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kia
-
노키아의 위기의식을 잘 보여주는 편지, "우리는 불타는 플랫폼 위에 서 있다"Mobile topics 2011. 2. 13. 12:27
이번에 노키아 CEO인 스테판 엘롭이 직원들에게 보낸 편지가 이슈가 되는 듯 싶다. 최근 신문들을 달구고 있는 '우리는 불타는 플랫폼 위에 서 있다"라는 제목의 기사는 아래의 편지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한다. 원래는 원문을 직접 번역해야 맞지만 워낙 영어에 자신이 없는지라 회사에서 CEO가 번역해서 회사 게시판에 올려놓은 번역문을 공개한다(대표님. 죄송합니다. 잠시 글 좀 빌리겠습니다 ^^). 원문은 위의 연결해놓은 링크를 참고하면 되고 핵심 요약은 노키아에서 제공하는 요약문을 참고하면 된다. 안녕하십니까. 여기 시의적절한 이야기가 하나 있습니다. 이 이야기는 북해의 유전 플랫폼에서 일하는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그가 어느날 밤 큰 폭발소리를 듣고 일어나보니, 플랫폼 전체가 불바다가 되어있었습니다. 순식간에..
-
심상치 않은 안드로이드 바람. 구글 폰의 반격이 시작되었다!Mobile topics 2009. 10. 14. 11:50
구글 안드로이드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안드로이드가 나온지 어언 2년이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HTC의 G1, Magic, Hero가 전부였는데 올해 하반기부터 삼성, LG, 모토롤라 등 대형 스마트폰 업체들이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구글 폰들을 내놓기 시작한다는 것이다. 또한 그동안 미국의 T-모바일을 통해서만 구글 폰을 만날 수 있었는데 앞으로 버라이즌, 스프린트, AT&T에서도 구글 폰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미국의 1, 2, 3위 이통사들이 다 이제는 구글 폰을 지원하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더 재미난 것은 그동안 심비안을 주 플랫폼으로 해왔던 노키아마저 안드로이드가 탑재된 구글 폰을 내놓겠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이는 노키아 자체의 경쟁력 약화때문이기도 했지만 심비안 플랫폼이 더이상 안드로이드와..
-
스마트폰 시장의 거인, 노키아. 넷북 시장에 뛰어든다?Mobile topics 2009. 8. 21. 21:00
일전에 노키아와 인텔이 손을 잡고 2010년쯤에는 넷북을 내놓을 것이라고 얘기한 기억이 있다. 그게 드디어 시작을 했는지 CNet은 이코노믹타임즈의 보도를 인용하여 노키아가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기 위해 넷북 시장에 뛰어들 것이라고 한다. ZDNet Korea는 아래와 같이 노키아에서 넷북 사업에 진출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고 한다. 올리 페카 칼라스부오 노키아 최고경영자(CEO)는 19일 인도에서 있었던 기자간담회에서 "PC와 휴대폰의 간극이 점차 좁혀지고 있으며, 기능들 또한 합쳐지고 있다"면서 "향후 PC와 휴대폰의 컨버전스를 통해 많은 기회들이 생길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넷북 시장 진출이 필요하다는 뜻을 다시 한번 내비친 셈이다. 노키아의 넷북 진출은 이미 인텔과 손을 잡기로 했다는 뉴스가 나온..
-
애플의 앱스토어의 가장 강력한 라이벌은 노키아의 Ovi 스토어. 하지만...Mobile topics 2009. 7. 3. 13:02
애플이 아이폰의 출시와 함께 같이 런칭한 오픈마켓 시스템인 앱스토어의 성공으로 아이폰은 폰 자체가 갖고 있는 장점들에 여러 어플리케이션들을 날개로 더 달아서 말 그대로 날개 달아 솟아오르듯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아이폰은 현재 iPhone 3GS 모델까지 나왔으며 앱스토어에는 35000여개의 어플리케이션이 아이폰, 아이팟 터치 사용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이러한 아이폰과 앱스토어의 성공 사례와 시너지 효과를 보면서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윈도 모바일과 구글 안드로이드, 노키아 심비안에서 각기 오픈 마켓을 들고 나왔다. 윈도 모바일의 윈도 마켓플레이스 포 모바일과 구글 안드로이드의 안드로이드 마켓, 그리고 노키아 심비안의 오비(Ovi) 스토어가 바로 그것이다. 각기 오픈 마켓이 서로의 특징들이 존재하..
-
인텔, 노키아와의 협력으로 다시 한번 모바일 시장에 노크하는데...Mobile topics 2009. 6. 30. 15:59
인텔과 노키아가 만났다. 뭔 얘긴가 하면 인텔이 노키아와 협력하여 모바일 시장에까지 인텔의 영향력을 넓히겠다는 얘기다. 쉽게 얘기하면 PC 시장에서의 절대적 강자인 인텔은 수년간 모바일 시장에 눈독을 들여왔지만 번번히 실패하곤 했다. 가장 간단한 예는 다름아닌 아톰 프로세서다. 넷북 시장에서 절대강자로 꼽히고 있는 아톰 프로세서지만 맨 처음 인텔이 포지셔닝한 아톰 프로세서는 모바일용 칩셋이다. 이미 ARM 칩셋이 모바일 시장의 99%까지 차지한 상황에서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PC 시장에서 아직까지 더 발전할 가능성이 큰 모바일 시장으로 인텔은 그 영역을 넓히려고 했다. 그래서 만든 것이 아톰 프로세서다. 즉, 아톰은 처음부터 넷북용이 아닌 휴대폰, 스마트폰용으로 만든 칩셋이라는 얘기다. 하지만 지금은 어..
-
황금색에 BMW 로고가 인상적인 노키아 8800 BMW 에디션Mobile topics 2009. 6. 8. 17:10
재미난 휴대폰이 있어서 하나 소개할까 한다. 노키아 8800 시리즈들 중에서 BMW 에디션이 있다. 노키아 8800 시리즈들 중 하나인데 외관 자체가 매우 화려하다. 황금빛으로 도배를 해놓고 BMW 마크가 밑에 딱 붙어있는 것이 인상적인 휴대폰이다. 이 화려한 휴대폰의 간략한 사양을 살펴보자. - MP3, MP4(동영상) 지원 - E-Book, 라디오 수신기능, 블루투스 지원 - 고화질 디카, 디캠 - 4GB MicroSD 지원 - JVM 탑재(Java 지원) - 내장 스피커 탑재 - 크기 : 102 x 45 x 13mm, 무게 : 108g - 해상도 : 240 x 320 - LCD : 2인치, 색상 수 : 26만 - 배터리 소요시간 : 180분(통화시간), 160시간 - GSM 지원 얼추 기본은 갖춘 ..
-
노키아의 컴백과 함께 등장한 국내 최초의 심비안 탑재 스마트폰 6210sMobile topics 2009. 4. 8. 15:12
2003년쯤인가 국내에서 철수했던 노키아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왔다. 이번에 노키아가 컴백기념으로 들고 들어온 휴대폰은 6210s 모델로 3G를 지원하는 심비안 S60 탑재 스마트폰이다. 일단은 KTF를 통해서 먼저 런칭되고 조만간 SKT용으로도 런칭된다고 한다. 노키아의 컴백으로 한국에서 세계 휴대폰 시장의 1, 2, 3위를 차지하고 있는 노키아, 삼성, LG가 불꽃튀기게 싸우기 시작할 것이라는 예측을 많이 내놓고 있다. 노키아는 현재 전세계 No.1 휴대폰 점유율을 자랑하는 거대 휴대폰 제조사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쓰디쓴 실패를 맛보고 철수했다. 전세계 No.1 휴대폰 제조사라는 자만심만 갖고 국내에 겁없이 뛰어들었다가 A/S 부재, 서비스 부재, 지역화 실패 등 여러 오명만 남기고 피흘리며 철수당해야..
-
위피 의무화 폐지로 국내 휴대폰 시장은 무한경쟁시대로 돌입하게 되나...Mobile topics 2008. 12. 11. 13:48
국내 무선인터넷 표준 플랫폼인 위피의 의무화 폐지가 결정되었다고 한다. 어제 결정된거 같은데 3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내년 4월 1일부터는 의무탑재를 하지 않고도 휴대폰을 출시할 수 있게 되었다. 내년 4월 1일부터는 해외의 유명 휴대폰, 스마트폰들도 국내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될 듯 싶다. 결국 애플의 아이폰이 국내에서도 선보일 수 있게 되었다는 얘기다. 위피의 의무화 폐지는 예전부터 말이 나온 상태다. 국가에서 어떻게든 국내 표준 플랫폼으로 활성화 시키기 위해 탑제를 의무화 시켰지만 세계적인 추세에 뒤떨어진다는 얘기도 나왔고 위피의 활용도 크게 낮다는 평가 때문에 무용론이 많이 제기된 상태다. 게다가 사용자의 휴대폰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부분까지 부각되어 위피의 폐지는 거의 기정사실화 된 상태라..
-
모바일 OS 시장의 현재 상황은 어떨까?Mobile topics 2008. 6. 26. 13:50
현재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OS에 대한 현황은 어떨까? 이번에 노키아에서 모바일 OS의 맹주자리를 지키고 있는 심비안을 인수한 후 오픈소스로 공개하겠다고 나선 이후에 모바일 OS에 대한 관심이 많아진듯 보인다. MS의 윈도 모바일, 구글의 안드로이드, 노키아의 심비안, 애플의 iPhone OSX 등의 현재 모바일 시장을 이끌고 나가고 있는 OS의 현 상황을 조금 살펴보도록 하자. 모바일 기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OS는 수십가지가 넘는다. 위에서 언급했던 안드로이드, iPhone OSX, 윈도 모바일, 심비안을 제외하고도 자바의 J2ME도 OS급으로 속할 수 있고 임베디드 리눅스를 개량한 모바일용 리눅스도 수십가지(어쩌면 수백가지일수도)에 이른다. 리눅스의 경우 커널이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하드웨어에 맞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