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4월 2일 종료 예정인 Google+, 하지만 엔터프라이즈용 Google+가 나온다는데..IT topics 2019. 2. 7. 08:00
2019년 4월 2일, 서비스 종료가 되는 Google+, 하지만.. 2019년 4월 2일에 구글의 SNS 서비스인 Google+가 종료된다. 이미 Google+ 사용자들을 Google+에 들어갈 때 해당 공지를 확인했을 것이다. 일단 구글은 일반 사용자용 Google+를 4월 2일에 종료한다고 밝혔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은 구글이 SNS 서비스인 Google+를 완전히 접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듯 싶다. 그런데 G Suite를 사용해서 독립 도메인으로 구글에 연결해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G Suite 이름으로 메일이 하나 더 왔을 것이다. 메일 내용을 보면 일반 사용자용 Google+는 4월 2일에 종료되지만 G Suite 사용자용 Google+는 종료되지 않고 대신 기능이 변경되어 계속 서비스가..
-
오라클, IT 세계에서 공공의 적이 되어가나?IT topics 2013. 2. 12. 11:17
확실히 오라클이 IT업계에서 공공의 적이 되어가고 있는 모습이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자바의 버그 관련 이슈도 그렇고 페도라와 오픈수세 리눅스에서 MySQL 대신 MariaDB를 도입한다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해석될 수 있다. 둘 다 오라클로 인수된 이후에 보여지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아래의 내용은 내가 주관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내용에 주변에서 들은 이야기를 나름 분석해서 적은 내용이니 참고하길 바란다. 최근 미국에서는 자바 사용(정확히 얘기한다면 자바 애플릿 사용)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자바 애플릿에 대한 버그로 인해 JVM이 해킹을 당하게 되어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라는게 일반적인 의견이다. 자바는 매년 꾸준히 버그가 보고되고 패치가 진행되어 왔지만 Sun이 오라클로..
-
국내에서도 이제는 대세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페이스북IT topics 2010. 9. 15. 23:37
전세계적으로 페이스북 열풍이 불고 있다. 예전에는 인기있는 SNS로 야금야금 사람들에게 알려지더니 SNS 시장을 평정해버렸고 이제는 No.1 인터넷 서비스라 불리는 구글마저 위협하는 정도로 엄청나가 커졌다. 이미 전세계 5억명 이상의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로 성장한 페이스북은 구글을 넘어 No.1 인터넷 서비스로 발돋움하려고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페이스북이 좀 일찍 들어왔다. 트위터가 국내에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것이 작년 중순부터라고 한다면 페이스북은 그 이전에 들어왔다. 대략 3년전에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했고 한글 서비스도 2년전부터 시작한 것으로 기억한다(이 부분은 헷갈릴 수 있다). 하지만 트위터가 빠른 시간 안에 국내에서 확실하게 자리잡고 있는 동안 페이스북은 그동안의 국내에 들..
-
점점 인터넷 활용을 높혀가고 있는 미국의 어르신들.. 하지만 국내는?IT topics 2009. 12. 18. 11:50
나이가 든 어르신들은 PC를 이용해서 뭐를 하실까? PC가 대중화되고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생활패턴 자체가 바뀌기 시작한지는 꽤 오래전부터인 듯 싶다. 젊었을 때 PC의 대중화를 지켜보고 나이가 들어서 인터넷의 확산 및 대중화를 지켜보던 5~60대, 혹은 그 이상의 연령을 지닌 어른들의 PC 이용행태, 혹은 인터넷 이용행태는 어떨까? 메셔블에서는 미국의 이런 노인(이라고는 하지만 난 그냥 '나이 든 어른들'이라는 표현이 더 좋다 ^^)들의 인터넷 사용행태를 닐슨의 통계보고를 기반으로 분석을 했다. 그래서 나 역시 그 포스트를 기반으로 한번 풀어볼까 한다. 최근 페이스북에 가입한, 혹은 활동중인 사용자들 중 많은 사람들이 나이 든 어르신들이라고 한다(여기서 어르신의 기준은 만 65세를 넘긴 분들을 뜻한다)..
-
블로그의 규모를 키우고 싶다면 소규모 블로그 네트워크를 시도해보자.Blog 2009. 2. 20. 14:15
요즘 프로 블로거라는 책을 읽고 있다. 데런 로즈가 만들고 블칵의 주성치님이 번역한 책인데 주성치님 블로그의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책을 받았다. 평소에 읽고 싶었던 책인데 딱 좋은 타이밍에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즐겁게 읽을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 프로 블로거라는 책은 ProBlogger.net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프로 블로거인 데런 로즈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통해서 어떻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최근 블로그마케팅이나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때에 흥미있는 내용들이 많은 책이라 생각이 든다. 뭐 수익을 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겠지만 일단 블로그를 통해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트래픽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이다. 물론 쓸..
-
포탈사이트, 뉴스는 증가하고 블로그는 감소하고...IT topics 2008. 11. 7. 09:56
작년에 비해 올해 포탈사이트의 서비스들 중에서 성장한 서비스들은 뭐가 있을까? 랭키닷컴이 작년 10월과 올해 10월을 비교하며 성장한 사이트와 답보, 후퇴한 사이트들을 정리했다고 해서 흥미있게 분석해봤다. 포탈사이트의 세션별 PV(페이지뷰) 증감비교 통계에 따르면 뉴스와 검색, 이메일 서비스는 증가한데 비해 블로그(미니홈피 포함), 커뮤니티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폭발적으로 성장한 블로그의 하락세가 눈에 두드러진다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물론 싸이월드 미니홈피까지 합친 수치라 23.26% 감소의 모든게 블로그 때문은 아닐 것이다. 계속 감소세에 있던 미니홈피에 블로그까지 점점 하락세를 면치 못한다는게 블로거 입장에서는 그닥 반가운 일은 아니지만 말이다. 포탈사이트의 뉴스세션의 PV증가가 의미하..
-
모바일 리눅스, 리모를 중심으로 힘을 내기 시작하나..Mobile topics 2008. 6. 30. 11:40
모바일 OS 시장이 계속 요동치고 있다. 일전에 노키아가 심비안 재단을 인수하고 심비안을 오픈소스화 시키겠다고 해서 한번 모바일 OS 시장에 지각변동을 예고했는데 이번에는 모바일 리눅스의 양대산맥인 LiPS 포럼이 LiMo 제단에 흡수된다는 소식이 들렸다. LiPS(립스) 포럼은 6월달 이후에 활동을 중지하고 LiMo(리모) 제단에 회원과 그 성과를 이관한다는 것이다. 앞으로 임베디드 모바일 리눅스는 리모를 중심으로 표준화 및 활성화가 진행될 듯 싶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역시 리눅스 기반이나 리모에서 내놓는 모바일 리눅스와는 그 성격이 다르므로 안드로이드와 리모 플랫폼은 분명 다른 OS가 될 듯 싶다. 그동안 모바일 리눅스는 일반 리눅스 커널을 임베디드 기기에 맞춰서 커스터마이징한 임베디드 리눅스를 기반..
-
구글, 설치형 프리미엄 검색엔진 선보여..IT topics 2008. 6. 3. 18:25
구글에서 기업 웹사이트나 대형 커뮤니티 등에서 구글 검색엔진을 내부 검색 서비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커스터마이징을 할 수 있는 구글 사이트 서치(Google Site Search)를 내놓았다. 회사 웹사이트에서 구글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웹사이트 내부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다. 구글 사이트 서치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웹사이트나 커뮤니티의 정보를 구글 검색엔진에서 사용하고 있는 웹크롤러를 이용하서 수집한다. 즉, 구글 검색엔진의 기술력을 기업 웹사이트나 커뮤니티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구글의 웹크롤링의 수집능력 및 분석능력은 이미 정평이 나있기 때문에 신뢰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이 장점이다. 구글 사이트 서치에서 내세우는 4가지 장점은 - 방문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의 증가 - ..
-
구글 그룹스라..IT topics 2007. 1. 23. 13:25
뉴스 원문 : 구글 그룹스, 한국어 서비스 시작 구글에서 구글 그룹스라는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를 시작했다. 자세히는 모른다. 직접 가입을 해서 이리저리 돌아다녀봐야 정확한 기능을 알 수 있을듯 하다. 뉴스에서 본 내용으로 유추하면 사용자 맘대로 그룹을 만들 수 있고 그 그룹안에서 사용자들끼리 서로 공지할 내용이나 스케쥴, 메일링 리스트를 나눌 수 있다고 한다. 또 게시판 기능도 있어서 그룹원들끼리의 의사소통도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RSS기능도 지원할련지는 모르겠다. 블로그가 있는 그룹원의 새 글들이 올라오면 바로 체크할 수 있는 RSS리더기능까지 있으면 완전 금상첨화일지도 모르겠다. 여하튼 쉽게 원하는 커뮤니티를 만들어서 활동할 수 있는 괜찮은 도구라 생각이 든다. 그룹웨어가 없는 소규모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