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
-
조금씩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폰 시장. 올해에는 얼마나 더 성장할까?Mobile topics 2009. 3. 13. 10:59
가트너에서 재미난 보고서를 하나 냈다. 전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이 2007년도 4분기에 비해 2008년도 4분기에 3.7% 성장했다는 내용이다. 모바일 시장은 13.9%가 성장했다고 한다. 내용을 얼추 정리해보자면 노키아가 여전히 스마트폰에서, 그리고 피쳐폰(노말폰)에서 No.1을 고수하고 있지만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고 RIM과 애플, HTC, 삼성 등의 회사들이 점점 성장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일단 스마트폰의 점유율 변화를 살펴보자. 위의 표는 2007년 4분기와 2008년 4분기의 비교자료다. 2007년에 51%나 차지했던 노키아가 2008년 4분기에는 41%로 점유율은 10%나 줄어들었으며 매출액은 17%나 줄었다. 하지만 블랙베리의 RIM은 11%에서 19%로 8%의 성장과 매출액은 85% 성장을..
-
경기불황때 성장하는 인맥관리형 SNS, LinkedInIT topics 2009. 2. 14. 23:59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SNS는 마이스페이스다. 가장 인기있다기 보다 아직까지 적어도 미국내에서의 No.1 SNS는 마이스페이스가 차지하고 있다. 비록 페이스북의 맹추격이 이어지고 있고 한국에서는 철수하는 등 그닥 분위기는 않좋지만 말이다. 전 세계 No.1 SNS는 페이스북이 차지하고 있지만. 그런데 미국에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는 SNS는 뭘까? 다름아닌 링크드인(LinkedIn)이다.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베보 등 다양한 SNS가 있지만 대부분이 비슷비슷한 형식과 목적을 갖고 있는데 링크드인의 경우 목적 자체가 분명한 SNS이기에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과는 좀 다른 성격을 지닌다. 마이스페이스나 페이스북은 자신의 프로필을 공개하고 다른 친구와 댓글이나 글, 공유 등으로 소통하는 것이 목적인 SN..
-
Gmail의 거침없는 성장에 AOL, 핫메일은 긴장할 필요가 있다!IT topics 2009. 1. 17. 19:29
Gmail의 거침없는 성장이 눈부실 정도다. 구글은 Gmail을 4년전에 런칭했고 지금은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Email 서비스로 자리잡고 있다. 순위로만 따지면 미국에서 2008년에 야후 메일, AOL 메일, 윈도 라이브 핫메일 다음을 차지하는 웹메일 서비스로 성장했다. 그리고 올해도 이러한 거침없는 성장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 생각이 든다. 구글은 작년에 무려 43%나 성장한 2960만명의 사용자 방문(UV)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에 야후 메일은 11%가 성장한 9190만명을 기록했으며 AOL 메일은 AIM 메일 방문자까지 포함하여 4660만명을 기록했다. 핫메일은 5%가 감소한 4350만명이 방문했다고 한다. 핫메일은 감소하고 Gmail은 성장하고 있으니 메일 서비스에서마저 MS와 구글은 서로 맞물..
-
페이스북, 과연 미국에서도 마이스페이스를 제칠 수 있을까?IT topics 2009. 1. 13. 20:28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 이들 두 서비스는 전세계를 양분하고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다. 마이스페이스가 먼저 시작했고 먼저 뜨기 시작했지만 페이스북의 엄청난 추격에 결국 전세계 SNS 시장 1위 자리를 작년에 내주고야 말았다. 그리고는 마이스페이스는 정체, 페이스북은 지속적인 성장으로 그 격차는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런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의 관계지만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에 앞서있는 상태다. 즉, 페이스북이 글로벌하게는 마이스페이스를 이겼을지 몰라도 적어도 미국에서만큼은 마이스페이스의 안방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는 얘기다. 물론 페이스북의 추격도 엄청나지만 말이다. 그런데 조만간 이러한 마이스페이스의 1등 행진에 제동이 걸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페이스북의 미국..
-
미국 검색시장, 구글 Up!, MS Down!IT topics 2009. 1. 6. 09:24
미국의 검색시장에서 구글과 MS의 격차는 점점 벌어져서 이제는 비교할 수도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는거 같다. MS가 왜 그렇게 야후를 인수하고 싶어했는지 잘 알수 있는 대목이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고 말이다. 적어도 인터넷 시장에서 검색분야만큼은 구글은 타 검색엔진에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 싶은데. Nielsen Online에서 조사한 2008년 11월 검색엔진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이러한 차이는 뚜렷히 나타나고 있다. 2007년 11월 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구글은 성장했고 MS는 퇴보했음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2008년 11월 통계로 미국 전체 검색엔진 점유율 64%를 차지하고 있다. 야후는 16%, MSN/라이브검색은 9%, AOL은 4.3%를 차지하고 있다. 구..
-
크롬, 구글의 공격적인 확산 정책으로 성장을 시작하나...IT topics 2009. 1. 3. 13:44
구글이 크롬을 본격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해 공격적인 크롬 확산 전술을 펼치고 있다. 현재 구글 크롬이 웹브라우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세계기준으로 넷어플리케이션즈의 통계로 볼 때 1.04%(IE는 68%, FF는 21%, 사파리는 8%)를 차지하고 있다. 몇달 전에는 0.7%로 오페라 수준에 머물렀는데 구글의 공격적인 마케팅 덕분인지 1%로 다시 회복한 듯 싶다. 구글은 최근 크롬을 확산시키기 위해 크롬을 정식버전으로 승격(?)시켰다. 베타 딱지를 떼면서 여러 문제로 있었던 오디오 재생이나 비디오 재생 부분을 많이 손본 듯 싶은데 여전히 자잘한 버그들은 남아있다고 여러 버그리포트들이 올라오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구글의 다른 서비스들이 여전히 베타 딱지를 못떼고 있는 상황에서 크롬을 먼저 정식버전으..
-
2008년 학주니닷컴 통계Blog 2008. 12. 31. 18:13
뭐 다들 하는 통계지만 그래도 학주니닷컴의 2008년 연말정산(?)을 좀 해볼까 한다. 2년동안 운영하고 있는 학주니닷컴을 정리했을 때 2007년은 블로고스피어에서 자리를 잡아가면서 팽창했던 시기라면 올해 2008년은 대내외적으로 나름 인지도를 굳히는 시기였다고 본다. IT 블로그로서 나름 이름도 조금씩 알렸고 태터엔미디어에 파트너로 가입도 되었고 여러군데서 칼럼을 써달라는 요청도 조금씩 받았고 말이다. 또한 위자드닷컴의 추천블로그, 또 티스토리 우수블로그에 선정됨으로 블로거 학주니로서는 나름 기반을 다지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이제 2008년도에 학주니닷컴이 어떻게 운영되어왔는지 좀 살펴볼려고 한다. 얼마나 글을 썼으며 얼마나 댓글이 달렸으며 얼마나 트랙백이 오갔는지. 이 모든 것들이 블로그의 소통..
-
포탈사이트, 뉴스는 증가하고 블로그는 감소하고...IT topics 2008. 11. 7. 09:56
작년에 비해 올해 포탈사이트의 서비스들 중에서 성장한 서비스들은 뭐가 있을까? 랭키닷컴이 작년 10월과 올해 10월을 비교하며 성장한 사이트와 답보, 후퇴한 사이트들을 정리했다고 해서 흥미있게 분석해봤다. 포탈사이트의 세션별 PV(페이지뷰) 증감비교 통계에 따르면 뉴스와 검색, 이메일 서비스는 증가한데 비해 블로그(미니홈피 포함), 커뮤니티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 폭발적으로 성장한 블로그의 하락세가 눈에 두드러진다는 것이 특이한 점이다. 물론 싸이월드 미니홈피까지 합친 수치라 23.26% 감소의 모든게 블로그 때문은 아닐 것이다. 계속 감소세에 있던 미니홈피에 블로그까지 점점 하락세를 면치 못한다는게 블로거 입장에서는 그닥 반가운 일은 아니지만 말이다. 포탈사이트의 뉴스세션의 PV증가가 의미하..
-
세계적으로 성장중인 SNS, 그리고 페이스북...IT topics 2008. 8. 13. 13:25
전 세계적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성장이 눈부시다.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Hi5, OrKut 등의 SNS는 이제 북미와 유럽 뿐만 아니라 아시아를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 그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는 추세다. 일단 한국만 보더라도 마이스페이스는 한국지사를 설립하고 한국어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페이스북과 Hi5도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점유율은 조금씩 점점 높아져가고 있는 추세다. 위의 표를 보면 알겠지만 작년에 비해 올해는 SNS의 UV가 비약적으로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100% 이상의 성장을 보인 페이스북과 Hi5는 점점 SNS 시장에서 블루칩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의 3%가 조금 맘에 걸리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SNS가 20% 이상의 성장을 ..
-
페이스북, 이제는 No.2 SNS라고 부르지마라!IT topics 2008. 6. 16. 11:43
현재 전 세계적으로 SNS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2개의 서비스가 있다.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이 바로 그것인데 지금까지는 마이스페이스가 1위, 페이스북이 2위였다. 하지만 이제는 페이스북이 2위라고 말할 수도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다. 페이스북의 UV(Unique Visitor)가 마이스페이스의 그것과 이제는 동등해졌기 때문이다. 작년 4월에는 마이스페이스의 절반도 채 못미쳣는데 점점 성장하다가 1년만에 마이스페이스를 따라잡은 페이스북의 성장이 놀랍다. 이제 페이스북은 전세계적으로 1억 15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접속하는 SNS의 대표주자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미국에서는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보다 앞서있다는 통계도 같이 나와서 비교가 되고 있다. 전세계적인 성장에 비해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