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
MS, 아웃룩을 독립 어플리케이션으로 출시IT topics 2008. 2. 12. 17:16
많은 사람들이 메일 클라이언트로 사용하고 있는 아웃룩이 독립 어플리케이션으로 따로 판매될 예정이라고 한다. 하지만 미국에 한해서만이라고 한다. 한국이나 유럽 등의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는 독립형 아웃룩 프로그램을 구입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 직접 사던지 아니면 좀 기다려야 할 듯 싶다. 가격은 $149.95라고 한다. MS가 아웃룩을 독립형으로 따로 판매할려고 하는 이유는 많은 사용자들이 메일 클라이언트로 아웃룩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아웃룩이 MS 오피스에 포함되어 배포되기 때문에 아웃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S 오피스를 구입해야 했다. 이 MS 오피스의 가격이 장난이 아닌지라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동안 MS는 아웃룩 익스프레스라는 아웃룩의 마이너 버전을 윈도에 기본 프로그램으로 제공해왔다. 아웃..
-
급성장중인 페이스북, 하지만 마이스페이스의 독주는 여전?IT topics 2008. 1. 17. 15:24
미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는 무엇일까? 요즘 이름이 많이 거론되고 있는 페이스북이 무서운 기세로 미국의 SNS 시장을 질주하고 있지만 여전히 마이스페이스의 아성은 높기만 하다. 미국의 리서치 전문 회사인 히트와이즈(Hitwise)에서 각 SNS의 트래픽 현황을 통계로 보여줬다. Facebook Up, But MySpace Still Leads By A Very, Very, Very Long Way (TechCrunch) 2006년 12월 통계치와 비교해서 보면 어떤 SNS가 점점 인기를 끌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마이스페이스가 72%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뒤를 페이스북이 쫒아오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베보나 블랙플랜트와 같은 다른 SNS은 1%..
-
움직이는 이미지의 $100 지폐가 곧 등장?Current topics 2007. 8. 27. 08:30
미국 $100 지폐에 마법이 깃든다고 한다. 뭔 헛소리냐 하면, 미화 $100 지폐에 지폐를 움직이면 도안된 이미지들에 변화가 생기도록 지폐를 만들 것이라고 한다. 美 100달러 지폐에 '첨단기술' 심는다 (아이뉴스24) 이는 곧 영화 헤리포터 시리즈에서 나오는 신문안의 사진들이 움직이거나 동영상으로 보이는것과 비슷한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현재 $100 지폐에는 벤자민 플랭클린이 새겨져 있으며(C-노트라고 불린다) 이것은 위조범들의 메인 타겟이 되고 있다고 한다. 미국 밖에서도 많은 위조가 일어나고 있어서 미국 정부가 꽤 곤욕스러워하고 있는데. 그래서 60년만에 화페의 디자인이 바뀐다고 한다. 새로운 화폐 보안장치로 움직이는 이미지를 화폐에 구현함으로 위조를 최대한 막겠다는 것이 미국의 복안인듯 싶..
-
야후, 처음으로 구글 제쳤다IT topics 2007. 8. 14. 19:20
미국에서 야후가 고객만족도에서 구글을 처음으로 제쳤다고 한다. 야후, 처음으로 구글 제쳤다 (아이뉴스24) 야후는 미국의 미시건대학에서 매년 발표하고 있는 미국 소비자 만족지수(ACSI)에서 79점을 획득해 78점을 획득한 구글을 제쳤다고 발표했다. ACSI 조사는 미국 전역에서 70만명에게 웹사이트 사용 경험 만족 및 자신의 이상적인 경험과의 비교를 바탕으로 점수를 매기는 방식을 취한다. 야후가 구글에 앞섰던 이유로는 야후 메일의 획기적인 혁신이 사용자들에게 큰 인상을 준 것이라고 한다. 야후는 야후 메일을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용량제한을 없앴다. 구글의 경우 검색 분야에서는 여전히 선두지만 iGoogle이나 구글 맵 등의 서비스에서는 소비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심어주는데 실패했다고 한다. 미국안..
-
버그 사냥꾼「돈을 낼래, 고생 좀 할래?」Security 2007. 8. 9. 14:11
미국의 한 보안관련 업체가 논란의 여지가 분명한 사업 모델을 선택하면서 소프트웨어(SW) 버그를 공개하는 방식을 둘러싸고 논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버그 사냥꾼「돈을 낼래, 고생 좀 할래?」 (ZDNet Korea) Bug hunting start-up: Pay up, or feel the pain (CNetNews.com) 위의 기사를 읽다보면 참 열받는다. SW의 버그를 알려주는 것은 고맙지만 그걸 무기로 이용해서 기업에 협박을 하고 버그 해결책을 제공하는 방식은 분명 문제가 있다. 야렛 드모트가 지난 4월에 설립한 취약점 발견 및 분석 연구소(VDA)는 기존에 나와있는 SW에서 찾아낸 버그를 해당 SW 개발업체에 알려주는 일을 한다. 여기까지는 다른 보안업체에서도 하는 일이다. 그런데 문제는 VDA는..
-
미 유명 블로거들「제발 내 글 좀 훔쳐가지 마」Blog 2007. 8. 9. 10:12
블로그의 불펌에 대한 부분은 비단 국내의 문제만도 아닌듯 하다. 우리나라보다 블로그 네트워크가 더 많이 발달된 미국의 경우도 블로그의 불법 펌질로 인해서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말이다. 미 유명 블로거들「제발 내 글 좀 훔쳐가지 마」 (ZDNet Korea) Please don't steal this Web content (CNetNews.com) 기사에 따르면 로렐 반포센은 여행 작가이며 사진사다. 또한 그는 상당히 인지도가 높은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부분이 온라인 표절과 복제 문제라고 한다. 자신의 블로그에 있는 글을 무단으로 퍼가서 다른 상업용 블로그 등에 게제해서 부당 이득을 취하는 것에 상당히 가슴아파(?)하고 있다고 한다. 그의 말을 인용하면 ..
-
25년간 가장 영향력이 큰 IT 제품은 인터넷 익스폴러(IE)IT topics 2007. 8. 2. 16:00
미국에서 IT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MS의 IE가 25년간 가장 영향력이 있는 IT 제품으로 선정이 되었다고 한다. IE 「25년간 영향력 가장 컸다」(ZDNet Korea) CompTIA: IE voted 'most influential' tech product (CNetNews.com) 이 설문조사는 설립한지 25년이 되는 미국컴퓨팅기술산업협회(the Computing Technology Industry Association: CompTIA)에 의해 실시되었다고 한다. 설문 대상은 471명의 IT 전문가들이었고 5, 6월에 걸쳐서 조사했다고 한다. 또한 설문은 복수선택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한다. 이 단체에서 조사한 이 내용에 보면 상위 5위 중에서 iPod 하나 빼고는 모두 MS 제품들..
-
미국 FCC "망 개방 허용, 주파수 재판매는 불허"IT topics 2007. 8. 2. 11:04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700MHz대 주파수의 재판매는 허용하지 않았지만 700MHz대 주파수 낙찰 기업에게는 통신망의 완전 개방을 의무화하도록 했다. 美FCC "망 개방 허용, 주파수 재판매는 불허" (아이뉴스 24) 미 통신위 무선 규제에 구글 ‘방긋’ (ZDNet Korea) FCC backs some 'open' wireless requirements (CNetNews.com) 구글이 뛰어들면서 이슈가 되었던 부분이다. 구글, 모바일 분야에까지 영역을 확장할려고 시도 중.. (7/25) 구글, 모바일 분야 진출에 제동이 걸리다 (7/26) 구글은 700MHz대 주파수 경매에 참가해서 주파수를 획득하면 이통사와 경쟁해서 구글 전용 무선사업을 할려고 했던가 같았다. 하지만 FCC가 주파수 재판..
-
최적의 애드센스 배치를 연구하면서..Blog 2007. 8. 2. 09:17
최근 블로그들이 급증하기 시작했다. 블로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블로고스피어의 규모가 커지면서 언론들을 통해서 블로그에 대한 이야기들이 흘러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 결과로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된 것이다. 기존의 개인 홈페이지를 운영하는 것보다 훨씬 간단하고 또한 기능이 강력하며 한때 유행하던(지금도 유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싸이월드 미니홈피보다는 좀 더 스케일이 큰 블로그만의 매력에 많은 사람들이 빠져들고 있다고 생각이 든다.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로그를 통해서 수익을 얻고자 노력을 했다. 그래서 구글의 애드센스나 다음의 애드클릭스, 올블로그의 올블릿 등의 수익을 낼 수 있는 서비스들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도 그런 수익 프로그램을 ..
-
MS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미국의 기업들..IT topics 2007. 7. 11. 16:00
CNetNew.com에서는 미국의 한 기업(Capital & Regional이라는 부동산 기업)이 MS의 공격적인 라이센스 정책 때문에 MS의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Linux Desktop과 Apple의 Mac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맥과 리눅스로 MS서 탈피하는 미 기업 (ZDNet Korea) Mac desktops are 'smarter money,' says CIO (CNetNew.com) 위의 회사는 700여대의 PC에 Windows XP Pro와 Office XP Pro를 구동중이라고 한다. 그런데 MS의 공격적인 라이센스 정책때문에 고민이 아주~ 많다고 한다. 특히나 Windows Vista로의 업그레이드에 대한 회의성을 나타내며 MS에 너무 종속적인 현재 상황을 탈피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