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폰
-
모바일 워커들이 생각하는 모바일 워크스타일이란? [인포그래픽]Mobile topics 2011. 8. 10. 08:30
재밌는 이야기일 수도 있고 우울한 이야기일 수도 있는데 모바일 워크스타일이라는 인포그래픽이 있어서 소개할까 한다. 스마트폰, 스마트 태블릿(아이패드, 갤럭시 탭과 같은 태블릿을 그냥 스마트 태블릿이라 칭한다)의 보급이 확산되고 무선 인터넷 환경이 좋아지면서 이런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해서 일에 적용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데 그것에 대한 인포그래픽이다. 이른바 사무실에서만 일할 필요가 없이 언제 어디서나 사무실이 될 수 있다는 직장인들에게는 좀 슬픈 이야기라는 얘기다.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를 해보면...직장인 5명 중 3명은 업무시간 내내 사무실에만 있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함일하는 사람(employee라고 하는데 고용인, 종업원이라고 하기는 좀 그래서)들 중 32%가 업무시간에 1개 이상의 모바일 디바..
-
[VTB-09] 국내에 나온 대부분의 스마트폰, 패드를 다 아우르는 고용량 충전기!Review 2011. 4. 28. 11:50
아이폰, 안드로이드 폰과 같은 스마트폰들이 국내에 많이 보급이 되고 또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과 같은 타블릿들도 많이 보급이 된 요즘에 있어서 아이폰이나 갤럭시 S, 블랙베리와 같은 스마트폰 만이 아니라 아이패드나 갤럭시 탭도 같이 들고 다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또한 스마트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율도 상당히 높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보통은 스마트폰만 들고 다니고 충전은 회사나 집에서 하곤 하지만 어디 여행을 가던지, 아니면 지방출장 등 단기, 혹은 장기적으로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지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그럴 경우에는 많은 사람들이 보조 배터리, 충전기 등을 같이 들고 다닌다. 그런 의미에서 오는 괜찮은 충전기 하나를 소개할까 한다. LUXXO에서 나온 제품으로..
-
Android와 iOS 플랫폼을 바라보는 개발자들의 느낌은?Mobile topics 2010. 10. 5. 11:50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현재 전세계 모바일 시장을 이끌고 나가고 있는 거대한 두개의 플랫폼이다. 엄밀히 따지면 아이폰, 아이팟 터치, 아이패드 등의 애플 모바일 디바이스의 모바일 플랫폼인 iOS와 디자이어, 드로이드, 갤럭시S, 옵티머스 시리즈, 엑스페리아 X10, 갤럭시 탭 등 다양한 안드로이드 단말기들에 탑재되어있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싸움이지만 말이다. 현재 스마트폰 시장은 iOS와 안드로이드의 싸움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올해 말에 MS의 회심의 일격이라 불리는 윈도 폰 7(Windows Phone 7)이 탑재된 스마트폰이 나오기 시작하지만 3파전이 되지는 않을 듯 싶고 iOS와 안드로이드의 싸움 속에서 어느 정도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정도가 되지 않을까 예상을 해본다. 이렇듯..
-
아이폰이 가져온 국내 통신시장의 긍정적인 변화. 정신차리고 있는 국내 회사들..Mobile topics 2010. 9. 29. 09:47
이번에 아이폰 사용자수가 100만이 넘었다고 한다. 물론 작년에 출시했던 아이폰 3Gs와 이번에 출시한 아이폰4를 합친 수치이기는 하지만 해외 스마트폰으로 100만을 넘겼다고 하니 참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작년에 아이폰 3Gs(아이폰 3G까지 포함해서)가 나왔을 때 많이 팔려야 2~30만정도가 아니겠는가 했지만 내외부 요인들이 적절하게 잘 조화(?)가 되어 100만이 넘는 사용자가 나오게 되었다. 지금도 꾸준히 개통되고 있으니 앞으로 더 늘어날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솔직히 아이폰의 100만 사용자가 의미하는 것은 아이폰 자체 뿐만이 아니다. 아이폰으로 인해 국내에 통신환경이 완전히 뒤바뀌어졌음을 주목해야 할 듯 싶다. 스마트폰의 무덤이라고까지 불리웠던 한국인데(워낙 애니콜, 싸이언과 같은 피쳐폰들이..
-
안드로이드 3.0 이후 차기 안드로이드 버전인 허니콥은 구글 타블릿 전용 안드로이드?Mobile topics 2010. 8. 28. 14:01
현재 가장 최신의 안드로이드 버전은 안드로이드 2.2이며 프로요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올해 말에 나올 것이라고 얘기가 나오고 있는 안드로이드 3.0은 진져브래드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그동안 구글은 자사에서 제공하는 간식을 갖고 안드로이드의 코드이름을 C부터 붙여왔다. 컵케익(CupCake), 도넛(Donut), 이클레어(Eclair), 프로요(Froyo), 그리고 진져브래드(GingerBread). 그리고 진져브래드 이후의 안드로이드 코드명이 또 공개가 되었다. 이게 안드로이드 3.1이 될지, 아니면 안드로이드 4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이름은 허니콥(Honeycomb), 벌집이라는 말인데 구글이 제공하는 간식들 중에서 벌집이 있는가보다(구글 사내에 양봉장이 있을까? ㅎㅎ). 여하튼간에 ..
-
AMOLED와 Super LCD의 비교를 통한 차이점. 난 그 차이점을 못느끼겠는데..Mobile topics 2010. 8. 16. 11:50
최근 AMOLED의 품귀현상으로 인해 몇몇 스마트폰들이 Super LCD(SLCD)로 스크린을 대체한다는 뉴스를 본적이 있다. 구글의 넥서스 원이나 HTC의 디자이어 등이 그렇게 생산할 것이라고 알려졌으며 이것들 외에도 많은 제품들이 AMOLED에서 SLCD로 바뀌거나 아예 처음부터 SLCD를 탑재하여 생산될 것이라고 한다. 마침 CNet에서 AMOLED와 SLCD를 간단하게 비교한 사진들이 올라왔길래 비교를 해봤다. 위의 사진 중 왼쪽이 SLCD고 오른쪽이 AMOLED다. 확실히 밝기 부분에서는 AMOLED가 SLCD보다는 좋다. 색감이 강하다고 해야할까 동영상을 볼 때나 여러가지 부분에서 밝은 화면은 유리한 점이 많다. 다만 너무 밝다보면 해상도 부분에서 조금 뭉개지는 현상이 보이곤 하는데 이 부분은..
-
[디자이어] 안드로이드 마켓과 T 스토어, 디자이어의 풍부한 앱 생활을 누리자!Review 2010. 8. 9. 08:30
애플의 아이폰이 지금까지 이렇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는 다름아닌 앱스토어의 존재때문이다. 아이폰에서 실행할 수 있는 20만개가 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유통시켜주는 모바일 장터인 앱스토어의 존재는 아이폰을 단순한 휴대폰이 아닌 게임기로, 모바일 SNS 클라이언트로, 전자책으로 탈바꿈 시켰다. 구글 역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위한 모바일 장터인 안드로이드 마켓이 존재한다. 국내외에서 나온 모든 안드로이드 탑재 구글 폰들이 다 안드로이드 마켓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6만여개가 넘는 어플리케이션이 등록되어있어서 앱스토어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규모적으로 성장했다. 이번에 SKT를 통해서 출시된 HTC의 디자이어 역시 안드로이드 폰들 중 명품으로 꼽히는 구글 폰인만큼 위에서 언급한 안..
-
아이폰에만 너무 집중하는 것처럼 느껴지는 외줄타기같은 KT의 스마트폰 전략Mobile topics 2010. 8. 7. 16:53
* 이 글은 아이폰에만 너무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고 느껴지는 KT의 행보에 대해서 걱정이 좀 되어 나름대로의 비판적인 견지를 적은 글입니다. 개인적인 소견을 썼음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왼쪽부터 HTC 디자이어(Desire), Google 넥서스 원(Nexus One), 삼성 갤럭시S. 요즘 가장 뜨거운 안드로이드 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SKT가 갤럭시S를 선두에 지르고 뒤에 디자이어 및 엑스페리아 X10, 베가 등을 깔면서 한국의 안드로이드 폰 시장을 강력하게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상황에서 KT는 구글의 정식 구글 폰인 넥서스 원으로 맞불을 놓은 상태다(참고로 위의 넥서스 원은 KT에서 출시한 넥서스 원이 아닌 직접 미국에서 들여와서 개인인증을 받고 개통한 넥서스 원으로 KT 뿐만 아니라 SK..
-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에서 아이폰과 비등해진 안드로이드, 하지만 곧 주류로...Mobile topics 2010. 7. 29. 09:15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의 지형은 어떻게 되어있을까? 수많은 블로그나 트위터에서 안드로이드와 아이폰을 비교하면서 어느 플랫폼이 더 우수하냐, 좋으냐, 맞냐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스마트폰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아이폰과 안드로이드 폰은 마치 숙명의 라이벌처럼 서로 물고 물리는 싸움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또 일부 언론이나 블로거들은 그렇게 분위기를 유도하기도 한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아이폰이 안드로이드 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를 지니고 있었으며 한국 스마트폰 시장을 쭉 이끌고 왔던 것이 사실이다. 서두에 잠깐 언급했듯 한국의 스마트폰 시장의 지형은 어떻게 되어있을까에 대해서 말하고자 한다면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는 한국에서는 안드로이드가 주류를 이룰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직까지는 아이폰과 팽팽..
-
아이패드로 인해 안드로이드는 크롬 OS와도 경쟁해야 할 운명이...Mobile topics 2010. 7. 23. 09:38
애플의 아이패드가 타블릿 시장을 크게 요동친 이후에 제조사들이 다시 바빠지기 시작했다. 아이폰으로 스마트폰 시장을 뒤흔든 덕분에 제조사들이 안드로이드를 탑재한 구글 폰들을 무자비하게 내놓기 시작했는데 이제는 아이패드로 인해 제조사들이 아이패드에 대항할(?) 타블릿을 내놓을려고 준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이폰도 그렇고 아이패드도 그렇고 시장 자체를 뒤흔드는데 있어서 애플이라는 기업은 정말로 대단한 듯 싶다. 시대를 선도하고 있다는 말이 딱 맞아 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폰에 이어 아이패드에 대한 대응책으로 또 다시 안드로이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똑같은 iOS를 기반으로 동작하고 있기 떄문에 안드로이드 폰과 연계하기 위해서는 같은 OS인 안드로이드를 타블릿에도 적용해서 아이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