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D
-
나를 힐링시켜주는 넥슨컴퓨터박물관 관람기.. 세 번째, 저장 장치의 역사 속 유물들IT History 2018. 12. 14. 11:51
육지(?)에 살면서 제주도를 몇번이나 갈 수 있을까 싶기는 하지만 그래도 대학교 졸업여행으로 처음으로 제주도에 와 본 이후에 가족여행으로, 또 학회 참석으로, 또 회사일로 나름 6~7번정도는 왔던거 같다. 그리고 이 녀석이 제주도에 생긴 이후에는 올 때마다 꼬박꼬박 들러보고 있기도 하다. 다름아닌 넥슨 컴퓨터박물관 이야기다. 이 블로그에도 몇번 포스팅을 했는데 또 한다. 기록차원에서 말이지. 난 역사에 관련된 것들을 좋아한다. 특히 컴퓨터에 대한 부분은 더욱 좋아한다. 요즘 나오고 있는 컴퓨터들이나 스마트폰, 태블릿들을 보면 무척이나 고성능이면서도 화려하고 디자인도 잘 빠져서 이쁘다. 게임도 그렇다. 요즘 나오고 있는 게임들을 보면 눈이 휘둥그래해질 정도로 화려하다. 그런데 왜인지는 모르지만 난 이상하게..
-
더 빠르면서도 더 효율적인 스토리지 솔루션 이야기. 올플래시 스토리지 솔루션인 IBM FlashSystem V9000 이야기IT topics 2015. 11. 18. 11:28
스토리지 시장은 매년 성장해왔다. 데이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서 스토리지 산업은 예전보다 더 많이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상황인 듯 싶다. 물론 실제 시장에서 스토리지를 필요로 하는 카테고리가 과거에 비해 많이 달라진 것은 사실이지만 스토리지 자체 시장이 줄어든 것은 아니고 오히려 늘어났다고 본다. 그리고 스토리지 자체의 방식도 과거의 ALL HDD 방식에서 플래시메모리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올플래시 방식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앞서 얘기했듯 데이터 저장의 중요성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없다. 하지만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은 과거 단위 서버에 저장하는 방식에서 클러스터링 방식으로, 그리고 클라우드 방식으로 확장되었고 변화되었다. 예전에는 별도의 저장 서버를 두고 거기에 파..
-
[IBM] 시스템의 성능과 운영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핵심요소, 레이턴시. IBM의 FlashSystem은 어떻게 낮은 레이턴시를 제공할까?IT topics 2014. 8. 12. 10:09
데스크탑이나 노트북과 같은 개인용 PC에서나, 아니면 서버 시스템, 혹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업무를 하는데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름아닌 처리속도, 체감속도일 것이다. 성능과 속도는 어떻게 보면 완전히 같다고 볼 수는 없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 속도가 빠르다는 것은 그만큼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으로 생각하기 쉽고 실제로 수많은 PC 업체들이나 모바일 단말기 업체들이 속도가 빠르다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 사실임은 분명하다. 어찌되었던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데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반응속도는 사용자 입장에서, 또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무척이나 중요한 요소임은 분명하다. 레이턴시와 레이턴시를 결정하는 2가지 요소, CPU와 I/O 레이턴시(latency). 응답..
-
[840 Pro Series] 좀 더 빠른 성능을 원한다면? 삼성 SSD 840 Pro Series의 간단 사용기Review 2013. 7. 16. 08:00
최근들어 데스크탑이든 노트북이든, 아니면 외장형 저장장치든 빠른 속도를 느끼기 위해서는 빠른 속도를 지니는 HDD도 좋지만 SSD(Solid State Drive)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과거 가격이 넘사벽이었던 시절이 있었지만 요즘은 많이 저렴해져서 대중화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정도인데 128GB나 256GB 정도는 이제는 큰 부담없이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듯 싶다. 오늘 소개하고자 하는 SSD는 삼성에서 나온 840 프로 시리즈다. 삼성의 SSD 시리즈 중 840 시리즈는 일반 사용자를 위한 저가형 모델인 840 시리즈가 있고 고급형 모델인 840 프로 시리즈가 있다. 밑에서 소개할 제품은 840 프로 시리즈로 사용기를 진행하는 이 시점에서는 이미 3개월정도 사용하고 있는 상태임을 먼저 밝..
-
[WD Red] NAS를 위한 최적화 기술인 NASware를 탑재한 NAS를 위한 하드디스크, 웨스턴디지탈의 WD Red에 대해서..Review 2012. 12. 14. 15:15
개인적으로 NAS를 운용하면서 저장장치, 개인 스토리지 시스템에 대해서 이런저런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러다보니 HDD의 성능에 대해서도 또 다양한 컨셉의, 혹은 기능의 HDD들을 살펴보게 되었는데 오늘 소개하려고 하는 이 녀석도 특별한 기능을 지닌 HDD라는 생각이 든다. 다름아닌 웨스턴디지탈의 WD Red라는 HDD다. 먼저 웨스턴디지탈의 WD Red에 대해서 살펴보자. 아래의 설명은 웨스턴디지탈 홈페이지에 있는 내용을 나름 각색해본 것이다. 하드디스크의 명가라고 알려진 웨스턴디지탈에서 만든 WD Red는 NAS에 최적화된 제품이라고 알려져 있다. WD Red에는 NAS에 특징적인 기술인 NASware라는 기술이 들어가 있는데 아래의 특징을 지닌다고 한다. NAS 호환성 : 모든 WD Red 드라이브..
-
[Extreme SSD] 빠른 속도와 적절한 용량으로 노트북에 활력을 불어넣어주는 녀석. SanDisk의 240GB Extreme SSD.Review 2012. 6. 7. 08:00
노트북이든 데스크탑이든 사용상 체감속도를 높일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HDD를 빠른 속도의 HDD로 구비하는 것이라 생각이 든다. 이른바 RPM이 높은 HDD를 장착하면 체감 속도는 빨라진다. 경험상 그렇다. 과거에는 5000 RPM대 HDD도 빠르다고 여겼는데 7200 RPM대 HDD가 나왔고 10000 RPM이 넘는 HDD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고용량에 속도까지 빨라지는 덕분에 사용자들은 좀 더 쾌적한 PC 사용을 할 수 있게 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적어도 과거보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무리 HDD가 빨라졌다고 하더라도 역시나 SSD만큼은 아니다. 빠른 속도와 더불어 팬이 돌아가는 소리없이 조용히 돌아가는 SSD의 매력은 한번 맛보면 딴 것을 못쓸 정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SSD는 정말 매력적인 ..
-
256GB USB 메모리. Kingston DataTraveler 300!Mobile topics 2009. 7. 21. 18:30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USB 메모리는 보통 몇 GB나 될까? 내 경우에는 4GB 정도 되는 USB 메모리를 갖고 다닌다. 그 정도만 있더라도 이동해서 뭔가를 작업하는데는 별 무리가 없기 때문이다. 주변 사람들을 보니까 8GB 정도는 갖고 다니는 것 같다. 몇몇 분들은 16GB도 들고 다니는 것을 봤는데 아마 그 안에는 동영상들이 잔뜩 있지 않을까 하는 혼자만의 상상을 해본다. 그런데 USB 메모리이면서 그 용량이 무려 256GB나 되는 거의 HDD급 USB가 나와서 소개해볼까 한다. microSD나 SD 카드 제조업체로 유명한 킹스톤이 이번에 데이터트레블러(DataTraveler) 300이라는 이름의 대용량 USB 메모리를 출시했다고 한다. 용량은 무려 256GB. 1TB HDD가 나오는 시대에 256..
-
세상의 모든 저장장치를 다 섭렵하리라~ Dual SATA HDD Multi-Function DockMobile topics 2009. 5. 21. 14:11
꿈에 그리던 확장 카드리더기가 나온거 같다. HDD Duck에 멀티미디어 카드 리더기를 결합시킨 이 환상적인 제품은 SATA HDD를 지원하며(그것도 2개나) USB 메모리부터 시작하여 SDCard, MicroSD, 메모리 스틱에 SIM 카드까지 읽는다. 정말로 현존하는 대부분의 저장장치를 다 두루 섭렵하게 만들 수 있는 환상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다. 기본은 SATA를 지원하는 HDD Duck이다. 2.5인치, 3.5인치 HDD를 지원한다. 그것도 동시에 2개를 지원한다(환상적이야~). e-SATA와 USB 2.0을 지원하기에 대부분의 PC에서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다. 거기에 각종 플래시 미디어들을 지원한다. SD카드부터 시작하여 MicroSD에 메모리 스틱, 그리고 심지어 휴대폰 내부에 들어가는 ..
-
차세대 저장장치, 플래시 메모리. 곧 한계에?IT topics 2007. 8. 13. 12:00
차세대 저장공간으로 각광받고 있는 플래시메모리 이야기다. ^^; 플래시 메모리, 물리학적 한계로 위기? (ZDNet Korea) Is flash memory facing a physics crisis? (CNetNews.com 기사 내용은 워낙 기술적인 이야기라 별로 언급하고 싶지는 않고(--). 정리해보면 차세대 저장매체로 각광을 받고 있는 NAND형 플래시 메모리지만 지금보다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기술개발이 필요하며 그런게 없으면 물리적 한계에 도달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예전에 비해서 가격이 많이 떨어지고 용량도 더 많이 늘어났기에 활용도가 높은 플래시 메모리지만 제작 공정에서의 물리적 한계에 곧 도달할 것이며 다른 대체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는 것이 기사의 요지다. 예전에 임베디드 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