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
한글 서비스를 시작한 트위터. 하지만 뭔가 진한 아쉬움이 남는 서비스가...IT topics 2011. 1. 27. 08:40
며칠 전부터 트위터 웹서비스에 한글이 지원되기 시작했다. 전에는 영어와 일본어만 지원되었는데 이번에 트위터 사장이 여러 국가를 순방(?)하면서 지원하는 언어들도 대폭 늘린 듯 싶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서비스에 한글이 지원된다는 점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한국이라는 나라를 인정하는 것으로도 인식될 수 있으니). 참고로 페이스북은 몇년 전부터 한국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트위터의 언어를 한국어로 바꾼 후에 사용하다보면 많은 아쉬움이 남는다. 영어를 그대로 한글로만 옮긴 것이다. Timeline은 발음 그대로 타임라인, Mentions는 맨션, Retweet은 리트윗, Lists는 리스트... 뭐 저걸 한글로 풀어서 쓰는 것도 쫌 우습기는 하지만 맨션이나 리스트 정도는 괜찮은 한..
-
구글의 한글 사랑? 구글 한국어 음성검색과 구글 한글 키보드!Mobile topics 2010. 10. 12. 09:17
구글의 한국어에 대한 지원이 예사롭지 않다. 구글 한국어 음성 검색 서비스가 예전에 나왔는데 최근 구글 한글키보드가 나오면서 더 매서워진 듯 보인다. 물론 사람에 따라서 예전보다 더 떨어졌다라는 얘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나 역시 그렇게 생각했는데) 최근 몇번 더 테스트를 하다보니 인식률이 많이 좋아졌음을 느끼게 된다. 개인적으로 한글을 세계 최고의 글자(발음, 문자 모두)라고 생각한다. 자음 16개에 모음 11개로 총 27개의 글자로 못만들어내는 발음이 없을 정도로 정말로 과학적이면서도 정교함을 자랑한다. 물론 전세계 표준어로 영어가 채택되어서 사용하고는 있지만 글자체의 우수성만 따지자면 한글만한 글자도 없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트위터와 같은 140자로 제한된 SNS를 이용할 때의 한글의 우수성(?..
-
한글날 맞이 포탈사이트들의 로고 변화들..IT topics 2008. 10. 9. 21:31
오늘은 562돌을 맞는 한글날이다. 한글에 대한 우수성은 이미 전세계가 인정을 했기 때문에 따로 얘기할 필요가 없다. 이런 한글날을 우리네 포탈사이트들은 어떻게 맞이하고 있는지 한번 살펴봤다. 네이버 보통은 NAVER라는 영문으로 표기가 되는데 오늘은 한글로 깔끔하게 네이버로 표시가 된다. 네이버에 처음 접속하면 네이버라는 글자가 여러번 바뀌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마도 응모했다던지 해서 다양한 글자체를 받아서 표시하도록 했던거 같다. 나름 참신한 시도인거 같다. 다만 폰트가 영 촌스럽다고 해야하나 왠지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는가보다. 워낙 NAVER라는 글자에 더 익숙해져있다보니 그런가보다. 다음 보통은 DAUM으로 표시가 되는데 한글날 특집(?)으로 다음이라고 표시하도록 했다. 네이버와..
-
영어를 잘하면 군대를 안간다고?Current topics 2008. 1. 28. 10:01
앞으로는 영어를 잘하면 군대도 안가게 생겼다. 인수위가 내놓은 영어공교육활성화 정책중에서 군대에 가야 할 때 영어를 잘하면 군대대신에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도록 하는 방안이 추진중에 있다는 뉴스다. "영어 잘하면 군대 안간다" (중앙일보) 아무리 영어가 중요하다고 하고 사회의 부를 축적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된다고 하더라도 저렇게까지 하는 인수위와 그걸 시행할려고 하는 차기 대통령인 이명박 당선자의 머리속에는 뭐가 들어있는지 궁금하다. 가뜩이나 군대에 안갈려고 온갖 편법을 다 동원하는 세상에 오히려 더 길만 열어주게 되었고 부모들은 자식들 군대 안보내기 위해 어려서부터 영어공부에 열중시키게 생겼다. 공교육을 확실하게 다지기 위한 방법에 오히려 어려서부터 영어학원에 시달리겠끔 사교육을 더 크게 만드는 꼴이 ..
-
이제는 한글로 외국문서까지 검색하는 세상이 온다.IT topics 2007. 12. 3. 14:01
구글이 최근 자체 번역 서비스를 정식으로 내놓았다.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여러 영문 번역 서비스중에서 그나마 정확하다는 번역 서비스가 구글 번역 서비스라고 생각을 한다. 하지만 기계적 번역에는 아직까지 한계가 있는 법이다. 구글 번역 서비스를 이용해서 영문문서를 한글로 번역하거나 역으로 한글문서를 영문으로 번역을 하게되면 그 결과가 솔직히 아니올시다라는 것이다. 어느정도 손을 봐야 그나마 읽을만한 수준으로 번역될 수 있다고 생각이 든다. 이런 와중에 구글은 음성인식 번역기술을 계속해서 개발하고 있다. 중앙일보에서 구글의 피터 노빅 박사의 인터뷰를 게제했는데 내용이 참 재밌다. 구글 피터 노빅 박사 `한글로 전세계 웹 검색` (조인스닷컴) 전 세계적으로 인터넷 문서의 70% 이상은 영문으로 작성되어있고 나머..
-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라!Current topics 2007. 10. 9. 11:36
오늘은 561번째 한글날이다(원래는 몇 번째인지 몰랐으나 네이버가 한글날 이벤트 화면을 작년꺼 그대로 쓰는 바람에 알게 되었다. 작년은 560번째라고 하더라). 왜 10월 9일이 한글날로 제정되었는지 유래에 대해서는 잘 모르나 우리나라 역사상 최고의 발명품이자 최고의 언어인 한글이 만들어진지 561년이 지났다는 사실은 참으로 놀랍다고 할 수 있다. 한글이 얼마나 우수한 언어며 문자인지는 이미 여러 자료들과 다른 블로그에서 충분히 설명이 되었을꺼라 생각한다. 솔직히 말하자면 A4 용지로 수십장을 채워야 할 정도로 한글은 세계에서 가장 뛰어난 문자며 언어다(솔직히 한글이 언어라고 말하기는 애매하다. 한글은 글자이기 때문에 글자를 언어라고 말하지는 않기 때문일까). 과학적이며 단어조합이 쉽고 풍성하며 발음조합..
-
플리커 한글 서비스 시작.IT topics 2007. 6. 13. 11:15
야후의 플리커(Flickr)가 한글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티스토리 이전에 태터툴즈를 사용했을 때 사진을 올릴 때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서 플리커에 사진을 올리고 링크를 거는 형식을 많이 취했다. 플리커를 이용하면 사이트 트래픽도 줄어들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한 서비스다. 예전에 야후코리아에서 플리커를 한글화해서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것이다. 플리커는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매달 100MB의 용량 제한이 있다. 하지만 $25정도 지불하면 1년동안 프로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무제한이다. 사진 크기도 small, midium, large로 정해져있지만 원본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