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한국 YouTube에서 동영상 올리지 말고 해외 YouTube를 사용하세요~IT topics 2009. 4. 9. 18:36
구글이 YouTube 코리아에 실명제 적용 정부방침을 적용하지 않고 동영상 업로드 및 댓글 게시를 제한하는 정책을 취했다. 어찌 보면 한국 정부의 인터넷 실명제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YouTube에서 국가 지정을 한국으로 해놓으면 동영상 업로드 및 동영상에 대한 댓글 쓰기를 할 수 없다. 올리기 버튼을 누르면 ‘본인확인제로 인해 한국 국가 설정시 동영상/댓글 업로드 기능을 자발적으로 비활성화합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동영상을 올릴 수 없도록 조치해놨다. 물론 국가를 다른 나라로 설정하면 동영상 업로드 및 댓글 쓰기가 가능하다. 국가를 전세계로 하던지 아니면 한국 이외의 국가로 설정하면 동영상을 올릴 수 있다. 국가 선택으로 인해 서비스하는 서버 위치가 바뀌어지니 한국 이외의 국가..
-
일주일에 31시간을 보내는 미국 10대들, 국내 10대들은?IT topics 2009. 2. 11. 12:27
하루에 인터넷에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일주일에는 총 몇시간을 인터넷을 붙잡고 있을까? 미국의 10대는? 우리나라의 10대는? 테크크런치에서 재미난 글이 올라왔는데 미국의 10대들은 일주일에 31시간을 온라인에서 보낸다고 한다. 하루 평균 4.4시간을 인터넷을 쓴다는 얘기가 된다. 그리고 그들은 주로 인스턴트 메시징(윈도 라이브 메신져나 구글토크, AOL 메신져 등)을 하거나 YouTube를 검색하거나 숙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찾거나, 혹은 포르노를 검색하는 등에 온라인에서 시간을 보낸다는 조사가 나왔다고 한다. 얼추 내용을 살펴보면 일주일을 단위로 3.5시간을 메시징 하는데 보내고 2시간을 YouTube 검색하는데 보내고 3시간 정도를 숙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검색하는데 보낸다고 한다(그런데 저..
-
해외에 한국을 알리자. 위자드팩토리의 Korea Sparkling 위젯!IT topics 2008. 11. 21. 11:27
위자드웍스의 위자드팩토리에서 재미난 위젯을 하나 런칭했다. 메일을 통해서 알게 되었는데 이름하여 Korea Sparkling이란다. 한국의 불꽃이라고 해석해야 하나. 여하튼간에 한국문화를 전세계로 알리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내용을 보아하니 한국의 생활습관이나 여러 문화들을 위젯에서 소개하는 듯 싶다. 내용은 영어로 되어있기에 대상은 영어권 외국인이 될 듯 싶고(뭐 영어는 이제 만국 공통어니까) 한국에 오면 이런 것들을 즐길 수 있으며 문화는 이렇고 집에서의 행동과 밖에서의 행동은 이렇다라는 것을 알리기 위한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는 듯 싶다. 재밌을거 같아서 나도 한번 달아봤다. 이 블로그 사이드바 하단에 좀 큼지막하게 달았다. 저 위젯을 달고 싶으면 [여기]를 누르면 되고 위자드팩토리 블로그의 소개글..
-
한국의 무선인터넷, 20대 이하의 젊은 층에서 이끌어간다.Mobile topics 2008. 10. 30. 23:38
한국에서 무선인터넷 사용률 및 주 사용층은 어딜까?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재미난 조사를 했다고 한다. '2008년 무선인터넷이용실태조사'보고서에서 아래의 결과를 얻어냈다고 한다. * 최근 1년 이내의 무선인터넷 사용률 * 10대 : 80.1% 20대 : 83% 30대 : 55.3% 40대 : 33% 50대 : 14.2% * 20대에서 통신망 종류 별 인터넷 사용률 * 2G : 81.8% 3G : 87.8% *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주 평균 이용빈도 * 3G : 3.1회 2G : 2.1회 * 1회 접속시 평균 이용시간 * 3G : 9.3분 2G : 7.5분 * 서비스 유형별 무선인터넷 이용률 * 이동전화 무선인터넷 : 50.6% 무선랜 : 7.7% 초고속 무선인터넷 : 2.6% 또한 국민의 70%정도가 무선인..
-
한국에서는 죽쓰지만 미국에서는 여전히 독보적인 검색엔진 구글!IT topics 2008. 9. 19. 16:02
구글의 미국에서의 검색엔진 점유율은 역시나 가히 독주에 가깝다고 할 수 있을 듯 싶다. comScore에서 제공한 올해 8월까지의 검색 쿼리 데이터 통계를 보면 구글은 올해 매월 평균 60%의 쿼리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게다가 8월 통계를 보면 전체 쿼리수 중에서 무려 63%나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 데이터를 보면 구글과 ASK, AOL은 소폭 상승했고 야후와 MS는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워 구글의 63%에 비해 야후가 그나마 20%에 근접하는 19.6%로 선전할 뿐 MS의 8.3%나 ASK의 4.8%, AOL의 4.3%는 눈에 들어오지도 않는다. 그만큼 미국에서의 구글의 힘은 가히 대단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게다가 1월의 58.5%에 비해서 점점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으니 야후와 ..
-
편파판정의 아시아핸드볼연맹, 한국와 일본을 제명하려해..Current topics 2008. 1. 22. 18:28
회사에서 외근지에서 본사로 복귀하는 도중에 DMB로 mYTN을 시청하고 있는데 좀 황당한 뉴스를 들었다. 아시아핸드볼연맹(AHF)이 한국과 일본을 제명하려 한다. 올림픽 예선때 AHF는 중동의 오일머니에 휘들려 편파판정으로 쿠웨이트(남자)와 카자흐스탄(여자)에 베이징 티켓을 건네주었다. 이에 한국과 일본은 편파판정으로 인한 잘못된 경기라며 국제핸드볼연맹(IHF)에 항의했으며 IHF는 AHF에 제 3국에서 재경기를 하라고 요청했다. 그런데 AHF는 재경기를 인정할 수 없다며 배짱을 부렸고 결국 한국과 일본을 AHF에서 제명시키겠다고 엄포를 놓았다는 뉴스다. 알다시피 AHF는 쿠웨이트 왕가가 꽉잡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기 때문에 AHF는 쿠웨이트 왕가에 잘보이기 위해 쿠웨이트를 갖은 편파판정으로 한국과 일본..
-
아베 총리 사임과 노무현 대통령Current topics 2007. 9. 12. 13:59
일본의 아베 총리가 사의를 표명했다고 하는데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日 아베 총리, 사의 표명 (중앙일보) 사임 이유가 국회에서의 구심점 저하때문이라는데. 하기사 이번에 참의원 선거때도 참패하고 국제정세가 그다지 일본에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지도 않는 상황에서 더이상의 악화를 지켜보는 것 보다는 물러나는게 좋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몇몇 네티즌들은 노무현 대통령과 비교해서 '아베도 물러나는데 노 대통령도 빨리 물러나야 한다'고 노 대통령의 하야를 촉구하고 있다. 국가에 대한 실정은 아베 총리보다 노 대통령이 더 크다는 이유와 함께 말이다. 그런데 비교할 것을 비교해야지. 일본 상황과 국내 상황이 같지는 않고 일본 총리가 물러난다고 한국 대통령도 물러나야 할 이유는 없다. 게다가 임기도 몇개월 안남..
-
네이버「한국서 구글의 광고 겁 안나!」IT topics 2007. 7. 27. 14:45
네이버가 구글과의 온라인 광고전쟁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네이버「한국서 구글의 광고 겁 안나!」 (ZDNet Korea) 국내 No.1 포탈사이트로서의 자신감 때문일까. 네이버는 구글이 자신들에게는 아직까지는 상대가 안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현재 국내 포탈 점유율 1위며 아직까지 UV(Unique Visitor)수에 민감한 온라인 광고에 있어서 아직까지는 네이버를 뛰어넘는 경쟁자가 없다는 것이 그 이유다. 네이버가 이렇게 구글에 대해 자신감을 비치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국내 사용자들의 취향을 누구보다도 잘 파악하고 그에 맞춰 서비스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여러해 동안에 사용자들의 취향에 맞춰서 여러가지 변화를 시도하고 지금까지 사용자에 맞춰 최적화된 스타일로 지금의..
-
기업이여, 블로그에 마케팅하라!Blog 2007. 6. 15. 14:03
요즘 블로그를 보면 광고가 많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일 대표적인 광고 시스템인 구글 애드센스를 비롯해서 다음 애드클릭스, 올블로그의 올블릿에 이제는 태터엔미디어 광고까지 등장해서 블로그에 설치되어 있음을 본다. 어떤 블로그는 애드센스만, 어떤 블로그는 애드클릭스만, 어떤 블로그는 애드센스에 애드클릭스까지 다양하게 자기네 블로그에 광고를 설치하고 수익이 나기를 기대하고 있다. 요즘 블로그는 광고의 홍수속에 빠져있다고 본다. 블로그에 광고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 나는 반대를 하지 않는다. 아니 어쩌면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할 수 있다. 블로거는 자신의 블로그에 광고를 설치함으로 정성스래 올린 컨텐츠에 대한 조금이나마 보상을 받을 수 있다고 본다. 기업들도 큰 광고비를 들이지 않고 쉽게 널리 광고를..
-
플리커 한글 서비스 시작.IT topics 2007. 6. 13. 11:15
야후의 플리커(Flickr)가 한글로 서비스를 시작했다. 개인적으로 티스토리 이전에 태터툴즈를 사용했을 때 사진을 올릴 때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서 플리커에 사진을 올리고 링크를 거는 형식을 많이 취했다. 플리커를 이용하면 사이트 트래픽도 줄어들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사진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점에서 많이 사용한 서비스다. 예전에 야후코리아에서 플리커를 한글화해서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는데 이번에 발표된 것이다. 플리커는 여러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매달 100MB의 용량 제한이 있다. 하지만 $25정도 지불하면 1년동안 프로 계정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무제한이다. 사진 크기도 small, midium, large로 정해져있지만 원본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