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메일
-
야후! 메일, 이메일 서비스에서 여전히 1등으로 야후의 자존심을 지키다.IT topics 2009. 8. 20. 08:50
아직까지 이메일의 왕자는 야후였다. 야후가 검색엔진 분야에서 구글에 밀리면서 다른 서비스 분야도 같이 밀리는 것이 아니냐 라는 얘기가 나왔고 MS와 검색엔진 제휴를 맺으면서 야후도 서서히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것이 아니냐라는 얘기도 나왔지만 검색엔진만 빼고 다른 서비스 분야에서의 야후는 강했다. 위의 표에서 본대로 이메일 분야에서 야후는 여전히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는 것이다. 컴스코어에서 이번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작년 7월에 이메일 사용량과 올해 7월의 이메일 사용량을 비교해봤을때 전체적으로 3%의 성장이 있었다. 그리고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메일 서비스로 야후! 메일을 꼽았다. 그 다음으로 핫메일을 이어받은 윈도 라이브 핫메일이 2등이었고 구글의 Gmail은 3등으로 맹추격하고 있는 상황이..
-
트랜드의 변화, 네이버메일이 한메일을 제치고 싸이월드가 야후를 제치다!IT topics 2008. 9. 17. 16:28
네티즌들, 아니 인터넷 사용자들의 트랜드는 계속 변하는가보다. 주로 사용하는 메일 서비스나 혹은 웹브라우저를 시작할 때 나타나는 시작페이지에는 어느정도 트랜드가 반영되곤 하는데 그 트랜드들이 최근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는 소식들이 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메일 서비스부터 보자. 이 블로그 쥔장인 학주니의 메인 메일계정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Gmail이다. 물론 Ymail도 블로그 전용 메일로 사용하고 있고 예전에 만들었던 다음의 한메일이나 네이버 메일도 사용하며 엠팔도 가끔 사용하곤 한다. 그런데 가만보면 예전에 만들어놓은 메일계정인데 삭제를 안해서 그대로 놔두고 놀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메인 메일계정만 주로 사용하곤 하는게 어쩔 수 없는 습관인듯 싶다. 여하튼 Gmail이 내 메인 메일계정이다. 옛날에..
-
네이버 메일, 생각보다 많이 사용하고 있구나...IT topics 2008. 7. 21. 11:26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메일 계정은 어떤것들이 있을까? 솔직히 이 부분에 대한 국내 통계도 보지 못했고 그저 주변 사람들의 메일 주소들을 보고 얼추 생각해볼려고 한다. 해외의 경우 야후메일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대부분 자기 Email 주소를 하나 이상씩은 갖고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탈서비스에 가입하면 거의 자동적으로 Email 주소는 하나씩 부여받으니 말이다. 네이버의 경우 @naver.com, 다음의 경우 @daum.net, 아니면 @hanmail.net, 엠파스의 경우 @empal.com, Nate의 경우 @nate.com 등으로 좋으니 싫으나 메일을 하니씩 대부분 다 부여하기 나름이다. 그렇게 되면 주로 사용하는 메일 계정과 그렇지 않는 메일 계정이..
-
야후에서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는 무얼꼬?IT topics 2008. 7. 11. 16:25
야후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서비스는 어떤것일까? 일반적으로 야후는 포탈사이트지만 검색엔진에서 시작했기에 검색엔진(야후 검색)을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미국의 통계정보회사인 히트와이즈에서 내놓은 자료를 보면 그런것은 단순히 선입견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히트와이즈는 2008년 6월에 미국에서 야후 서비스들 중에서 어떤 서비스를 네티즌들이 많이 이용했는가에 대한 통계를 내놓았다. 야후는 야후 그 자체 서비스보다 야후 메일이 더 인기있는 서비스라고 한다. 전체의 37%를 야후 메일이 차지했으니 말이다. 포탈서비스로의 야후도 30%로 그 다음을 차지하기는 했지만 메일 서비스에 메인 서비스가 밀린 꼴이다. 야후 검색은 12%로 3위를 차지했다. 즉, 야후는 검색엔진보..
-
구글 캘린더와 다음 캘린더의 간단한 비교IT topics 2007. 12. 3. 16:11
나는 웹 일정관리 툴로 구글 캘린더를 사용한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공개, 비공개로 나누어 자기만의 캘린더를 만들 수 있고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캘린더를 가져와서 혼합해서 쓸 수도 있다. 즉,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놓은 내가 좋아하는 스포츠팀의 경기일정이라던지, 회사에서는 팀장들이 만들어놓은 업무일정이나 외근 스케쥴 등을 가져와서 자기 캘린더에 적용시킬 수 있다는 얘기다. 그 외에도 Gmail이나 Gtalk로의 알람기능도 그런대로 쓸만하다(주로 Gmail 알람기능을 사용한다). 이번에 다음에서 다음 켈린더 서비스를 내놓았다. 인터페이스나 사용방법 등은 구글 캘린더와 거의 흡사하다. 구글 캘린더도 한글지원을 하지만 다음 캘린더는 아예 한글지원이 기본이요 UI 측면만 봐서는 구글 캘린더보다 더 이쁘다고 ..
-
나는 구글릭한 삶을 사는 걸까?IT topics 2007. 12. 3. 15:59
예전에 잠시 IT 엔지니어라면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포탈사이트에 종속적인 인터넷 생활을 하기 보다는 구글이나 야후 등의 해외 사이트를 더 중시해야 한다는 분위기가 있었다. 지금도 IT 엔지니어들 사이에서는 어느정도 그런 이야기들이 많이 오가고 있는 것으로 안다. 검색은 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국내 포탈보다는 구글에서 더 많이 찾으며 메일은 한메일이나 네이버 메일보다는 Gmail을 메인으로 사용한다던가, 일정관리는 구글 캘린더를 이용한다던가 하는 부분이다. 나 역시 IT 업계에서 엔지니어(프로그래머)로 일하고 있고 거의 일하는 내내 PC 앞에 붙어사는 인생이기에 인터넷과 늘 같이 살고 있다. 그리고 내 경우는 어떤 인터넷 삶을 살고 있는지, 다른 엔지니어들과 마찬가지로 구글릭(Googlic)한 삶을 사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