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
[FANme] 세상의 모든 것을 태그하기를 원하는 태그기반 SNS, FANmeReview 2012. 12. 9. 15:43
최근 IT업계의 화두라고 하면 화두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다름아닌 SNS가 아닐까 싶다. 국내에서는 트위터가 처음으로 SNS라는 이름으로는 성공을 거두고 있고 그것을 페이스북이 이어가고 있다. 또 다양한 SNS 서비스들이 많이 만들어져서 서비스가 되고 있는 중이다. 여기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서비스 역시 국내 SNS 시장에 나름대로 도전장을 신나게 던진 새로운 서비스라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바로 KT가 만든 FANme가 그 주인공이다. 오늘의 주인공인 FANme를 소개한다. 내 경우에는 아이폰이 없어서 아래와 같이 아이패드로 이 서비스를 실행했다. 참고로 곧 아이패드용으로 나온다고 하며 안드로이드용도 준비중에 있다고 한다. 아이패드는 아이폰용 어플리케이션을 같이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뭐 쓰는..
-
유심(USIM)들을 모아두니 이것도 나름 재밌네..Mobile topics 2012. 10. 1. 08:00
그냥 가벼운 이야기. 전에도 얘기했지만 이 블로그에 무거운 주제만 쓸 필요는 없겠다 싶어서 그냥 끄적이는 글.. ^^; 처음 휴대폰이 나왔을 때에는 USIM이라는 것이 없었다. 단말기에 직접 통화관련 개인정보를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지금도 LG U+의 CDMA 2.5 Rev.A 방식에는 USIM없이 바로 휴대폰에 등록해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예전에 햅틱 아몰레드가 LG U+꺼였는데 따로 USIM이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찌되었던 USIM은 3G 이후부터 사용되는 것으로 생각하면 편할 듯 싶다. 뭐 이런 얘기를 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고... 위의 USIM들은 내가 그동안 사용했던 USIM들이다. 모두 3G USIM이며 KT(SHOW)와 SKT USIM이다. 이래저래 많이도 사..
-
한국에서 아이폰5는 오로지 LTE만 가능하다? 아이폰5의 3G 가입을 받지 않겠다고 하는 이통사들의 소비자 기만행위를 어떻게..Mobile topics 2012. 9. 20. 08:00
이번에 애플이 아이폰5를 발표하고 LTE 지원국에 한국의 SKT, KT가 포함되면서 SKT와 KT가 아이폰5는 LTE로만 신규가입을 받겠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예전에 뉴 아이패드의 LTE 국내 지원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3G로만 지원되던 것을 염두해두고 아이폰5의 3G 개통을 먼저 하겠다고 밝힌지 얼마 되지 않은 상황에서 말을 바꾼 것이다. 이로인해 SKT와 KT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이통사라는 욕을 단단히 먹고 있는 상황이다. 뭐 LTE 지원 대상에 끼어있지 못한 LG U+는 안습인 것은 어쩔 수 없지만서도.왜 SKT와 KT는 욕을 얻어먹으면서까지 아이폰5의 LTE 개통을 추진하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손해보고 있는 3G 무제한 요금제를 점차적으로 없애고 이득이 많이 남는 LTE로 이용자층..
-
개인정보는 활용의 대상이 아닌 보호를 받아야 할 대상이며 기업은 이에 대해서 책임있는 자세가 필요한데..Security 2012. 9. 3. 08:00
아래의 글은 전자신문의 블로고스피어에 기고한 글입니다. 기고 글은 [여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글은 원본이며 기고 글은 편집된 글이라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기업의 고객정보 유출사건들이 봇물터지듯 터지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 SK의 네이트도 고객정보가 유출당했고 옥션도 그랬고 최근에는 KT 역시 고객정보가 유출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고객정보는 개인정보다. 최근 개인정보보호법이 시행되고 사람들의 인식 속에서 개인정보에 대한 심각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은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다루는 부분에 있어서 많이 부족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왜 이런 개인정보 유출 사건이 계속 일어나는 것일까? 앞서 얘기했듯 기업의 개인정보를 다루는 기술이나 그 정보를 취급하는데 있어서 접근성에 대한 시각..
-
고객정보 유출 사건에서 보여준 KT의 무책임한 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생각하며 KT의 책임있는 자세를 요구하고 싶은데...IT topics 2012. 8. 13. 08:00
요즘 KT의 개인정보유출사건 이후의 행보를 보면 뻔뻔하다못해 짜증이 날 정도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개인적으로 KT에 아는 사람들도 많고 나 역시 와이브로 에그를 사용하고 있는 터라 좀 괜찮은 이야기로 포스팅하려고 해도 KT는 스스로 자기들의 화를 부르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조직이 너무 거대해지고 남탓으로 잘못을 떠넘기는 잘못된 관행이 뿌리깊게 박혀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고 말이다. 간단한 예로, KT의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면 일단 대기시간부터 다른 이통사의 고객센터에 비해 길다. 또 겨우 전화를 받아서 이런 문제가 있다라고 얘기하면 자기들 부서의 일이 아니라고 다른 부서를 연결시켜주겠다고 한다. 그래서 전화를 넘기면 다른 부서에서 전화를 받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심지어는 안..
-
KT의 고객정보 유출 사태를 보면서.. 과연 보안의 어떤 부분에 헛점이 생겼던 것일까?Security 2012. 7. 30. 15:00
이번에 KT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으로 인해 아주 떠들썩하다. 개인정보 유출의 내용 자체도 문제지만 KT의 대응방식도 문제가 되고 있다. 말장난같은 문구로 인해서 더욱 황당하다는 얘기다. 최근 4~5년간 유출된 개인정보로만 따진다면 대한민국 국민의 80%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돌아다니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누구 얘기로 이제 대한민국 국민의 주민등록번호는 공공재냐라는 말이 나와도 할 말이 없을 정도니 말이다. 이번에 KT에서 유출된 850여만건의 개인정보 유출은 5개월동안 조금씩 이뤄졌다고 한다. 마치 협력업체에서 가입자 정보를 조회하는 것처럼 내용을 가져갔다는 얘기다. KT측의 변명은 대량의 트래픽이 일어난 것이 아닌 소량의 트래픽의 이동으로 인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감지가 어려웠다고 하는..
-
휴대폰 가격과 통신비 과다 지출 논란에서 혼자만 살겠다고 삼성전자에게만 책임을 돌리고 있는 KT. 과연 이렇게 함으로 KT는 뭘 얻을 수 있을지?Mobile topics 2012. 3. 20. 08:13
최근 공정위는 한국 스마트폰 가격이 부풀려졌다는 이유로 조사하여 이통사와 제조사들에 담합 과징금을 부가했다. 한국의 스마트폰 가격이 높은 이유는 제조사들이 높게 측정했기 때문이며 이통사들이 부풀린 가격만큼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할인혜택으로 포장했다는 것이다. 그로 인해서 소비자들은 노예약정을 걸고 부풀린 가격의 스마트폰을 2년간 쓸 수 밖에 없어서 손해를 입었다는 것이 공정위의 조사 결과다.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텍 그리고 SKT와 KT, LG U+ 등의 제조사와 이통사들이 공정위로부터 과징금을 내게 되었다. 물론 업체들마다 각기 금액이 다 틀리기는 하지만서도. 이에 대해서 가장 많은 과징금을 내야 하는 삼성전자는 공정위의 내용을 면밀히 살펴본 뒤에 행정소송을 내겠다는 입장이고 SKT와 LG U+는 공정..
-
자사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KT. 삼성과의 갈등에 이어 이제는 애플과 구글에까지 망 사용료를 받으려고 하는데...Mobile topics 2012. 2. 28. 08:30
* 이 글을 읽기 전에.. 글을 쓰다보니 조금 감정적으로 쓰게 되었고 논리에 안맞는 부분도 있으니 감안해서 읽어주길 바람. 개인 의견일 뿐이니.. 최근에 삼성전자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 차단으로 인해 꽤 홍역을 앓았던 KT. 그런데 그 KT가 재미난 발표를 했다. 엄밀히 따지면 자충수라고 할 수 있고 제 무덤을 파고 있다는 평까지 듣고 있는 상황이다. KT는 최근 애플과 구글에게도 망 사용료를 받겠다는 얘기를 했다고 전해진다. KT의 망가치제고 TF팀의 수장이 한 얘기라고 하니 거의 사실로 보이는 듯 싶다. KT 망가치제고 태스크포스(TF)팀 김태환 상무는 23일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데이터를 과도하게 사용해 통신망 ‘블랙아웃(서비스 중단)’을 일으킬 수 있는 서비스 사업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
-
SKT, LG U+, KT의 LTE 마케팅 전략과 그 속에서 노리고 있는 업체들의 생각은 무엇일지?Mobile topics 2012. 2. 23. 08:30
최근에 LTE에 관련해서 이통사 뿐만이 아니라 제조사들도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뉴스를 통해서 나온 얘기를 보면 LTE 가입자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얘기도 들리고 있고 늘 2등기업 식으로 밀리고 있던 LG 계열(LG전자와 LG U+)의 약진도 눈에 보이는 듯 싶다. 오늘은 LTE 마케팅을 통해서 나름대로 느껴본 각 업체들의 생각을 적어볼까 한다. 개인적이고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점을 먼저 알려드리며 이런 내 생각과 다른 생각을 갖는 사람들도 많을테니 감안해서 봐주시라. 글이 좀 길어질 듯 싶어서 제조사와 이통사를 나눠서 글 2개로 썼다. ^^; 작년 7월에 SKT와 LG U+는 국내 최초로 LTE 서비스를 실시한다. KT는 와이브로로 버텨오다가 2G 서비스 종료 시점을 시작으로 올해 1월부..
-
KT의 삼성 스마트TV 인터넷 접속 제한 조치. 망중립성을 무시하는, 그리고 인터넷 망을 볼모로 하는 KT의 편파적인 무리수는 과연 언제까지?IT topics 2012. 2. 14. 08:30
요즘 삼성전자와 KT가 스마트TV 때문에 싸움을 하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스마트TV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으로 인한 인터넷 망 사용료 지불을 두고 각기 다른 해석을 내놓으면서 싸우고 있는 것이다. KT는 스마트TV가 인터넷 트래픽을 유발하고 있으며 컨텐츠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 있기 때문에 망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고 삼성전자는 스마트TV는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일 뿐이며 삼성전자는 단말기를 판매할 뿐 내부의 컨텐츠를 통한 수익은 컨텐츠 개발자에게 돌아가는 것이기 때문에 망 사용료 지불은 말도 안되는 일이라고 맞서고 있다. 결국 KT가 스마트TV의 인터넷 접속을 막아버림으로 감정 싸움은 극으로 치닫고 있는 듯 싶다. KT가 주장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스마트TV는 HD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