으..
-
현재의 폭발적인 성장과 미래의 한계가 분명한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떠오르고 있는 샤오미 이야기Mobile topics 2015. 1. 23. 09:32
며칠 전 지인들과 가볍게 저녁식사(가볍게? ^^)를 하면서 나눴던 이야기들이 좀 있었다. 다들 보안업계에 있는 사람들이고 회사의 운영 이야기와 기업과 국가간의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이야기가 모바일 시장쪽으로 넘어가게 되었다. 그러면서 나온 이야기가 모바일 시장에서 최근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샤오미의 이야기다. 애플과 삼성의 양강구도에 갑자기 끼어들어서 시장을 휘젓고 있는 샤오미의 이야기를 나름 재미나게 나눴다. 참고로 밑에서 서술할 내용들은 대부분 현장에서 봐온 모습과 다양한 언론에서 얻은 지식 등 경험에서 나온 인사이트를 기준으로 헀기 때문에 출처가 좀 불분명하니 그냥 가능성 높은 소설 정도로 봐주면 좋을 듯 싶다. 모바일 시장에서,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 샤오미의 선전이 뜨겁다. 앞서 얘기헀던 것처럼..
-
있던 기술을 융합하고 비틀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다. 아마존이 생각하는 쇼핑과 IoT의 결합 서비스, 아마존 데시(Amazon Dash)Mobile topics 2014. 4. 8. 10:22
지난 주에 재미난 아이템 하나가 인터넷을 떠들썩하게 했다. 아마존에서 재미난 서비스를 단말기과 함께 런칭(했다고 해야 하나 -.-)했는데 이름이 아마존 대시(Amazon Dash)라는 제품이 그 주인공이다. 대시라는 단말기를 통해 상품에 붙여있는 바코드를 읽어 아마존으로 자동으로 상품 구매 등록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제품이다. 바코드를 읽을 수 있을 뿐만이 아니라 음성을 인식해서 상품 구매 등록을 할 수 있게도 해준다. 백화점이나 슈퍼마켓, 쇼핑몰 등에 아이쇼핑을 하다가 사고 싶은 물건이 있을 때에는 언제든지 구매 등록을 하고 돈 있을 때 지르라는 이른바 지름신을 영접하게 만들 수 있는 악마의 제품이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일단 아래의 동영상을 먼저 살펴보자. 아마존에서 설명하는 아마존 대시에 대한 ..
-
텀블러에 이어 록멜트까지.. 야후의 부족한 엔지니어와 기술을 채우는 방식은 M&A! 하지만 국내 대기업들은?IT topics 2013. 8. 5. 19:02
최근 야후의 M&A 소식이 계속 들려온다. 구글의 부사장이었던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 사장이 된 이후 짧은 기간 안에 꽤 많은 기업을 인수하고 있는데 가장 최근에 들려온 M&A 소식은 소셜 웹브라우저인 록멜트(Rockmelt) 인수 소식이다. 이미 인수는 완료되었고 록멜트는 8월까지 서비스가 되고 록멜트에 있었던 엔지니어들은 야후 미디어쪽으로 배치될 것이라는 루머가 인터넷을 통해서 나오고 있다. 록멜트 인수는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의 CEO가 된 이후 21번째로 인수한 기업이라는 얘기도 함께 말이다(21번째가 맞는지는 좀 더 확인이 필요할 듯 싶다). 마리사 메이어가 야후의 CEO가 된지 이제 2년도 채 안된거 같은데 그 사이에 정말로 많이도 인수했다. 가뜩이나 어렵다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야후가 왜 이리도..
-
HTML5에 밀리는 모습의 플래시, HTML5와 공생하는 방법은?Mobile topics 2010. 3. 17. 09:03
HTML5는 플래시, 실버라이트와는 영원히 앙숙일 수 밖에 없는 존재인가? MIX’10에서 MS는 윈도 폰 7 시리즈(WP7)에 기본 UI 프레임워크를 실버라이트로 결정하고 알렸다. 애플의 아이폰이나 이번에 출시될 아이패드에는 플래시가 빠져있다. 사람들은 플래시로 떡칠된 웹사이트를 보고 무겁다고 말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은 대놓고 HTML5를 밀고 있으며 애플은 아예 플래시는 게으르다고 직격탄을 날려버렸다. 이래저래 플래시가 위험한 상황임은 틀림없다. 현재 논의중인 HTML5는 향후 RIA 시장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많은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플러그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웹브라우저에서 직접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으며 또 플래시나 실버라이트에서 제공하는 많은 기능을 이제는 웹브라우저만으로..
-
[1인 창조기업] 이제는 모바일 웹 세상이다. 켈커타 커뮤니케이션, 고윤환IT topics 2010. 2. 8. 13:29
작년에는 정말로 단독으로 창업하는 사람들이 꽤 있었던거 같다. 올해도 비슷하게 창업하는 사람들이 많아질 듯 보인다. 아이디어와 기술력이 있으면 혼자서도 충분히 스스로가 하나의 기업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예전보다 많아진 것이 사실이다. 이번에는 나름대로 1인 창조기업을 운영하고 있는 인물을 소개해볼까 한다. 작년에 창업하여 모바일 솔루션을 만들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돈 벌어보겠다고 나서는 분이다(^^). 개인적으로 친분도 있기에 소개를 해보려 한다. 이제는 모바일 웹 세상이다. 켈커타 커뮤니케이션, 고윤환 켈커타 커뮤니케이션(Calcutta Communication)의 고윤환님은 일반 웹사이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맞는 환경으로 모바일 웹으로 바꿔주는 솔루션을 만들고 있다. 개인적으로 이 분을 ..
-
The Future of MobileMobile topics 2009. 5. 13. 09:46
미래의 모바일 세계는 어떻게 변할까? 미래를 예측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특히나 요즘과 같이 기술의 발전속도가 빠르고 예측할 수 없는 변수들이 많을때는 더더욱 그렇다. 모바일 분야는 그 가운데서도 가장 변화가 많은 분야라고 생각이 든다. 변화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발전속도가 빠르고 그에 맞춰 삶의 질도 같이 향상될 수 있다는 얘기도 된다. 다만 기술의 발전이 바로 사회에 적용되어 삶의 질을 바꾸지는 못하고 어느 정도의 적응기간이 필요하다는 것은 인정을 해야 할 것이다. 여하튼 간에 미래에 어떻게 발전될지 모르는 모바일 기술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것은 재밌다. 여기 재미난 동영상 하나를 소개할까 한다. MOCOM2020이라는 웹사이트에서 소개한 동영상인데 모바일 세계의 발전방향을 2020년까지 예상한 내용이..
-
삽질을 통한 성장, 아픈만큼 성숙해진다.IT topics 2008. 6. 12. 17:05
어떤 사람이던 성장을 한다. 어려서부터 많이 먹고 자라서 키도 크고 몸무게도 커지면서 육체적인 성장을 하고 학교 등에서 배움으로 지식도 성장한다. 그리고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도 성장하곤 한다. 특히 어려운 일을 당해서 곤욕을 치룬 뒤에 얻는 경험을 통한 성장은 매우 소중하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에 회사에서 일이 많이 몰려서 꽤나 바쁘다. 그것도 대형껀수로 2~3개가 한꺼번에 몰리니 정신이 없다. 그리고 그것 모두 회사 입장에서는 놓칠 수 없는 큰 금액이 걸려있기에 담당자인 나를 계속 쪼아대고 있는 상황이다. 쪼아대는 것이 적절치 못한 표현이라면 그렇겠지만 꼭 해야한다고 계속 압박하고 있는 중이다. 회사에서 내가 맡은 일이 여러가지가 있고 모두가 다 중요한 일이지만 그 중에서 서버 컨퍼넌트 모듈을 만드는 ..
-
SW 개발자의 길, 앞으로 험난해진다.IT topics 2007. 12. 3. 14:04
MS의 2007 DevDay에서 김명호 박사가 SW 개발자에 대해서 언급한 내용이 있다. SW 개발자의 길, 아니다 싶으면 포기하라! (ZDNet Korea) SW 개발자는 전문가로 거듭나야 하며 개발자와 기획자는 엄연히 다른 영역이라고 말하면서 다음의 지침을 내놓았다. 기본에 충실해야 한다.지식의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라.분야 전문가나 해박한 지식을 갖춰라.학습을 두려워 마라. 모두 개발자라면 공감하는 내용이라 본다. 기본에 충실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최근 IT 업계로 쏟아져나오는 개발인력들은 대부분 비트교육센터나 삼성멀티캠퍼스 등의 IT교육기관을 거쳐서 기술적인 부분을 습득한 상태로 나오게 된다. 그런데 문제는 이 인력들이 모두 전산과나 컴퓨터공학과, 혹은 정보통신관련학과 등 IT 계열 개발 관..
-
웹2.0 시대에는 기술보다는 철학을 먼저 도입해야 하는데..IT topics 2007. 12. 3. 10:10
현재 한국 웹 시장의 상황은 어떨까? 아니, 조금 더 범위를 좁혀서 웹2.0이라는 시장에서의 상황은 어떨까? 한국은 현재 Winner takes all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웹2.0 시대, 웹 기업의 미션 (ZDNet Korea) Winner takes all은 도대체 뭔가? 영어 그대로 해석하면 ‘승자가 모든 것을 다 취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뜻대로 현재 한국 웹 시장에서 각 분야에 따라 No.1 기업들이 시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보통 50% 이상이며 심하면 80% 정도까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예를 들어서 포탈 사이트에서의 네이버가 그렇고 웹 소핑몰(혹은 마켓프라이스 시장)에서는 G마켓과 옥션이 그러하며 인터넷 구인 시장에서는 잡코리아가 그 대표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