햅틱
-
[햅틱 아몰레드] 어떤 개인비서보다 더 똑똑한 전자비서 하나 두는 것은?Review 2009. 8. 24. 10:24
이 포스트는 햅틱 아몰레드 블로그 체험단에 참여하게 되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주변 물건들 중에는 다이어리가 있다. 다이어리에 보통 약속시간이나 중요한 메모, 전화번호 등 생활하면서 중요하다 생각되는 내용들을 적고 다닌다. 다이어리에 메모하는 이유는 중요하기 때문에 안까먹기 위해서가 크며 일반 메모장도 있지만 다이어리에 하는 이유는 여러모로 다이어리가 날짜 체크나 메모에 있어서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휴대폰들 중에는 스마트폰이 있다. 윈도 모바일이 탑재된 스마트폰인데 여러모로 잘 사용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일정관리와 주소록 연동 기능은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는 기능으로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이유로 이런 일정관리와 주소록 연동을..
-
[햅틱 아몰레드] 크고 시원하지만 가볍다. 자체발광 햅틱 아몰레드Review 2009. 7. 24. 16:57
이 포스트는 햅틱 아몰레드 블로그 체험단에 참여하게 되어 작성하는 글입니다. 이번에 삼성에서 나온 새로운 햅틱 시리즈인 햅틱 아몰레드. 국내에서는 몇 안되는 AMOLED를 이용하여 화면을 구성했기에 타 풀터치폰에 비해 더 밝고 가볍다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또한 보는 휴대폰이라는 컨셉을 도입하여 외관의 비주얼한 모습 이외에 다양한 기능으로 무장한 햅틱 아몰레드는 햅틱의 또 하나의 새로운 컨셉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햅틱 아몰레드에서 아몰레드라는 어찌보면 코드명과 같은 이름은 AMOLED를 한글로 그대로 읽은 것으로 에이엠오엘이디(AMOLED)라고 읽는 것보다 더 편하게 읽을 수 있고 나름대로 음율이 느껴져서 좋은 듯 싶다. 이번에 마침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만져보게 되었는데 이번에..
-
자체발광 보는 휴대폰, 햅틱 아몰레드와 손담비Mobile topics 2009. 7. 1. 18:55
햅틱 아몰레드 신제품 발표회에서 만난 햅틱 아몰레드는 기존 햅틱 시리즈와는 약간 다른 포인트를 갖고 있다. 다음 아닌 하단의 육각형 큐브 버튼이 그것인데 아마도 그것이 이 제품의 디자인 차별포인트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는 행사장에서 본 햅틱 아몰레드의 실물 사진들이다. UI는 기존 햅틱과 거의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 다만 나만의 메뉴라고 해서 기존에는 메인 메뉴가 고정되어있고 한 화면밖에 없었는데 6개의 화면으로 더 확장되었으며 마치 아이폰에서 어플리케이션 추가하듯 메인 메뉴에 나만의 메뉴로 더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위젯 화면도 기존의 한 화면에서 3개의 화면으로 확장되어서 위젯의 성격에 따라서 화면구성을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6각 모양의 미니 큐브가 핵심 포인트 중 하나인데(..
-
이제는 보는 휴대폰 시대다. 자체발광 햅틱 아몰레드 신제품 발표회 스케지Mobile topics 2009. 7. 1. 12:36
삼성이 햅틱 아몰레드를 출시하면서 계속 강조해오는 것은 다름아닌 보는 휴대폰이라는 것이다. 1, 2번째 세션에서 계속 이제는 보는 시대라는 것을 강조해왔으며 햅틱 아몰레드의 디자인 및 제품 컨셉 역시 보는 휴대폰에 맞춰졌다고 강조하고 있다. 세 번째 세션은 이러한 햅틱 아몰레드의 제품 컨셉 및 디자인 컨셉에 대한 프리젠테이션이었다. 중간에 손담비가 나와서 햅틱 아몰레드를 만져보고 그 소감을 말하고 있다. 일단 디자인이 이뻐서 손이 많이 갈꺼라는 얘기를 했다. 마지막으로는 Q&A 시간을 가졌다. 삼성 관계자들은 향후 AMOLED를 탑재한 터치폰을 많이 출시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AMOLED 탑재로 가격이 높아진 것에 대해서는 타 휴대폰과의 차별 포인트가 명확하기 때문에 충분히 경쟁력이 있다고 보며 가..
-
자체발광 보는 휴대폰. 햅틱 아몰레드 신제품 발표회 현장 스케치Mobile topics 2009. 7. 1. 10:27
이번에 삼성에서 햅틱 아몰레드라는 제품을 출시했다. 햅틱의 또 하나의 제품군으로 말이다. 실질적인 겉모습은 이전에 삼성이 전략폰으로 출시한 제트(Jet)와 같지만 내용은 조금(이라고 쓰고 많이라고 읽는다 –.-) 다른 모습으로 다가왔다. 6월의 마지막 날, 삼성은 삼성전자 본관에서 햅틱 아몰레드의 출시를 본격적으로 알린다. 그 모습을 좀 담아왔다. 사진의 양이 좀 많아서 3개의 포스트로 나눠서 발행을 한다. 첫 번째는 신제품 발표회의 시작부터 중간까지(첫 번째 세션과 두 번째 세션)를 담아봤다. 일단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나를 맞이하는 것은 애니콜 신입사원(^^)인 손담비양~ ^^; 손담비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신제품 발표회가 시작되었다. 신종균 삼성전자 무선총괄 부사장과의 면담(?).. ^^; 이후에..
-
[햅틱2] 햅틱UI를 만끽할 수 있는 햅틱2 위젯Review 2008. 11. 26. 09:19
햅틱2 블로거 간담회에 참석했을 때 삼성전자 관계자의 말로는 햅틱2에서는 햅틱1에 비해서 더 많은 위젯을 지원한다고 했다. 그전 햅틱보다 최소 10개 이상의 위젯이 추가되었다는 얘기다. 뭐 햅틱1을 사용해보지 않았지만 햅틱2만 사용하면서 참 많은 위젯이 있구나 하는 생각은 든다. 너무 많아서 다 쓰지도 못할 정도로 말이다. 햅틱1이던 햅틱2던 최근에 발표했던 T옴니아던 햅틱 UI를 사용하는 것은 비슷하다. 사용자친화적으로 만들었다고 하는 햅틱UI는 실질적으로는 위젯 화면에서 그 빛을 발하는데 한번 살펴볼까 싶다. 참고로 햅틱2는 메뉴화면과 바탕화면, 그리고 위젯화면이 따로 존재한다. 처음에는 그냥 한 화면에서 다해버리지 왜 이렇게 만들었을까 했는데 사용하다보니 어쩌면 이게 더 편할수도 있겠구나 하는 생각..
-
T옴니아, 스마트폰 시장에 신선한 바람을 일으킬 것인가...Mobile topics 2008. 11. 4. 01:14
다양한 IT관련 이슈들이 어제 쏟아졌지만 아마도 T옴니아가 어제 이슈의 중심에 서 있을듯 보인다. 드디어 삼성에서 나온 MS의 최신 모바일 OS인 윈도 모바일 6.1 프로페셔널을 탑재한 SKT만을 위한 스마트폰인 T옴니아가 등장했다. 이미 중국에서 옴니아를 본 상황에서 크게 느끼거나(뭘?) 감동받을 것은 없지만 일단 삼성에서 블랙잭 시리즈 이후에 어찌보면 업무용이 아닌 개인용 스마트폰이라 불릴 수 있는 최초 버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일단 알려진 스팩은 다음과 같다. 뭐 알려진 스팩은 다음과 같다. MS 윈도 모바일 6.1 탑재 햅틱 사용자인터페이스(UI) 탑재 날씨 서비스, 모바일 싸이월드, 빌트인 멜론 서비스, 모바일 메신져(MIM) SKT 전용 서비스 탑재 7.2Mbps의 3G 서비스 및 W..
-
UI가 이쁠 수록 휴대폰은 더 매력적이다..Mobile topics 2008. 8. 20. 11:10
요즘 애플의 iPhone의 등장으로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솔직히 스마트폰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것인지 아니면 iPhone의 화려한 UI에 홀려서 다양하고 화려한 UI를 자랑하는 휴대폰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것인지 어떤것이 맞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일부 비지니스맨들이나 IT Geek(IT기기 매니아)들의 전유물로만 여겨졌던 스마트폰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일단 iPhone의 화려한 UI에 많는 사람들이 홀린(?) 것은 사실인듯 싶다. 그 안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에 대한 관심보다는 말이다. 그만큼 UI에 대한 중요성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는 요즘이다. 아무리 기능이 강력하다고 하더라도 UI가 이쁘지 않으면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는 것은 시간문제다...
-
왜 국내에서는 iPhone과 같은 매력적인 스마트폰이 안나올까?Mobile topics 2008. 6. 15. 22:59
최근 WWDC에서 발표한 iPhone 3G에 대해 많은 기대가 있었다. 일단 기존의 iPhone이 AT&T를 통해서만 통화가 가능했기 때문에 국내에서의 사용이 힘들었고(전화기로서의 기능은 못하고 거의 iPod touch 수준밖에는) 가격적인 부분에 있어서 좀 무리가 있었던게 사실이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번에 발표한 iPhone 3G는 국내 이통망이 3G로 많이 넘어간 상태이기 때문에 좀 손쉽게 적용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던게 사실이다. 그리고 떠도는 소문이었지만 KTF가 애플과 물밑접촉을 통해서 iPhone 3G를 서비스할 수 있을것이라는 기대가 작용했던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WWDC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0여개국에서 7월 11일에 동시출시가 되는데 한국이 쏙 빠져있었다. 즉,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