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
[I'M IN] 포스퀘어에 SNS의 색채를 더 드리우다. 한국판 위치기반SNS, 아임INReview 2010. 10. 15. 08:59
한국판 포스퀘어 서비스를 표방(?)하는 서비스가 전에 한번 소개된 적이 있었다. 뭐 이해하기 편하게 하려고 한국판 포스퀘어라고 했지만 위치기반에 땅따먹기 한다는 개념 자체가 비슷한 것 때문에 많이 비교가 되는 것은 사실인 서비스다. 바로 KTH가 만든 국산 위치기반 SNS인 아임IN이 그 주인공이다. 예전에 나온 아이폰용으로 나온 서비스인데 이번에 안드로이드용 클라이언트가 추가되었다. 즉,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폰 모두에서 이용이 가능하다는 얘기다. 아이폰을 갖고있지 않은 나로서는 안드로이드 폰용으로 나왔다는 얘기에 냅따 받아서 실행해봤다. 참고로 T 스토어와 안드로이드 마켓에 동시에 등록되어 있어서 갤럭시S와 넥서스 원, 둘 다 사용이 가능하다. 아임IN은 KTH에서 만든 서비스. 그렇기 때문에 포탈서비..
-
소셜을 강화함으로 네이버 제국을 더 강화시키려는 네이버의 하반기 전략!IT topics 2010. 9. 30. 10:09
9월 28일. 네이버는 블로거들과 네이버 카페 관계자들에게 2010년 네이버 하반기 전략에 대해서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많는 블로거들(특히 내 주변에 있었던 블로거들)이 왜 내가 초대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기는 했지만 네이버의 앞으로의 전략에 대해서 잘 생각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나름 유익한 자리였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리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의 해외 서비스가 국내에서 강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네이버가 갖고 있는 영향력은 적어도 한국 안에서는 절대적이기 때문에 말이다. 네이버의 올해 하반기 전략은 소셜 서비스에 집중 투자한다는 것 같았다. 2010년 12월에 선보일 2개의 서비스와 기존에 인수해서 서비스하고 있는 미투데이(me2DAY)까지 합쳐서 3가지의 소셜 서비스를 통합하여 선보인다는 ..
-
국내에서도 이제는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페이스북IT topics 2010. 9. 15. 23:37
전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열풍이 불고 있다. 예전에는 인기있는 SNS로 야금야금 사람들에게 알려지더니 SNS 시장을 평정해버렸고 이제는 No.1 인터넷 서비스라 불리는 구글마저 위협하는 정도로 엄청나가 커졌다. 이미 전세계 5억명 이상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로 성장한 페이스북은 구글을 넘어 No.1 인터넷 서비스로 발돋움하려고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페이스북이 좀 일찍 들어왔다. 트위터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작년 중순부터라고 한다면 페이스북은 그 이전에 들어왔다. 대략 3년전에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한글 서비스도 2년전부터 시작한 것으로 기억한다(이 부분은 헷갈릴 수 있다). 하지만 트위터가 빠른 시간 안에 국내에서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는 동안 페이스북은 그동안의 국내에 들..
-
지메일로 대동단결하여 페이스북의 도전에 대응하려는 구글. 과연?IT topics 2010. 9. 8. 11:52
페이스북의 성장세가 무서울 정도로 커지고 있다. 물론 트위터의 성장폭이 페이스북의 그것을 넘고 있다고 해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많이 비교하고 있고 트위터의 성장이 대단하기는 하지만 전세계적으로 사용하는 빈도 등을 고려할 때 페이스북이 현재, 그리고 앞으로도 별다른 이슈가 없는 한 No.1 SNS로 자리잡을 것은 분명해 보인다.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페이스북보다 트위터가 더 많은 이슈를 일으키고 있지만 점점 페이스북의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비슷한 수준으로 갈 것이라고 많은 사람들이 예상을 하고 있으며 나 역시 비슷한 생각이다. 구글이 최근 Gmail Call(지 메일 콜)을 선보였다. 지메일을 통해서 전화를 걸고 받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서비스를 시작한 당일에 무려 300만 콜이 진행되었다는 뉴스가 나왔..
-
스마트폰, 이제는 쿼티키패드가 대세인 시대가 올 것이다.Mobile topics 2010. 8. 30. 11:32
스마트폰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들이 많이 늘고 있습니다. 특히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스마트폰의 활용이 급증하기 시작했는데요. 언론 등에서 이런 SNS가 뜨면서 스마트폰 보급도 같이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가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스마트폰이 많이 보급됨과 동시에 트위터와 페이스북의 모바일 사용이 급증했고 언론등에서 이런 SNS에 대해서 많이 다루자 사람들이 저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이런 형식이 되어버린 것입니다. 물론 스마트폰을 구매할 때 SNS가 절대적인 이유가 될 수는 없지만 스마트폰에서 SNS는 킬러 컨텐츠로서의 자리를 굳힌 것은 사실입니다. 이렇게 스마트폰에서 SNS를 많이 이용함에 따라 단순히 보는 것..
-
SNS의 발달로 뒤쳐진듯 한 이메일, 하지만 여전히 활용도가 높은 IT 서비스도 이메일!IT topics 2010. 8. 24. 15:51
요즘 많은 사람들이 트위터니 페이스북이니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많이 이용한다. 특히 아이폰의 등장 이후에 국내에서 안드로이드 폰 등 스마트폰 빅뱅이 이뤄지면서 모바일로 이들 SNS를 더 많이 이용하고 있는 듯 싶다. 어떤 사람은 SMS(단문메시지) 대신에 트위터로 메시지를 보낸다는 사람도 있을 정도다(해외의 경우 트위터가 아닌 페이스북의 쪽지로 SMS 대신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렇듯 스마트폰과 더불어 SNS가 급성장하면서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에 많은 변화가 오고 있는 듯 보인다. 과거에는 편지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이 주류를 이뤘다. 내 기억에 1990년대 중반까지는 우체통에 편지를 넣어서 내용을 전달하는, 즉 우편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1990년대 ..
-
블로그의 소셜화? SNS와 블로그의 연계를 어떻게 잘 이용해볼까?Blog 2010. 8. 19. 09:17
최근 블로그에 조금씩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변화라고 해봤자 큰 변화는 아니고 조금씩 컨퍼넌트들을 바꾸는 정도인데 대부분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부분이다. 이런 변화가 내 블로그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모르겠지만 왠지 대세라는 부분도 있고 너무 변화없는 것도 싫어서 조금씩 바꿔볼려고 하는 중이다. 원래는 스킨 전체를 뜯어고쳐야겠지만 그것은 디자인적인 노력을 요하기 때문에 좀 나중에 할려고 생각중이다. 소셜 댓글? Disqus 설치 SNS가 성장을 하면서 이런 컨셉의 다양한 서비스들이 많이 등장했다. Disqus(디스커스)역시 비슷한 컨셉의 서비스로 소셜 댓글 서비스라는 얘기를 듣는 서비스다. 블로그의 댓글이 보통 자기 블로그에서만 확인이 가능하고 타 서비스와의 연계가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태터계..
-
트위터 클라이언트 중에서 가장 인기가 있는 어플은? 트윗덱?IT topics 2010. 7. 13. 14:23
트위터 클라이언트인 트윗덱이 데스크탑 버전(어도비 에어를 쓰는 것)과 모바일 버전 몽땅 다 합해서 1500만회의 다운로드를 기록했다고 한다. 1500만회. 진짜 많이도 다운로드 받았구나. 여러 트위터 클라이언트 통계를 봐도 언제나 트윗덱이 늘 1등을 달리기는 했지만 1500만회는 정말 많이도 다운로드 받았다는 생각이 든다. 트윗덱은 최근 구글 버즈와 포스퀘어를 지원하기 시작했고 그 이전에 페이스북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인 소셜 브라우저로서의 모양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페이스북을 하면서 트윗덱에서 올라오는 글들이 많아진 것도 그런 페이스북도 이제는 트윗덱으로 관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기 시작했다는 의미가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일단 몸으로 느끼기에 주변에 트윗덱을 쓰는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생각이 든..
-
소셜미디어의 역사 속에서의 구글의 역사는 어떻게 될까?IT topics 2010. 7. 10. 15:46
소셜미디어의 발전 중에 구글의 역사는 어떻게 진행되어 온 것일까? 매셔블에서 Google's Long History of Social Media Attempts라는 제목의 글에서 구글의 역사를 그림으로 소개했는데 괜찮은거 같아서 나도 내 블로그에 소개해볼까 한다(^^). 눈에 띄는거 몇가지 소개한다면 2003년 2월 17일에 피아라랩스에서 블로거를 사들여서 구글 블로거로 만든 것 2004년 4월 1일(만우절~)에 Gmail을 런칭한 것, 2005년 8월 24일에 구글토크를 선보인 것, 2005년 10월 7일에 구글리더를 선보인 것, 2006년 6월 13일에 웹앨범인 피카사웹을 런칭한 것, 2006년 10월 6일에 유튜브를 사들여서 구글 서비스에 편입시킨것, 2007년 2월 17일에 구글독스를 구글앱스에 ..
-
블랙베리를 노리고 만든 모토롤라의 새로운 안드로이드 폰, 참(Charm)!Mobile topics 2010. 7. 9. 10:18
이번에 모토롤라에서 발표한 새로운 안드로이드 폰이 있는데 이름 한번 참하다. 이름이 '참(Charm)'이다. 디자인만 봐서는 마치 블랙베리를 연상시키는 듯한 모습이다. 모양만 봐서는 모토롤라가 블랙베리가 장악하고 있는 기업형 시장을 대놓고 노리고 만든 모델이라고 해도 될 듯 싶다. 2.8인치의 터치스크린을 지원하는 안드로이드 2.1이 탑재된 모델로 쿼티키패드가 매력이자 장점으로 끌리는 모델이 아닐 수 없다. 모든 부분에서 블랙베리의 그것과 닮았는데 플랫폼이 안드로이드라는 것이 다르다. 모토롤라는 '참'에 모토블러를 탑재시켜 SNS와의 연계성을 높히고 메시징 기능을 강화시켜서 블랙베리 시리즈들과 겨루게 할 생각인 듯 싶다. 사람들이 블랙베리를 쓰는 이유가 강력한 메시징 기능과 함께 저 손에 착착 달라붙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