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
한국형 모바일 OS를 만들겠다고? 논의 자체는 좋은데 시작이나 할 수 있을까? (1부)Mobile topics 2011. 8. 30. 12:36
* 이 글을 읽기전에 참고사항. 글이 너무 길어져서 1, 2부로 나눠서 발행했으며 발행은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에 시간차 없이 이어서 읽을 수 있습니다. 최근 구글이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한 이후 국내 IT 업체들의 경쟁력에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뉴스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어느정도 일리가 있는 얘기인데 그동안 국내 스마트폰 관련 이슈들은 대부분 구글 안드로이드에 관련이 되어있기 때문인데 삼성이나 LG, 펜택과 같은 제조사들은 주력 스마트폰으로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구글 폰(갤럭시 시리즈, 옵티머스 시리즈, 베가 시리즈 등)을 생산하고 있으며 안드로이드 허니콤이 탑재된 스마트 태블릿을 차세대 먹거리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삼성이나 LG는 MS의 윈도 폰 7이 탑재된 윈도 폰 시리즈들도 병행 생산하고..
-
구글, 모토로라를 먹어버리다! 드디어 하드웨어까지 갖추게 되는가?Mobile topics 2011. 8. 15. 21:43
구글이 모토로라를 먹어버렸다. 방금 테크크런치를 통해서 본 소식인데 구글이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125억달러에 취득(낼름 먹었다는 얘기다)했다는 얘기를 보게 되었다. 놀라운 일이다. 모토로라가 2개의 회사로 분리되면서 모토로라 모빌리티는 모토로라의 스마트폰 사업을 맡아서 진행해오던 회사였다. 그런데 그 모토로라 모빌리티가 구글에 인수됨으로 인해 구글은 이제 확실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생산라인을 갖게 되었다. 이 얘기인 즉, 앞으로 구글의 넥서스 시리즈들(구글의 안드로이드 레퍼런스 폰)과 태블릿 레퍼런스를 모토로라를 통해서 제공하겠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단 구글은 모토로라 모빌리티의 인수 후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인수에 대한 내용을 정리했다. The acquisition of Motorola Mob..
-
[Atrix] 듀얼코어의 위력을 잘 보여주는 구글 스텐다드 스마트폰, 아트릭스Review 2011. 5. 2. 08:30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신개념 N스크린 지원 듀얼코어 스마트폰(이라고 나름 생각해봤다)인 아트릭스(Atrix)를 보면 여러가지 생각을 갖게 만든다. 국내에서 최초로 출시된 듀얼코어 스마트폰은 아니지만(이미 LG의 옵티머스 2X가 국내 최초의 듀얼코어 스마트폰으로 등록되었다나 뭐라나) 외산 스마트폰들 중에서는 최초이기에 그런 생각이 들었을지도 모르겠다. 또한 스마트폰 자체 뿐만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독(Dock)이나 랩독과 같은 다양한 주변기기를 통해서 그 사용성 및 가능성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높은 점수를 주는 스마트폰이 바로 아트릭스라는 생각이 든다. 뭐 오늘은 아트릭스 폰 자체에 대한 가벼운 감상을 적어볼까 한다. 성능이 어떻고 밴치마킹 점수가 어떻고 하는 얘기는 이제는 좀 식상해져서 그냥..
-
왜 애플과 구글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개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려는 것일까?Mobile topics 2011. 4. 25. 08:04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을 통해서 위치정보를 쭉 저장해왔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위치정보, 엄밀히 따지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이슈들이 많이 나오고 있는 듯 보인다. 애플뿐만이 아니라 구글 역시 안드로이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사용자들의 위치정보가 전송되고 있다는 내용도 밝혀지면서 아이폰, 안드로이드가 아닌 스마트폰 자체의 위치정보 저장에 대한 이슈로 번지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MS의 윈도 폰 7이나 노키아의 심비안은 어떨련지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하튼간에 이런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위치정보가 폰에 비밀스럽게 저장이 되던지, 아니면 클라우드를 통해서 구글 본사로 전송이 되던지 하는 일련의 모습들은 그동안 기업들이 개인정보를 통해서 뭔가 이득이 될만한 것들을 이끌어내려고 하는 수십년간의 행위가 지금도 여전히 이어져..
-
5인치의 시원한 화면을 보여주는 안드로이드계의 아이팟 터치. 갤럭시 플레이어Mobile topics 2011. 4. 10. 09:00
이번에 갤럭시 플레이어 5인치가 출시되었는데 그동안 인터넷을 통해서만 보다가 8일에 공개된 딜라이트 샵에서 실물을 볼 수 있었다. 비록 짧은 시간동안만 볼 수 있었는데 간단하게나마 소감 아닌 소감을 적어볼까 한다. 일단 첫 느낌은 화면이 크다보니(5인치) 시원시원하다는 것이다. 해상도는 WVGA(800 x 480)인지라 갤럭시S와 똑같지만 받아들여지는 느낌이 크다보니 어르신들이 쓰기에도 나쁘지는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구성은 갤럭시S와 같다. 전화기능만 빠진 갤럭시S라고 보면 될 듯 싶다. 마치 아이폰과 아이팟 터치의 관계라고나 할까(실제로 그런 컨셉이라는 생각이 든다). 안드로이드계의 아이팟 터치라는 생각이 든다. 일단 스마트폰이 아닌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3G 연결 기능은 없고 WiFi만 지원된..
-
노키아와 MS가 바라는 미래. 하지만 그렇게 장미빛은 아닌데 말이지...Mobile topics 2011. 3. 16. 11:48
이번에 노키아는 MS와 협상을 하면서 윈도 폰 7을 주력 스마트폰 플랫폼으로 밀어주기로 했다. 그동안 노키아의 주력 스마트폰 플랫폼은 심비안이었고 외부에서도 '노키아 = 심비안'이라는 공식이 계속 인정되어 왔던 것이 사실이지만 이제는 그런 공식을 깨져버렸다는 것이 대부분 사람들의 생각인 듯 싶다. 노키아의 경우 당장에 심비안을 버리는 것은 아니겠지만 주력에서 밀려난 심비안이 과연 자생력을 갖고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에서 살아남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의문을 갖는 것이 사실이다. 노키아가 버린 심비안은 결국 스마트폰 플랫폼 시장에서 점점 밀려나서 정말로 아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게 만든다. 왜 이런 생각을 갖게 되었는지는 이 글을 읽어본 후라면 이해할 수 있을 듯 싶다. 좀 ..
-
아이폰 도입으로 늦었지만 힘있는 반격을 시작한 SKT, 현재보다는 미래를 노리는데!Mobile topics 2011. 3. 9. 11:50
이번에 SKT에서 드디어(!) 애플의 아이폰을 도입하기로 하고 9일부터 예약판매를 시작한다고 한다. 그동안 안드로이드에 집중한 모습을 보여준 SKT 입장에서는 아이폰을 도입함으로 적어도 국내에서 잘나간다는 스마트폰 제품군은 다 갖추게 되었다. 기존의 갤럭시 S를 필두로 하는 디자이어, 엑스페리아 X10, 디파이, 옵티머스 Z 등의 프리미엄 급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제품과 함께 아이폰을 추가함으로 기존의 막강한 3G 인프라에 고객을 더 끌어들일 수 있는 매력을 하나 더 추가했다는 의미가 강하다. 많은 사람들이 얘기하기로 SKT가 어쩔 수 없이, 사용자들의 여론에 밀려서 아이폰을 도입한다고 얘기한다. 겉에서 볼 때는 그렇게 보이는 것이 맞기도 하다. 나 역시 SKT 직원도 아니고 그렇다고 애플 직원도 아니기에..
-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탄생한 아이덴티티 탭, 아이덴티티 크론Review 2011. 3. 4. 08:30
아이덴티티 탭을 아는가? 아마 국내 최초의 7인치 안드로이드 타블릿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갤럭시 탭보다 더 먼저 나왔고 KT에서 와이브로 애그와 함께 전략적으로 밀어줄려고 했던 제품이다(그런데 결국 그렇게 되지 못했고 저 멀리 역사의 뒤안길로 가버린 제품이기도 하다). 아이덴티티 탭은 태생적으로 여러가지 한계를 갖고 있었던 제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투박한 디자인에 사양 역시 훌륭하지 못했고 7인치임에도 불구하고 갤럭시 탭처럼 1024 x 600의 XGA가 아닌 800 x 480, 즉 WVGA를 지원하는 이래저래 사생아와 같은 느낌이 드는 제품이었다. 그리고 국내에서는 참패를 당했다. 이런 아이덴티티 탭이 다시 새로운 디자인과 사양을 갖고 재탄생했다. 이번에 엔스퍼트에서 내놓은 아이덴티티 탭 크..
-
플랫폼의 안정성을 위해 C#.NET을 선택한 윈도 폰 7. 그런데 그게 발목을 잡는다면?Mobile topics 2011. 2. 18. 13:13
* 이 글은 개발자 입장에서 쓴 개인적인 의견임을 먼저 밝혀둔다. 회사에서 야근하는 중에 잠깐 같은 부서의 다른 팀장과 얘기를 나누던 중에 이런 얘기가 나왔다. 개발자 입장에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는 소스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데 윈도 폰 7의 경우에는 완전히 새로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것. 아이폰의 경우 Ansi C/C++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UI 부분만 Objective C를 이용하면 된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Java 기반이라고는 하지만 대부분의 코어 부분은 NDK라고 하는 툴(방법? -.-)을 이용하여 Ansi C/C++을 사용한다. 그게 훨씬 빠르기 때문이다(아직까지 모바일 디바이스에는 퍼포먼스를 생각 안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부분의 코드는 서로 공유할 수 있어서 이식성이 좋다..
-
MS의 윈도 폰 7을 택한 노키아의 선택, 과연 현명한 일이었을까?Mobile topics 2011. 2. 16. 08:31
최근 노키아는 자사의 모바일 플랫폼으로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MS의 윈도 폰 7을 놓고 많은 고심을 한 끝에 MS의 윈도 폰 7을 결정했다. 노키아의 CEO인 스테판 엘롭은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불타는 플랫폼 위에 서 있다라는 표현까지 써가며 노키아의 위기를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MS와 손잡았다는 내용을 공개했다. 현재의 노키아의 상황을 잘 표현한 편지고 노키아의 선택이 어쩔 수 없음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런데 노키아와 MS의 협력에 대해서 회의적인 시각이 많은 듯 보인다. 가장 대표적인 시각이 안드로이드가 아니고 왜 윈도 폰 7인가 하는 것이다. 노키아의 총재적 부진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바로 아이폰의 등장 및 성장이다. 그리고 안드로이드의 저가 시장 장악도 노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