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
월패드 해킹에 대한 정리Security 2021. 12. 14. 18:02
이 글을 쓰는 시점에서는 좀 시기가 지난 얘기(?)일 수도 있겠지만 최근들어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편의성을 위해 설치된 월패드를 해킹해서 안에 사는 사람들의 사생활이 유출되는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 지금은 아니지만 과거에 관련 보안업계에서 일했던 사람으로서 관심이 있어서 어떤 상황인지 조금 정리를 해보고자 한다. 월패드가 뭔가? 일단 월패드가 뭔지부터 좀 봐야할 듯 싶다. 내 경우 월패드가 설치된 아파트에서 살아본 경험이 없어서 그런지 월패드라고 하면 그냥 대문이나 아파트 입구의 카메라를 통해서 방문자를 확인한 후 문을 열어주거나 관리실이나 경비실과 통화할 때, 혹은 다른 집과 통화를 할 때 쓰는 기기 정도로 알고 있다. 그런데 요즘 월패드는 그정도를 넘어서 홈네트워크 허브, 홈 디바이스 컨트롤러..
-
외국 밴더들이 장악하고 있는 기업용 무선랜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는 삼성 스마트 무선랜 이야기IT topics 2015. 4. 8. 11:57
네트워크 시장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외국계 회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이름만 들어도 다 아는 시스코(Cisco, 해충 박멸 업체인 세스코가 아니다 ^^)가 업계 1등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도 외국 기업의 제품들이 네트워크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유무선 네트워크 시장이 다 그렇다. 개인용 무선랜 시장은 뭐 IPTime과 같은 국내 업체에서 만든 무선 공유기가 많이 팔려서 쓰이고는 있지만 기업형 무선랜 시장은 앞서 얘기했듯 시스코가 짱을 먹고 있고 그 다음에가 아루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해외 업체들이 판치는 기업형 무선랜 시장에서 삼성 스마트 무선랜이 시스코, 아루바와 경쟁을 하면서 국내 기업형 무선랜 시장에서 선전하고 있다. 오늘은 삼성 스마트 무선랜에 대해서 얘기해볼까 ..
-
모바일 보안, 이제는 모바일 가상화와 클라우드 모바일 가상화가 대세가 되지 않을까?Security 2014. 4. 21. 16:27
최근들어 직장인들의 업무 스타일에 많은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예전에는 사무실에 앉아서 PC를 통해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면 요즘에는 노트북이나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이동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갖고 사무실이 아닌 이동 중의 대중교통 안에서나 집 근처, 혹은 고객사 근처의 카페, 아니면 어느 한적한 공간에 가서 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성능이 높아지고 무선 인터넷 환경이 좋아지면서 생겨난 하나의 풍토라고 보여진다. 답답한 사무실에서 벗어나서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시간을 아껴가며 좋아하는 분위기에서 업무를 진행하게 되면 개인 입장에서는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고 시간 활용성이 좋아지며 기업 입장에서는 공간 활용성이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다보니 기업에서는 기업용으로..
-
블로그의 규모를 키우고 싶다면 소규모 블로그 네트워크를 시도해보자.Blog 2009. 2. 20. 14:15
요즘 프로 블로거라는 책을 읽고 있다. 데런 로즈가 만들고 블칵의 주성치님이 번역한 책인데 주성치님 블로그의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책을 받았다. 평소에 읽고 싶었던 책인데 딱 좋은 타이밍에 이벤트에 당첨되어서 즐겁게 읽을 수 있게 되어서 다행이다. 뭐 이 프로 블로거라는 책은 ProBlogger.net이라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프로 블로거인 데런 로즈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를 통해서 어떻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가에 대한 내용을 담은 책이다. 최근 블로그마케팅이나 블로그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는 때에 흥미있는 내용들이 많은 책이라 생각이 든다. 뭐 수익을 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겠지만 일단 블로그를 통해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많은 트래픽이 있어야 한다는 것은 기본이다. 물론 쓸..
-
병원 업무를 마비시킨 (컴퓨터) 바이러스...Security 2008. 11. 19. 12:50
병원이 바이러스 감염으로 홍역을 치뤘다고 한다. 우라나라 얘기는 아니고. 런던의 3개의 병원에서 바이러스 감염으로 업무가 마비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한다. 눈치빠른 사람들은 알겠지만 일반 바이러스 얘기가 아니다. 바로 컴퓨터 바이러스로 병원의 업무가 마비되는 해프닝이 벌어졌다고 한다. 영국 런던의 3개의 병원에 네트워크 시스템이 컴퓨터 바이러스 감염으로 다운되었다고 한다. 병원은 대부분의 응급시스템부터 전체 시스템을 병원 내부의 네트워크에 연결해서 업무진행을 하는데(이건 국내도 비슷하다) 이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되었으니 얼마나 큰 혼란이 있었을지 알만하다. 네트워크를 다운시킨 주범은 Mytob worm이라는 트로이 목마 바이러스로 이메일 등을 통해서 감염되는 말 그대로 악성코드다. 일단 병원측에서는 메뉴..
-
미래를 여는 IT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Cloud service 2008. 10. 20. 08:12
요즘 웹2.0 세계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라는 단어가 점점 각광을 받고 있다. 구글과 IBM, MS 등의 유수의 밴더들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투자를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이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솔루션들이 조금씩 모습을 보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웹2.0 기술들 중에서 블로그, 온라인 오피스 등의 웹 어플리케이션의 전성기 뒤에 모습을 감추고 있었던 SaaS(Service as a Software) 기술과 PaaS(Platform as a Service) 기술, 그리고 그 뒤에 당당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웹2.0을 대변하는 기술로 점점 사람들과 업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그렇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무언가? 제목 그대로 해석하자면 구름과 뭔가..
-
인터넷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Cloud service 2008. 9. 1. 18:09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트래픽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무엇일까? 인터넷 트래픽 속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오가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많은 트래픽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아닌 P2P 데이터들이 아닐까 싶다. P2P 서비스의 대명사인 비트토랜트부터 시작하여 국내에서는 음악공유 서비스인 소리바다나 아니면 웹하드 서비스들이 그런류의 트래픽을 유발하는 서비스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서비스들이 왜 이리도 트래픽을 많이 잡아먹느냐고 말한다면 이들이 다루고 있는 데이터들이 기본적으로 대용량 데이터들을 다루기 때문이다. 영화, 드라마, 게임 데이터등 뭐 기본이 4~500MB들로 구성된(최근에는 동영상들이 1GB가 넘는게 많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데이터들이 서로 오가다보니 인터넷 트래픽의 상..
-
아직 실체는 존재하지 않는 MS의 새로운 OS 프로젝트 '미도리'Cloud service 2008. 8. 7. 14:48
요즘 MS의 새로운 OS 아키텍쳐인 코드명 '미도리'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보여지고 있다. 일단 알려진바로는 MS의 내부 프로젝트 중 하나며 기존 윈도에서 제공했던 형태과는 다른 형태의 OS라는 점이다. 또한 기존의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싱귤레리티(Singularity)'와 관련이 있다는 것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지향한다는 것 정도만 알려져있고는 나머지는 철저하게 비밀에 붙여져 있다. 뭐 솔직히 싱귤레리티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 하드웨어(HW)에 의존적이지 않는 OS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하는 얘기만 인터넷을 통해서 본 기억이 전부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용 OS라는 부분에 대해서는 재밌게 해석할 수 있을 듯 싶다. 아직 정확한 정보들이 나와있지 않기 때문에 그저 추측이고 상상일 뿐이다. 요즘..
-
애플과 구글, 이동통신세계에서 맞붙다.IT topics 2007. 8. 17. 18:14
원래 조선일보는 잘 안보지만(정치적 색깔때문에) 가끔은 IT관련 뉴스로 재미난 내용을 소개하곤 한다. 이번에도 나온 재미난 기사를 하나 소개해보도록 한다. 누가 전 세계 이동통신 산업을 움켜쥘 것인가 (조선일보) 전 세계적으로 IT 세계의 큰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두 기업이 있다. 바로 애플과 구글이다. 애플은 iPod, MacBook, iPhone, Mac OS X 등 주로 하드웨어(HW)관련 시장을 주도하고 있고 구글은 검색엔진을 주축으로 구글 어스, Gmail, 구글 맵스, 구글 독스 & 스프래드시트 등 인터넷 서비스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러한 두 회사가 이동통신시장에 뛰어들었다. 이미 애플은 2007년 6월말에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iPhone을 출시했고 현재까지도 잘 팔고 있는 iPod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