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주니의 생각
-
재미에만 치중한 SNS, 과연 미래가 밝을지...IT topics 2008. 6. 20. 11:58
며칠 지난 얘기지만 저번주에 안랩의 IDTail에서 주관했던 오픈소셜 컨퍼런스에 다녀왔다. 개인적인 관심사이기도 하고 웹2.0에 관련된 일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나름 생각해보는 일들도 있어서 참석을 했다. 조금 늦어서 안철수 의장의 키노트는 중간부터밖에 못들었지만 키노트야 인터넷을 찾아보면 얼마든지 나올테니 안심이 되었다. 키노트 이후에 티타임까지 오픈 웹과 개방화, 오픈 플랫폼 트랜드에 대한 세션을 들었다. 솔직히 오픈 웹이나 오픈 플랫폼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들이 나오는 것이 사실이다. 웹이 곧 플랫폼이 되는 현실이 지금 거의 도래한 것이나 마찬가지니 '오픈 웹 = 오픈 플랫폼'이라고 말해도 될 듯 싶다. 여하튼 오픈 플랫폼은 서로의 서비스에 상호교환을 더욱 원활하게 하며 사용자 입장에서 더 합리적으로..
-
자기가 원하는 주제로 영어 듣기 공부를 할 수 있다면..Personal story 2008. 6. 18. 12:54
보통 우리가 살면서 영어를 얼마나 사용할까? 일반적으로 생활하는데 있어서는 영어를 쓸 일이 그닥 없다고 생각이 든다. 뭐 심지어 미국의 LA에서 생활한다면 거의 영어를 쓸 일이 없을 정도다. 즉, 영어는 필요한 사람들에게만 사용되는 기술 정도라 생각이 든다. 그런데 이노무 나라가 영어를 거의 종교화 하다시피 해서 영어광풍을 일으키더니 온 나라를 영어 삼매경에 빠드려버렸다. 영어몰입교육이라는 말도 정책을 내놓더니 공교육을 살린답시고 내놓은 정책들은 오히려 사교육을 부추켜서 공교육과의 격차를 더 벌려놓아버렸다. 어느 신문에서도 영어는 이제 언어가 아닌 종교라고 할 정도로 한국에서의 영어에 대한 위치는 가히 절대적이다. 그렇다고 영어를 무시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특히 내 경우에 있어서 자료들이 국내에서는 찾..
-
피드버너, 내 블로그 RSS 피드를 돌려줘..Blog 2008. 6. 17. 19:53
가끔 구글의 피드버너가 이상하기는 하다만 방금 전에 좀 황당한 경우를 봐서 말이지. 피드 카운트가 0으로 리셋되어버렸다나 뭐라나(-.-). 위의 Hakjoony.com(영어로 학주니닷컴을 저렇게 썼다. 한글로 쓰면 깨져서 나오기 때문시)의 SUBSCRIBERS를 보라. 자랑스럽게 '0'이 아닌가. 가히 맨 처음에 피드버너에 내 블로그를 등록시키고 나오는 숫자가 저렇게 자랑스럽게 나오고 있는 것이다. 피드 상태 그래프를 봐도 안습 그 자체다. 358까지 올려놨는데 0으로 팍 떨어진 저 수치로 인해 아마 평균값은 그야말로 안습 그 자체가 될 듯 싶다. 열심히 차곡차곡 피드수를 올려놨건만 왜 저러는건지. 뭐 솔직히 일시적인 장애로 인해 나오는 문제라 생각하고 있지만 왠지 서글프다. 예전에도 300대를 유지하다..
-
Amnesty Hypercube, 웹 기반 위젯을 내 바탕화면에...IT topics 2008. 6. 17. 13:39
전 세계적으로 위젯 시장은 대충 2가지 부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애플 데시보드나 윈도 비스타 가젯, 야후 위젯, 구글 데스크탑 기반의 위젯 등 데스크탑용 위젯 프로그램과 iGoogle, 마이스페이스, 페이스북 등에서 사용하는 웹 기반의 위젯으로 말이다. 둘 다 위젯이라는 부분에 있어서는 공통분모를 갖지만 데스크탑 기반 위젯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웹 기반의 위젯은 기반이 되는 웹 플랫폼 위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대신 웹 기반의 위젯은 자원 소모가 데스크탑 기반의 위젯보다 적다는 장점도 존재한다(대신 웹브라우저에서 소모되는 자원이 만만치 않다는 부작용도 같이 있다). 데스크탑 기반의 위젯은 그 종류가 많지 않음에 비해 웹 기반의 위젯들은 그 종류가 많고 기능도 좋은 위젯들이..
-
논란이 많은 아프리카 서비스의 나우콤 대표이사 구속 사건Current topics 2008. 6. 17. 12:01
인터넷 TV 사이트(라고 하기에는 애매하고 인터넷 동영상 중계 사이트라 해야 옳을 듯)인 아프리카를 운영하고 있는 나우콤의 대표이사인 문용식 사장에게 구속영장이 신청되어 구속되었다는 뉴스를 오늘 아침에 들을 수 있었다. 원래는 어제 저녁에 집행된 일이라 한다(16일 영장신청, 17일 구속). 아프리카는 최근 촛불문화제 중계로 급성장한 인터넷 동영상 포탈 사이트다. 촛불문화제에 참가한 많은 네티즌들이 실시간으로 디지탈 캠코더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을 전송하면 아프리카라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어디서든지 촛불문화제의 현장을 지켜볼 수 있었다. 촛불문화제가 한달동안 이렇게 엄청난 효과를 가져오는데에는 다음 아고라와 함께 아프리카가 함께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러한 상황에서 검찰은 나우콤..
-
구글, 엔터프라이즈 서비스에 대한 키워드는 '클라우드컴퓨팅'Cloud service 2008. 6. 16. 19:49
엔터프라이즈 웹서비스의 미래는 클라우드컴퓨팅에 달렸다고 구글은 생각하고 있는듯 싶다. 클라우드컴퓨팅은 그럼 어떤 것인가? 간단히 얘기하면 SaaS(Service as a Sofeware)를 최대한 이용하여 기업의 IT 운용에 들어가는 리소스를 최소화 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들은 대부분 회사 내부에 전산부서를 두고 거기서 서버를 운영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서비스들을 운용, 관리한다. 이러한 기업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데 들어가는 자원은 그 기업의 보안이나 규모에 따라서 차이가 매우 크다. 규모가 작은 회사일수록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클라우드컴퓨팅은 이러한 기업에서 소요되는 자원들을 대형 서비스 회사의 기업형 서비스를 이용하여 최소화 ..
-
구글, 모바일 검색의 속도를 높히다!Mobile topics 2008. 6. 16. 13:37
모바일 웹에 대한 관심이 점점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구글이 모바일 구글 검색엔진의 검색속도를 더 향상시켰다고 한다. 검색속도 뿐만 아니라 모바일 웹브라우저에서 구글을 로딩시키는 시간 역시 단축했다고 한다. 방법은 모바일 기기에 있는 캐시메모리를 이용했다고 한다(자세한 것은 구글 모바일 블로그 참조) 또한 구글은 모바일 구글 검색엔진에서 직접 모바일 iGoogle로 접속할 수 있도록 링크를 직접 모바일 구글 검색 페이지에 설정했다고 한다. 즉, 앞으로는 iGoogle 모바일에 URL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구글 모바일 페이지에서 직접 들어갈 수 있다는 얘기가 된다. iGoogle에서 구글 가젯을 언제 어디서든지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구글 모바일 블로그에서 밝혔다. 구글이 점점 모바일 웹 환경에 비중을 ..
-
페이스북, 이제는 No.2 SNS라고 부르지마라!IT topics 2008. 6. 16. 11:43
현재 전 세계적으로 SNS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2개의 서비스가 있다. 마이스페이스와 페이스북이 바로 그것인데 지금까지는 마이스페이스가 1위, 페이스북이 2위였다. 하지만 이제는 페이스북이 2위라고 말할 수도 없을 정도로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다. 페이스북의 UV(Unique Visitor)가 마이스페이스의 그것과 이제는 동등해졌기 때문이다. 작년 4월에는 마이스페이스의 절반도 채 못미쳣는데 점점 성장하다가 1년만에 마이스페이스를 따라잡은 페이스북의 성장이 놀랍다. 이제 페이스북은 전세계적으로 1억 15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접속하는 SNS의 대표주자가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미국에서는 마이스페이스가 페이스북보다 앞서있다는 통계도 같이 나와서 비교가 되고 있다. 전세계적인 성장에 비해 미국..
-
왜 국내에서는 iPhone과 같은 매력적인 스마트폰이 안나올까?Mobile topics 2008. 6. 15. 22:59
최근 WWDC에서 발표한 iPhone 3G에 대해 많은 기대가 있었다. 일단 기존의 iPhone이 AT&T를 통해서만 통화가 가능했기 때문에 국내에서의 사용이 힘들었고(전화기로서의 기능은 못하고 거의 iPod touch 수준밖에는) 가격적인 부분에 있어서 좀 무리가 있었던게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 발표한 iPhone 3G는 국내 이통망이 3G로 많이 넘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좀 손쉽게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게 사실이다. 그리고 떠도는 소문이었지만 KTF가 애플과 물밑접촉을 통해서 iPhone 3G를 서비스할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WWDC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0여개국에서 7월 11일에 동시출시가 되는데 한국이 쏙 빠져있었다. 즉, 한국..
-
야후, 구글과 검색광고 계약이 의미하는 것은?IT topics 2008. 6. 13. 09:43
야후와 구글이 검색광고에 대한 파트너십을 맺은 것에 대해서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야후의 구글의 계약 체결로 더이상 MS와의 인수합병 이야기는 쏙 들어가게 된 듯 싶다. 아무리 칼 아이칸이 야후의 주총에서 제리 양을 몰아내고 MS와 합병 논의를 다시 할려고 해도 분위기가 거의 구글쪽으로 옮겨진거 같다는 생각이 든다. 미국시간으로 12일 오후 1시 30분에 야후와 구글은 검색광고에 대한 독점권을 갖지 않는 조건의 계약을 체결했다. 독점권을 갖지 않는 조건이라는게 좀 애매하지만(영문으로 Non-Exclusive인게 비베타적인, 반독점권이라는 뜻인지라) 야후의 검색광고를 전적으로 구글 애드센스에 맡긴다는 것은 아닐듯 싶다. 야후의 자회사인 검색광고 서비스 오버추어가 그동안 야후 검색광고를 담당해왔는데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