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후
-
구글, 검색시장의 성장률을 이끌고 있다...IT topics 2008. 8. 20. 11:57
해마다 검색엔진 시장은 조금씩 성장해가고 있다. 올해도 작년에 비해 3%의 성장을 이뤘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이러한 검색엔진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는 것은 다름아닌 구글이라는 점이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그렇다. 이미 구글은 검색엔진 시장 전체의 성장률을 넘었다. 전체 검색엔진 성장은 3%이지만 구글의 경우 16%나 성장했다. 야후가 11%, MSN이 10%, AOL이 9%나 까먹고 있는 와중에도 말이다. 구글이 미국 검색엔진 시장 점유율에서 60%나 차지하기 때문에 17%의 야후나 12%의 MSN이 암만 까먹어도 충분히 매꿀 수 있는 규모라고 할 수 있다. AT&T 월드넷 검색이 210%라는 경이적인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점유율이 0.4%밖에 안되어 그닥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도 순전히 구글 때문이다..
-
해외 IT 이슈들(구글폰, iPhone 3G, 구글, 윈도 7 등)IT topics 2008. 8. 19. 14:00
오늘의 IT 관련 이슈들을 한군데 가볍게 모아봤다. 물론 내 관심사에 대해서지만 말이다. 구글폰, 드디어 출시? 구글의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를 채택한 스마트폰이 드디어 출시가 된다. HTC는 Dream이라는 이름의 안드로이드를 채택한 스마트폰을 11월에 출시한다고 한다. 미국의 연방통신위원회(FCC)에 휴대폰을 인가한 것이다. 드디어 구글은 본격적으로 모바일 플랫폼인 안드로이드의 시장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일단 출시 예정일은 11월 10일이다. 이 때까지 FCC는 HTC의 기술적인 내용에 대한 보안을 지킬 의무가 있고 그 이후에 본격적으로 출시할 수 있다고 한다.출처 : 구글폰, 11월 10일 출시…美FCC, 'HTC 드림‘ 판매 승인 (ZDNet Korea) iPhone, 3G 버그 수정..
-
소셜 북마크 서비스 델리셔스, 2.0으로 버전업!IT topics 2008. 8. 1. 11:19
이 글을 보고있는 현재 블로거들(혹은 네티즌들)은 소셜 북마크 서비스를 어떤 것을 이용하고 있을까? 북마크라는게 예전에는 웹브라우져에서 제공하는 북마크 기능을 이용하여 다시 찾아가고 싶은 사이트나 웹페이지 URL을 등록하는 것으로 끝나곤 했는데 웹2.0 시대로 접어들면서 내가 북마크 한 URL을 다른 사람들에게 공개해서 서로 공유하는 소셜 북마크 서비스가 인기를 얻고 있다. 예전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나 파이어폭스(FF)에서 제공되는 북마크를 주로 사용했다. 웹브라우져를 키면 늘 존재하니까. 그래서 PC를 포멧하거나 아니면 다른 PC에서 북마크를 사용할려고 할 때는 IE의 경우 즐겨찾기를(FF는 잘 모르겠다) 압축해서 가져가서 그쪽에서 풀고 쓰곤 했다. 웹브라우져에 종속되다보니 이동성이 없는 것이 ..
-
강력한 메일 클라이언트, 짐브라 버전 3...IT topics 2008. 7. 28. 15:26
PC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서비스는 단연 Email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전에 PC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웹서비스에 대한 조사결과에서 1등이 MS의 아웃룩이 차지했다는 내용을 이 블로그를 통해서 전한 적이 있는데 아웃룩이 일정관리나 할일 관리, 주소록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은 역시나 메일 클라이언트라는 것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래서 MS가 미국에 한해서만이라도 아웃룩을 독립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매하는 방식을 취한게 아닐까 싶다. 아웃룩은 MS 오피스에 현재 속해있는 부속 어플리케이션이기 때문이다. 아웃룩을 사용하면 참 좋겠지만 MS 오피스를 사야하는 부담감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경..
-
구글, 검색엔진으로 모든 것을 말한다!IT topics 2008. 7. 11. 19:20
전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검색엔진은 구글이다. 유독 아시아권, 특히 한국에서는 죽을쓰고 있지만 유럽만 가더라도 구글 검색엔진 점유율은 80%에 달한다. 미국에서도 7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인터넷 검색엔진의 황제가 바로 구글이다. 이런 검색엔진을 기반으로 구글은 여러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전에 미국에서 야후의 서비스 사용현황에 대해서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이번에는 구글에 대해서 한번 써볼까 한다. 역시 자료는 미국의 통계정보를 제공하는 히트와이즈에서 발표한 2008년 6월 구글의 Top 20 서비스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해봤다. 구글은 야후나 MSN과 달리 메인 자체가 검색엔진이기 때문에 야후 검색(Yahoo Search)과 같은 검색엔진 서비스가 따로 없다. '구글 = 검색엔진'인 ..
-
야후에서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는 무얼꼬?IT topics 2008. 7. 11. 16:25
야후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어떤것일까? 일반적으로 야후는 포탈사이트지만 검색엔진에서 시작했기에 검색엔진(야후 검색)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미국의 통계정보회사인 히트와이즈에서 내놓은 자료를 보면 그런것은 단순히 선입견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히트와이즈는 2008년 6월에 미국에서 야후 서비스들 중에서 어떤 서비스를 네티즌들이 많이 이용했는가에 대한 통계를 내놓았다. 야후는 야후 그 자체 서비스보다 야후 메일이 더 인기있는 서비스라고 한다. 전체의 37%를 야후 메일이 차지했으니 말이다. 포탈서비스로의 야후도 30%로 그 다음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메일 서비스에 메인 서비스가 밀린 꼴이다. 야후 검색은 12%로 3위를 차지했다. 즉, 야후는 검색엔진보..
-
야후 짐브라, 스텐포드에서 구글와 MS를 제치다!IT topics 2008. 7. 10. 13:42
현재 교육시장에서의 웹메일 시장은 짐브라와 Gmail, 그리고 아웃룩/익스체인지의 3파전으로 압축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짐브라는 위의 다른 두 업체를 제치고 스텐포드 대학에 Email 솔루션을 공급하기로 했다는 소식이다. 최근 짐브라는 조지아 공대, 텍사스 A&M, 위스콘신 대학, 칼 폴리,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위의 두 업체를 제치고 Email 솔루션을 제공했다. 그리고 짐브라는 전세계적으로 300개가 넘는 대학에 Email 솔루션을 제공하는 저력을 보이고 있으며 150만여개의 .edu 도메인 Email 계정을 확보하는 쾌거를 낳았다. 야후와 구글의 대리인 싸움으로까지 보였던 짐브라와 Gmail의 스텐포드 대학 Email 솔루션 입찰 경쟁은 Gmail이 호주의 학교에 대용량 Email 서비스를 제공하..
-
새롭게 변화된 야후의 개인화 서비스, 마이야후!IT topics 2008. 7. 8. 20:05
마이야후가 변화하고 있다. 이번에 마이야후에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도입되어 올해 초부터 일부 사용자들에게 제공되었던 베타테스트를 끝내고 전사용자에게 모두 오픈하게 된 것이다. 현재 개인화 서비스에서 No.1을 지키고 있지만 구글의 개인화 서비스인 iGoogle에 맹추격을 당하는 입장인지라 야후 입장에서도 No.1 서비스의 입지를 다시 다져놓기 위해서 이번 개편(?)을 단행한 듯 싶다. 일단 변화된 마이야후의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마이야후에 비해 매우 깔끔하고 디자인면에서 보기가 좋다는 개인적인 평가를 내리고 싶다. 이번 릴리즈에는 다음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좀 더 많은 정보를 모듈로 제공받을 수 있다.플리커나 야후 캘린더 등의 다른 야후 서비스와의 통합 모듈이 더 많아졌다.Gm..
-
야후! 코리아, 파이어폭스에서 좀 깨지는 문제가..IT topics 2008. 6. 30. 17:55
국내 여러 포탈사이트들이 윈도 + 인터넷 익스폴러(IE)에 최적화 되어있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다. 특히나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FF)가 조금씩 인기를 얻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네티즌들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부분이 조금씩 부각되고 있다. 간단히 얘기하면 국내 포탈사이트들은 웹표준을 지키지 않고 오로지 윈도 + IE에 맞췄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는 얘기다. 그래도 최근에는 네이버, 다음 등의 포탈사이트들이 웹표준을 많이 지킬려고 노력을 하고 있는듯 보인다. 예전에는 FF에서 네이버나 다음에 들어가면 레이아웃이 깨지고 제대로 입력조차 안되었지만 최근에는 FF로도 무리없이 네이버나 다음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네이버의 경우 아무리 정책적으로 욕을 먹어도 이러한 접근성 부분에 있어서는 많이 개선하고 있는..
-
야후의 새로운 메일 도메인, Ymail!IT topics 2008. 6. 22. 12:00
메일 계정을 하나 더 만들었다. Ymail! 바로 야후 메일의 또다른 도메인이다. 구글의 Gmail처럼 야후도 야후(Yahoo)의 'Y'를 따서 메일 도메인을 제공하기 시작했다. 이렇게 메일 도메인을 바꾼데에 대한 의미는 대단히 크다. 구글의 메일 서비스인 Gmail은 구글 메일이기는 하지만 구글 메일이라는 인식보다는 그냥 Gmail이라는 자체 메일이라는 인식이 더 강하게 잡혀있다. 즉, @google.com보다는 @gmail.com이 더 사람들의 이식속에 강하게 남아있다는 얘기다. 구글의 종속된 서비스가 아닌 독립적인 메일 서비스라는 인식이 말이다. 야후는 그동안 야후!메일을 메인 메일 서비스로 사용해왔다. 메일 도메인도 @yahoo.com이었다. 야후!메일도 상당한 계정을 지니고 있다. 미국에서도 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